• 제목/요약/키워드: Entrepreneurship School

검색결과 861건 처리시간 0.021초

사회적 환경이 대학생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 조영조;이보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4호
    • /
    • pp.17-25
    • /
    • 2016
  • 본 논문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요인들에 관한 국제적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창업의도를 결정하는 사회적 환경요인을 규명하고, 정책 입안자들에게 향후 대학생들의 창업의도 제고를 통한 창업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까지는 창업자의 개인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요인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요인으로 대학의 창업지원 활동,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 성공적 역할모델, 사업 시장규모를 독립변수로 사용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통제 변수로 사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사회적 환경 변수 중에서 대학의 창업지원 활동, 성공적 역할모델 및 사업 시장규모는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특성으로는 중국 대학생의 창업의도가 가장 높았으며, 창업을 한 경험이 있을수록 창업의도가 높았고,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창업의도가 높았다. 아울러,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및 향후 연구 제언이 제시되었다.

  • PDF

창업가 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업교육을 이수한 예비창업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 Focusing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mpleted Prefounders)

  • 박지유;양해술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2호
    • /
    • pp.97-107
    • /
    • 2014
  • 본 연구는 창업의지 설정에 있어서 창업가 특성에 따라 창업의지의 상황에 영향이 있는 지를 연구하였다. 특히, 중소기업 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 중에서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 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창업가 특성과 창업의지 간에 요인관계를 선행연구와 기존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벤처전문대학원생, 창업대학원생, 소상공인창업교육을 받은 예비창업자 등 총 5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분석 결과, 성취성향, 혁신성향, 진취성향, 위험감수성향, 창의성향 등이 창업가 특성에 따라 개인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 가운데 혁신성향, 위험감수성향, 창의성향은 정(+)의 회귀계수로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진취성향은 부(-)의 회귀계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계적으로는 매우 유의하지만 창업의지에 역효과를 나타내므로 층별(성별/연령)하여 다시 분석한 결과 남자 39세 이하(청년창업가)에서 진취성향이 정(+)의 회귀계수로 매우 유의하고 정도 높은 함수식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포괄적인 창업분야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창업의 성공여부를 예측하기 위하여 적용할 때는 보다 세심한 분석이 요구된다.

  • PDF

시니어 창업의사결정유형과 창업지원사업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nior Entrepreneurial Decision Making Types and Entrepreneurial Supporting Policy on Start-up Performance)

  • 유상정;양해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06-121
    • /
    • 2016
  • 대외적으로는 글로벌 금융위기와 국내에서는 장기적인 내수경기 침체로 인하여 경제의 어려움이 가속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급격한 출산율 저하와 고령사회에 진입함과 동시에 베이비부머의 정년퇴직도 본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우리 경제의 주된 중심체인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 출생)가 조기 퇴직 대상이 되면서 썰물은퇴가 시작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빠른 고령화와 조기 퇴직으로 청년실업과 함께 사회경제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시니어세대가 경제적인 위협에서 탈피하기 위하여 창업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니어들의 창업의사결정이 창업성공에 미치는 영향과 창업지원사업이 창업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두 요인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설문은 소상공인지원센터의 시니어 창업지원센터와 서울산업진흥원의 장년창업센터의 지원을 받아 그 곳에서의 교육을 이수하고 경영지원을 받은 창업가 3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검증결과 시니어들의 창업의사결정유형에서는 합리적유형만이 창업성공의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관적유형은 비재무적성과만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에 있어서는 자금지원, 경영지원, 교육지원 중 경영지원만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창업가의 열정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assion of Preliminary Entrepreneur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강민정;이새롬;김병근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4호
    • /
    • pp.71-84
    • /
    • 2021
  • 최근 경제 부흥정책의 하나로 청년들의 창업에 대한 국가차원의 장려가 지속됨에 따라 청년창업에 대한 투자와 청년들의 지원이 증가하고 있다. 창업의도는 창업으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많은 연구들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가의 개인적 특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창업가의 열정을 조화 열정과 강박 열정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또한 열정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인 성취욕구, 감정, 주관적 규범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창업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2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예비창업가의 성취욕구, 긍정적 감정은 조화 열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부정적 감정과 주관적 규범은 조화 열정에 유의미하지 않았다. 성취욕구는 강박열정에 부(-)의 영향을 보였고,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은 강박 열정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주관적 규범은 강박 열정에 유의미하지 않았다. 조화 열정과 강박 열정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화 열정과 강박 열정이 성취욕구, 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 성취욕구, 긍정적 감정과 창업의도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특히 성취욕구는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긍정적 감정과 창업의도간의 관계에서 강박 열정 또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직장인의 직무불안정성과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Shapero의 창업이벤트모델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and Entrepreneurship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Shapero's Entrepreneurial Event Model)

  • 안은주;양동우
    • 중소기업연구
    • /
    • 제42권3호
    • /
    • pp.275-304
    • /
    • 2020
  • 최근의 악화되고 있는 고용지표를 개선하고, 세계적인 경기침체 국면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창업의 활성화 및 창업의 성공률 제고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련 분야의 지식과 경험 및 네트워크를 보유한 직장인을 창업가로 전환시키는 요인과 그 경로를 밝힘으로써, 창업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창업 성공률 제고에 기여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Shapero(1982)의 창업이벤트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직장인의 직무불안정성과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의 촉진사건이 되는지와 창업에 대한 소망성 및 실현가능성의 지각이 그 사이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정리해보면 첫째, 직장인의 고용불안정성과 혁신성 및 위험감수성이 창업의도를 높이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직무불안정성의 구성 요소와 창업의도 사이에서 지각된 소망성의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으나, 기업가정신의 모든 구성 요소는 창업에 대한 소망성의 지각을 통해 창업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용불안정성과 혁신성 및 위험감수성은 창업에 대한 실현가능성의 지각을 통해 창업의도를 강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창업 역량을 보유한 직장인을 창업가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직장인에 대한 창업교육과 사내벤처의 지원을 강화하고 시니어창업 및 사내벤처창업 지원을 확대함으로써 창업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실행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시킬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직장인의 창업 지원 강화로 창업 활성화 및 창업 성공률이 제고된다면,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고 침체된 경기를 회복시키는 등 국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기업가의 인적자원가설비교 : 미국의 아시안사례 (Comparing Human Resources Theories of Technological Entrepreneurs : Asian Immigrants in the U.S.)

  • 이세재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6-113
    • /
    • 2011
  • Human resource theories of becoming entrepreneurs or self-employed rather than finding employment are compared as applied to fit the occupational data of technological entrepreneurs and technology jobs. The human capital theory posits that technological entrepreneurs are prepared to become a jack-of-all-trades with a variety of fields of education. Hobo theory of entrepreneurship assumes that entrepreneurs have strong taste against concentrating on a few activities, which tend to drive entrepreneurs away from employed jobs depressing their expected income. Another theory assumes that entrepreneurs have some unobserved productive qualities and abilities over employed people. Immigrant entrepreneurs could presumably be pressured out of employment under racial discrimination. Since technology jobs are mostly filled by those educated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and they presumably offer great reward to professional concentration, technological entrepreneurs may not benefit from becoming jacks-of-all-trades compared to finding employment in technological jobs income-wise. Asian immigrants in the 2000 US Census data are compared to white immigrants in technological jobs to test alternative human resource theories of entrepreneurship. Using English language ability as a proxy for the variety of education, I find in the white immigrant technological entrepreneurs support for the jack-of-all-trades theory, while in the Asian immigrant technological entrepreneurs hobo theory is supported. In the Asian technological workers only there appears the significant self-selection or comparative advantage component, while at the same time discriminatory components are significant.

Challenges to the Export-Led Growth Strategy in the Digital and Global Era: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South Korea's Experience

  • LEE, Jung W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6호
    • /
    • pp.253-265
    • /
    • 2022
  • This paper examines South Korea's past developmental experience and its current strategy and policy initiatives to overcome global and domestic challenges and sustain economic growth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digital and global era, to explain how the country became a high-income econom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highlight the following three factors: First,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rapid industrialization was the adoption of an outward-looking strategy, with the help of a highly skilled workforce and the development of high-tech manufacturing and services sectors, which wa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plans. Second, the high R&D intensity helped South Korea become a global leader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which has emerged from a top-down innovation system that promotes close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 industry, and the academic community. Third, according to the recently released Global Entrepreneurship Index, South Korea tops the region in entrepreneurship environment. Among the list of criteria, South Korea dominates in the ease of starting a business and enforcing contracts. They a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encouraging investment, production, communication, and, eventually, economic growth. Finally, this paper suggests forward-looking developments promoting transformation and diversification into high-tech manufacturing and digital and green technologies.

Dual Network Embeddedness of the Host Country, Organizational Improvisational Capability, and International Entrepreneurial Performance

  • Qixia Du;Yeong-Gil Kim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7권4호
    • /
    • pp.61-76
    • /
    • 2023
  • Purpose - Along with emerging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there is a need for exploring the influencing mechanism of dual network embeddedness of the host country on international entrepreneurial performance. Drawing on network embeddedness theory and organizational improvisational theory, the present study constructs a theoretical model regarding the logic relationships between the dual network embeddedness of the host country, organizational improvisational capability, and international entrepreneurial performance. Design/methodology -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our study conducted data in two ways. The final research sample comprised 129 international new ventures. To test the hypotheses, a three-step mediation test method was conducted. Findings - Our empirical results suggested that both host-country social network embeddedness and industrial network embeddedness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ternational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rganizational improvisational capability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ternational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ird, organizational improvisational capability partially played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ual network embeddedness of the host country and international entrepreneurial performance. Originality/value - This study mainly concentrates on the two important types of host-country networks, host-country social network embeddedness and industrial network embeddedness, that may help international new ventures access the strategic resources necessary to support performance. Thus, it extends the existing network embeddedness theory and improvisational theory to encompass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Values and Entrepreneurial Attitudes: Implications for the Distribution Industry

  • Wang, Haikun;Moon, Jaese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57-67
    • /
    • 2019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work values on entrepreneurial attitudes, and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opportunity identification on the above mentioned relationship as wel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258 employees who comes from 8 different types of the enterprises in northwestern of China, and the corresponding research model was verified. Results - The results show that "comfort and security" (one dimension of work values)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attitudes. Another two dimensions of work values, such as "competence and growth" and "status and independenc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attitudes. In additi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identification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 between work values and entrepreneurial attitudes. Specifically, only the entrepreneurship opportunity identification posi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us & independence and entrepreneurial attitudes. Conclusions - This research further enriches the relevant theories of organizational behavior and entrepreneurships. This study also has guiding significance and value for management practice, especially for this research results implies, that is, individual's ability to entrepreneurial opportunity identification (e.g., identify feasible distribution channel for potential new venture) is important in entrepreneurship.

기업가정신과 기업성과간 관계에서 기술혁신성과 마케팅역량의 영향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on Corporat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Marketing Competence)

  • 전인오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3호
    • /
    • pp.87-105
    • /
    • 2017
  • 본 연구는 중소기업 경영자 또는 연구책임자를 대상으로 기업가정신과 기업성과 사이에 기술혁신성과 마케팅역량이 미치는 영향을 실증조사 하는데 목적이 있다. 각 변수의 세부요인별로 기존의 연구에서 검증된 설문항목을 발췌하여 검증하였으며 기술혁신을 통해 다양한 성과를 획득하는 기술기반 중소기업이 있는 반면에 기술혁신활동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혁신에 많은 투자와 기대한 만큼의 성과를 도출하지 못하는 기업들이 있음에 주목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중소 규모의 신생 기업이나 벤처기업에 마케팅역량 차원과 기술혁신성 차원을 적용하였고, 기술혁신성과 마케팅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양하고 전문성 있는 지속적인 성장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기업가정신이 만들어내는 기업성과는 독특한 환경과 복잡한 기술마케팅 관계 속에서 기업이 경험해 얻은 자사 기업만의 중요한 자원이므로 이를 마케팅역량이 조절할 것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그 결과 기업가정신 중 혁신성과 진취성은 투자와 특허개발등록을 중심으로 신사업계획과 중장기 발전방향을 세우는 기술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나 불확실한 환경에서 도전하는 위험감수성은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인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혁신성의 매개효과가 기업가정신과 기업성과 사이에 완전매개 또는 부분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이 확인되어 기업가정신이 기술혁신성의 매개효과를 통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마케팅역량의 조절효과 역시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이 부분적으로 영향관계를 보여주고 있어 마케팅역량을 이용한 효과적인 마케팅기법을 재고하기 위한 노력과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