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epreneurial development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2초

대학생의 무형식학습이 구직능력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팀 학습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on Employment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eam-based Learning)

  • 가혜영;전혜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3호
    • /
    • pp.121-132
    • /
    • 2020
  • 대학생은 학교 내에서 배운 이론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한 가지 분야에서 전문성을 키우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학교생활을 토대로 경력 개발의 방향은 과거의 취업 중심의 형태에서 벗어나 전 생애에 걸쳐 취업과 창업을 선택하기 위한 업의 전환을 고려하는 형태로 바뀌어가고 있다. 교육의 방향 또한 기존의 지식을 전달받고 암기하는 형식 학습에서 보다 자율적이면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중심으로 하는 무형식학습과 팀 기반 학습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무형식학습 활동이 구직능력과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기존의 취업역량에만 연결시켜왔던 연구에 창업을 더함으로써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기업 및 교육 현장의 팀워크가 중요해짐에 따라 팀 기반학습 만족도에 따라 무형식학습 활동이 구직능력과 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보이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무형식학습은 구직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창업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직능력은 대학생의 무형식학습과 창업의도를 완전매개하였다. 셋째, 팀 기반 학습의 만족도는 대학생의 무형식학습에 따른 구직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구직능력과 창업의도 사이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대학 내 구직능력과 창업의도를 높이기 위해 무형식학습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만족도 높은 팀 기반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기업가적 지향성과 경영성과 간 관계: 조직규모에 따른 신제품개발의 조건부 간접효과 (Causality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New Product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Size)

  • 추승엽;우형록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3호
    • /
    • pp.133-144
    • /
    • 2020
  • 본 연구는 기업가적 지향성과 경영성과 간 인과관계에 있어서 조직규모에 따른 신제품개발의 조건부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동안 기업가적 지향성이 기업의 경영성과 및 신제품개발 성과에 각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개별적인 연구들이 축적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기업가적 지향성-신제품개발-경영성과의 인과적인 경로를 통합적으로 파악하는 연구시도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가적 지향성에 따른 최종 재무적 경영성과뿐만이 아니라 경영성과에 기여하는 중간 성과인 신제품개발의 역할에 주목하여 인과적인 경로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2018 기업가정신 실태조사(기업편) 조사대상인 전체 업종 3,299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가적 지향성, 신제품개발, 경영성과 간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조직규모에 따라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는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가적 지향성은 경영성과 및 신제품개발에 독립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제품개발은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기업가적 지향성-신제품개발-경영성과로 이어지는 과정(간접효과)은 조직규모가 큰 조건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가적 지향성으로부터 발현된 신제품개발 성과가 최종 경영성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단순히 새로움을 추구하는 신제품의 개발을 넘어 신제품을 성공적으로 사업화하고 시장과 고객에게 소구할 수 있도록 하는 조직역량이 갖추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Use of Social Media among First-Year Student Groups: A Uses and Gratifications Perspective

  • Owusu-Ansah, Christopher M.;Arthur, Beatrice;Yebowaah, Franklina Adjoa;Amoako, Kwabena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7-34
    • /
    • 2021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uses and gratification of social media among first-year student groups at a satellite campus of a public university in Ghana. The study employed a descriptive survey design. The study involved all 1061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in six academic departments of the College. A total of 680 (64%) participants returned validly completed copies of the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matic analysi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indicate that WhatsApp was the most popular application for social media groups, while a need for information-sharing, peer-tutoring and learning, and finding and keeping friends were the primary motivations for joining social media groups. First-year students are involved mainly in reactive activities, as most engage when solving an academic assignment through group discussions. Though challenges persist, such as posting of unwanted images, inadequate participation, and ineffective and irrelevant communication, most are willing to continue their social media groups' membership in the long term.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 into transitioning students' lived experiences on social media from the group perspective. These insights are valuable conceptually and practically to academic counsellors, librarians and student affairs officers who are expected to provide on-going education on (social) media literacy to first-year students to enhance the adjustment process. The study is the first of its kind in Ghana that investigates social media group participants' exit intentions.

시니어 창업가의 특성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enior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on the Entrepreneur ship)

  • 김진수;최명길;성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833-1843
    • /
    • 2011
  • 최근 우리사회는 사회경제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러한 베이비붐 세대는 지난 70~80년대 우리경제발전의 주역으로 퇴직 후 재취업의 현실적 어려움과 미흡한 노후준비 및 이들의 복지와 의료문제 등이 국가적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금년부터 시니어의 강점을 적극 활용하여 생산적 경제활동 참여를 위해 시니어창업육성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니어창업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시니어의 욕구와 시니어창업의 구체적인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니어의 구체적인 특성과 창업의도 및 성공창업의 핵심역량인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시니어창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술기반 중소기업의 기업가지향성, 조직문화, 거점기관의 지원이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chnology base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Support of Technopark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 박종석;김병근;한상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81-189
    • /
    • 2020
  • 본 연구는 기술기반 중소기업의 전략적 지향성과 조직문화와 함께 테크노파크의 지원이 기업의 혁신역량을 매개하여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기술기반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 가운데 기업이 혁신을 지향하는 기업가지향성과 조직문화를 바탕으로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혁신역량이 취약한 기술기반 중소기업이 테크노파크의 기업지원을 활용하여 신제품개발역량을 향상시키고 성과를 창출하는 연구모형을 제시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2019년 9월 9일부터 10월 4일까지 테크노파크로부터 지원받은 경험이 있는 기술기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확보한 169개의 유효한 설문 응답을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한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기업가지향성은 신제품개발역량을 매개로 제품혁신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 역시 신제품개발역량을 매개하여 제품혁신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점기관의 지원은 신제품개발역량을 매개하여 제품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정책적인 시사점은 첫째, 대기업보다 상대적으로 자원과 역량이 제한적인 기술기반 중소기업 경영진은 테크노파크와 같은 지역혁신거점기관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혁신역량과 성과를 향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와 테크노파크는 수요기업 중심의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할 필요가 있는데, 특히, 기술기반 중소기업기업의 혁신역량 향상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Innovation Capabilities a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Performance: An Exploratory Study

  • ALI, Hazem;HAO, Yunhong;AIJUAN, Che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0호
    • /
    • pp.959-968
    • /
    • 2020
  • Research underlined tha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performance is enhanced by different types of innovation capabilities. This research tends to present a comprehensive model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ies and SMEs' financial and operational performance. Specifically, this study tends to achieve three objectives: explores the set of product, process, organizational and marketing innovation capabilities possessed by owners/managers of SMEs and their impact on Chinese manufacturing SMEs' operational and financial performance dimensions,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innovation capabilities, and determine the contextual factors that moderate innovation capabilities and SMEs' performance. This research employ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ing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owners/managers of Chinese manufacturing SMEs.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product and marketing innovation capabilit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MEs' financial performance while process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capabilities positively influence SMEs' operational performance. The major determinants of innovation capabilities involved availability of sufficient organizational resource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knowledge development and external networks. The contextual moderating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capabilities and SMEs' performance involved internal factors which are: SME size, SMEs' owner/manager work experience, entrepreneurial mindset; and external factors: market dynamism and cooperation strategies. This paper ends by drawing some concluding remarks and proposing future research avenues.

The Triangulation Model Distribu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ship Knowledge, and Entrepreneurship Mindset

  • RUSTIANA, RUSTIANA;MOHD, Othman bin;MOHAMAD, Norhidayah binti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9호
    • /
    • pp.47-5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triangulation model: 1)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E) on entrepreneurship knowledge (EK) and entrepreneurship mindset (EM) and 2) the effect of EK on EM.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a medium and pedagogical tool to cultivate EK and EM with the purpose enhancing of students who will be interested in entrepreneurial activities. Knowledge of adequate entrepreneurship is a stimulus strategic tool to develop the entrepreneurial mindset of studen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re were 278 respondents from Business and Non-Business both Indonesian and Malaysian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was quantitative and evaluated three hypotheses by PLS-SEM using WarpPLS v.7 software. Statistic descriptive for respondent used SPSS IBM v.26.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 hypotheses had supported with a significant level of p-value < 0.001. It's meant EE enhanced both EK and EM. Furthermore, increasing EM was not only by EE, but also EM could be increased through EK. Conclusions: The novelty of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filling the knowledge gap in the development of pedagogy in the pursuit of entrepreneurship using a triangulation model of the relationship among EE, EK, and EM.

The Impact of Creativity and Innovativeness on Digital Entrepreneurship: Empirical Evidence from Bangladesh

  • AKHTER, Ayeasha;KARIM, Md. Mobarak;ISLAM, K. M. Anwaru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3호
    • /
    • pp.77-82
    • /
    • 2022
  • In Bangladesh, developing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have received a lot of attention because of the country's current employment predicament and shifting labor market. Entrepreneurs play a critical part in a country's economic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on students' intentions toward online entrepreneurship in Bangladesh.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Bangladeshi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pre-tested constructs, a survey questionnaire was created. Convenience sampling, which is a common type of non-probability sampling, was used to choose participants for the sample. A total of 150 students from the public university took part in the survey, with 120 replies being accepted as complete, resulting in an 80 percent response rate. Hence, the sample size is 120. Internal consistency was determined using Cronbach's alpha, while correlation and hypothesis tests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6.0. The results reveal that creativity and innovation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students' intentions to engage in online entrepreneurship. These two independent factors explained 75% of the variance in intention to engage in online entrepreneurship, resulting in empirical findings and solid information in the present body of knowledge. The study concludes with a conclusion and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future.

청년창업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창업전문가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Youth Enterprises)

  • 심현민;설병문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2호
    • /
    • pp.1-13
    • /
    • 2022
  • 청년창업의 중요성과 청년창업 지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청년창업은 일반창업 보다 실패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대한 원인 또한 미시적·거시적으로 다양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년창업자가 창업을 성공하기 위해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대안이 제시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창업자에게 창업교육, 창업보육, 창업 멘토링·코칭을 수행하는 창업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청년창업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사례 연구에서 파악하지 못하였던 창업현장에서의 청년창업 성공요인을 파악하여 청년창업자에게 청년창업 성공요인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청년창업자가 창업을 진행하면서 고려해야 하는 여러 요인 중 우선적으로 확보하거나 수행해야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창업성공을 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델파이 조사는 총 2차에 걸쳐 진행하였다. 델파이 1차 조사는 구조화된 폐쇄형 문항(Closed-ended)을 사용한 수정 델파이 기법(Modified Delphi Method)을 활용하였으며, 수정 델파이 기법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청년창업자 및 창업전문가를 대상으로 사전조사(Pilot Test)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1차 조사에서 IBM SPSS Statistics 22와 Microsoft Office Excel 2016을 활용하여 평균(Mean),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중위수(Median), 사분범위(Inter Quartile Range), 내용타당도 비율(Content Validity Ratio)을 산출하였으며, 델파이 2차 조사에서는 1차 조사에서의 동일한 통계적 수치와 추가적으로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델파이 조사결과, 창업자특성, 창업준비, 창업전략, 창업환경의 4개 상위요인과 22개의 하위요인을 청년창업 성공요인으로 도출하였다.

South Korea's phenomenal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Entrepreneurship: A cue for Sub-Saharan Africa (SSA)

  • Charmant, Sengabira Ndereyimana;Mahuni, Kenneth
    • Asia Pacific Journal of Business Review
    • /
    • 제2권1호
    • /
    • pp.1-20
    • /
    • 2017
  • The model of success in South Korea from a pariah state coming from the ruins of the Korean War into a member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with a trillion dollar economy is encouraging. The Korean economic experience in terms of entrepreneurship and poverty reduction is an intriguing jig saw puzzle to researchers. This paper looks at Korean entrepreneurship history from the 1960s and how it shaped the contemporary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success of the Korean economy.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the study used the Korean case study in comparison with Sub Saharan Africa to explore five powerful lessons on how the region can replicate the Korean entrepreneurship experience. The study shows that entrepreneurship was key to the radical transformation of its economy and government was instrumental in latent nurturing of Korean entrepreneurial spir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