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ance area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25초

농촌마을의 향토자원과 비보(裨補)경관과의 관계 - 강원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 of Local Resources and BiBo Landscapes of Agricultural Villages - Focused on Yeoungdong Area in Gangwon Province -)

  • 유종덕;윤영활;최장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45-52
    • /
    • 2009
  • In our traditional living lives, our ancestors have been succeeded in and developed the shortage-replenishing materials to balance with the nature and supplement the condition of geography by the measures, called the BiBo, in order to be harmonized with the nature. This study is purposed to find the meaning and quality of the BiBo materials distributed throughout the agriculture village in Yeoungdong area, Gangwon province in terms of scenery perspectives. It is found that there are 56 village forests, 18 BiBo symbolic properties and 2 BiBo ponds in Yeoungdong area, Gangwon province. Among these, village forests are largely consisting of pine trees and most of them are functioned for water-entrance defender. Including these village forests, the BiBo symbolic properties are important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s in this area and expected to be used as the income-source of the farm village.

  • PDF

국민주택규모 아파트 주거환경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 연구 - 김해시 장유신도시 지역의 아파트 단지 사례를 중심으로 - (Evaluating Korean Standard-Sized Apartment Houses Fron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 Cases of the Apartment Complex in Jang-you New Town Area -)

  • 오찬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2-32
    • /
    • 2013
  • The quality of apartment houses has been gradually upgraded. However the changes in demographic composition of residents such as seniors, disabled persons, and etc. have not been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planning. If apartment houses are designed on the base of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their residents could live as long as they want to live in. This study evaluates the Korean standard-sized apartment housing units and the common spaces of those apartment buildings, and it's outdoor enviro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The observation and measuring was conducted with the questionnaire survey with 100 residents living in those housing units. 60 items were designed for evaluating them in relation to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In general,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were relatively applied to the apartment houses. However their application needs to be broadened. 2) The number of parking lots needs to be increased and the width of individual parking lot to be increased. Also, the location of gazebo and senior center needs to be placed in easily accessible areas. 3) The shape, color, finishes of the ramp and the entrance area of the apartment building and housing unit should be made more homelike. Also, the entrance area of apartment building and housing unit needs to be made large enough for residents themselves and meeting with neighbors. 4) Among all of the rooms in a housing unit, bathroom should be improved immediately. Also, the width of doors should be at least 80cm wide and the floor should be made even.

주민참여에 의한 마을마당설계 -서울 동작구 사당동 양지공원- (Community Participatory Neighborhood Park Design -In the Case of Yangi Park in Sadang-dong, Seoul-)

  • 김성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61-69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 case of community participatory neighborhood park design. The site, Yangji park, is located in Sandang-dong, Dongjak-gu, Seoul and the area is about 1,870m. Neighborhood park is defined as an outdoor space which is close to people´s home and is considered to be their own, because of the residents´ collective responsibility, family association, and frequent shared use. It is a place for pleasant rest area for community, sharing a sense of nature and retaining a sense of tradition and culture which is disappearing in a city. It is related to the daily life of the people near the site and becomes a place to let the community increase dialogue and understanding between people. On the other hand, participatory design is a design in which people participate in the design process. Thus people can understand the project well, present their opinions better, and reconcile conflicts between the different interests of people. This design applied a community participatory design method to design a neighborhood park. The major strategies for participatory design were ´workshop´, ´card game´, ´walking site´, ´interview´, and ´questionnaire´. Eight workshops were performed for the participation design. The major spaces and facilities elected by participants were the ´main entrance plaza´, ´entrance symbol space´, ´children´s ´playground´, ´multipurpose sport ground´, ´grass land´, ´foot-pressure area´, ´spaces symbolizing a rock mountain and an old well´, ´space for youth´, ´a pavilion´, etc. From this selection, design concept alternatives were generated by participants. The aster plan was developed from these design alternatives with the help of landscape architects. It was revised by ist visits and community discussions. People were also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left their own works, such as hand prints, on the site. After construction, residents continued to maintain the park by themselv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rticipatory design was very effective for people´s satisfaction and sustainable park management. By involving people more in the process they developed a sense of community, a sense of ownership, and attachment to the place.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we need to develop an effective people´s participation method to Korean society.

  • PDF

영암호 저서동물군집에 미친 하구둑 건설의 영향 (Ecological Impact of the Dyke Construction on the Marine Benthos Community of the Oligohaline Youngam Lake)

  • 임현식;최진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72-183
    • /
    • 2005
  • To assess the macrobenthic community of oligohaline Youngam Lake, which is located at the Youngsan Watershed on the southwest part of Korea, macrobenthic fauna were collected at 45 stations during May, 2002. A total of 16 species of macrofauna were recorded with a mean density of 240 individuals per $m^2$ and a mean biomass of 7.07 g wet weight per $m^2$. Major dominant faunal groups were crustacean arthropods in terms of the number of species and abundance, and polychaete annelids in terms of biomass. The mean grain size was $5.7\;{\phi}$ which was dominated by silt fraction. The hydrological environment of the lake was characterised as an oligohaline environment with a mean surface water temperature of $17.8^{\circ}C$ and a mean salinity of 2.08 psu.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amphipods, Corophium sp. ($31\%$) and Jesogammarus sp. ($25\%$). Lowe. values of species diversity (H') with a mean of 0.81 (less than 1.0 from most stations) reflected the overall poor faunal diversity in this area. Multivariate analysis suggested that this benthic faunal community could be divided into four sub-regions such as the area from lake proper to water channel to the south, the stations located at the entrance and northern water channel, the stations near the dike, and the lake proper area. Freshwater and brackish water species which occurred in each station group were corresponded to the oligohaline salinity regime. Bottom hypoxia appeared in the entrance part of the lake between dyke and lake proper on May, which was resulted from stratification from spring season. These facts imply that marine macrobenthos were severely impacted by low salinity and a consequent hypoxia after embankment of the lake due to the restriction of water circulation.

최근 분양된 수도권 공동주택 단위세대의 공간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 전용면적 $165m^2$ 이상의 대형규모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ulti-housing Units in Seoul and Kyung-gi Area - Focused on the Unit Size of over $165m^2$-)

  • 김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16-12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ulti-housing units in Seoul and Kyung-gi area since 2006.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82units of the big size over $165m^2$ were analyzed to review such design characteristics as spatial composition, layout and linkage.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1) Most unit plans had 4LDK and 3bath types including family room as a public space. This results shows that family-room and bathroom has recently become more important than number of rooms in multi-housing units planning. 2) Diversity of plan figures such as mass-mixing, mass-separation and polygons(L, V-type)was showed in most unit plan, breaking from the standardized forms of box types. 3) Intermediated spaces such as foyers and halls in entrance zone were planned and sub-entrance into kitchen were planned for the various types of circulation and work-efficiency. Cases had private space separated from public space, the dispersion of rooms with the increase of connection by corridors, L-DK meaning the living room isolated from the dining and kitchen, partially located living room for a view in area distribution. The spatial planning of master-zone mostly consists of the types of two-rooms and an entry into a foyer(library, dress-powder room, bathroom and master bedroom).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on grasping current trend in Korean multi-housing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future direction on housing-unit design.

회귀분석을 이용한 비상대피시설의 출입구 개수 적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itability of the Number of Entrances for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Using Regression Analysis)

  • 노정헌;이정문;김국주;박영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31-43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비상대피시설의 출입구 개수 산정의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현행 민 관 군 대피시설의 기준은 대피 인원이 대피를 완료한 상황을 가정하여 적정 건축면적을 보유하도록 하는 정태적 기준만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대피상황을 감안한다면 건축면적과 같은 정태적 기준보다는 출입구 개수, 대피인원, 대피시간 등과 같은 동태적 기준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동태적 기준이 대피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대피 시뮬레이션을 통해 매개변수 연구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대피시간에 대한 추정 모델을 개발하고 대피인원대비 적정 출입구 개수를 제시하였다.

도시철도역 이용수요 추정 및 이동편의시설 규모 예측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stimation of Demand for Urban Railway Stations and Forecast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Size Prediction)

  • 김황배;이상화;배춘봉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6호
    • /
    • pp.877-886
    • /
    • 2019
  • 도시철도 출입구 규모는 이용자의 수요에 따라 산정되어야 하나, 우리나라는 일률적인 값을 적용, 출입구 위치에 따라 이용자의 편차가 많이 발생하여 불편을 겪는다. 최근 교통약자편의증진법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의 이동편의시설의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지만 기존 역의 경우 이용자 수요와 상관없이 설치 가능한 곳에 주로 배치가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용이 많이 불편하다. 이동편의시설 위치 및 규모가 역 설계 또는 건설시 반영될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는 역 출입구별 이용수요를 예측하여 출입구의 이동편의시설 규모 산정 모형을 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역별 승하차 이용수요, 철도역 주변 용도별 건물 연상면적을 활용하여 1일 수요 예측을 위한 다중회귀모형식을 수립하였다. 추정된 모형의 검증을 위해 동대문역과 종각역의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국내외 에스컬레이터 산정식을 활용하여 출입구별 에스컬레이터 설치 규모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일역을 대상으로 이용수요를 추정하는 것이 좀 더 정확하였으며, 종각역은 1번 출구에 상하행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나, 4번 출구에 설치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2018년 게재한 도시철도역 출입구 유출입 이용자 추정 모형 수립 논문의 발전된 형태로 향후 역 신설시 또는 이동편의시설물 설치 및 확장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더불어 현재 무분별하게 설치하는 에스컬레이터 설치 기준의 기초가 될 것으로 보인다.

X-선관 각도 변경에 따른 Anode Heel Effect (The Anode Heel Effect caused by changing the Angle of X-Ray Tube)

  • 신성규;이효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435-442
    • /
    • 2016
  • 본 연구는 X-선관 각도 변경에 따른 경사효과(Anode Heel Effect)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조건은 70 kV, 30 mAs, 초점-검출기간의 거리 100 cm, 조사야는 $35{\times}43cm^2$, 측정점은 조사야의 정중앙점에서 좌우 3.5 cm 간격으로 나누어 양극쪽으로 A1, A2, A3, A4, A5, A6 점을 설정하고 음극쪽으로 C1, C2, C3, C4, C5, C6 점으로 설정하였다. X-선관을 수직으로 하여 측정점인 A6에서 C6까지 각각 입사표면선량을 측정하였다. 다음에 X-선관을 양극쪽으로 15도 30도로 변경 하면서 각각 측정하고 같은 방법으로 음극쪽으로 15도 30도로 변화시켜 측정하였다. 결과로 X-선관이 수직인 경우 A5보다 C5점이 3배정도 입사표면선량이 높게 나타나 수직 촬영 시 방사선감수성이 높은 장기가 위치해 있는 쪽으로 양극을 위치시키면 피폭을 줄일 수 있었다. X-선관의 각도를 주고 촬영할 경우에는 음극측으로 각도를 주는 것이 양극과 음극측의 입사표면선량 차이를 줄일 수 있으며 상, 하 두께 차이가 있는 부위를 촬영할 경우에는 음극측이 두꺼운 부위를 향하게 각도를 주는 것이 입사표면선량의 차이를 줄여 좀 더 균일한 영상을 만들 수 있었다.

인문계 3학년 여자 고등학생의 입시스트레스와 구강관리 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Enterance Exam Stress and Oral Care Self-Efficacy in 3rd year Girl High School Students)

  • 조혜은;정경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551-561
    • /
    • 2019
  • 본 연구는 인문계 3학년 여자 고등학생의 입시스트레스와 구강관리 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8년 6월부터 7월까지 G지역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여학생 19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입시스트레스의 하위영역 중 시험긴장/성적부진이 3.07점으로 가장 높았고, 여가생활부족 2.83점, 미래불확실성 2.57점, 부모압력 2.44점 순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입시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시험긴장/성적부진 스트레스와 관련된 변수는 학업성적(p<.01), 가족소득수준(p<.05), 주관적 구강건강상태(p<.05), 일일칫솔질횟수(p<.01)이었다. 구강관리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별 수준은 칫솔질 자기효능감이 3.13점으로 가장 높았고, 치과방문 2.80점, 치간청결 2.64점 순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구강관리 자기 효능감을 분석한 결과, 칫솔질 자기효능감과 관련 있는 변수는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우식성 간식 섭취(1일 기준), 우식성 음료 섭취(1일 기준)이었다(p<.01). 입시스트레스 하위영역과 구강관리 자기효능감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입시스트레스가 높을 수록 구강관리 자기효능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입시스트레스가 높은 학생의 구강질환 예방과 구강관리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구강보건행동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학교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고자료로 본 5~6세기 신라의 강릉지역 지배방식 (The Ruling System of Silla to Gangneung Area Judged from Archaeological Resources in 5th to 6th Century)

  • 심현용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3호
    • /
    • pp.4-24
    • /
    • 2009
  • 본 고는 강릉지역에서 발굴조사된 고고자료를 검토하여 문헌기록과 비교하면서 신라가 강릉지역으로 진출하여 재지 세력을 지배해 나가는 과정에 대해 가설을 세워 본 것이다. 강릉지역의 고고학적 양상은 신라가 처음 이 지역을 복속하고 재지세력들에 침투하는 과정을 잘 보여주는데, 필자는 이 지역의 5~6세기 고고학적 특이양상에 대해 적극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 강릉지역은 신라 진출 이전 예국이라는 읍락국가가 존재하고 있었다. 신라는 4세기 4/4분기에 처음으로 강릉지역으로 진출하였으며, 기존의 예국을 복속한 후 지역 실정에 맞게 재지세력을 통치해 나갔다. 이에 대해 고고자료와 문헌기록을 비교검토해 본 결과, 신라가 강릉지역을 복속한 후 취한 지배정책은 간접지배와 직접지배의 2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간접지배는 다시 초입기(I 단계)와 정착기(II 단계)로 구분하였는데, I 단계는 신라가 처음 강릉지역으로 진출한 시기로 신라는 재지세력의 자치를 그대로 허용하며 간접지배를 실시하였으며, 그 시기는 4세기 4/4분기부터 5세기 2/4분기로 보았다. 그리고 II단계는 신라가 강릉지역의 재지세력들에게 위세품을 하사하여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면서 동시에 신라 중앙에 의해 강릉지역 중심세력인 초당동과 병산동 세력에게 위세품을 분여하여 서로 견제를 하게 만들어 재지세력간 힘의 균형을 통제하였다. 그 시기는 5세기 3/4분기에서 5세기 4/4분기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신라는 강릉지역을 북진의 전초 기지로 인식하고 나서는 직접지배체제로 전환하기 시작한다. 즉, 신라 중앙에서 파견한 지방관을 상주시켜 지방제도를 확립하고 재지세력에 대한 재편과정을 거쳐 중심세력을 초당동 병산동 세력에서 신라와 친연성이 가장 강한 영진리 방내리 세력으로 교체하고 강릉지역을 완전 장악하기에 이른다. 그 시기를 6세기 1/4분기부터로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