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omopathogenic species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6초

곤충병원성 선충을 이용한 느타리버섯해충, 긴수염버섯파리 (Lycoriella mali)의 생물적방제 (Biological Control of Lycariella magi(Diptera: Sciaridae), a Pest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Using Entomopathogenic Nematodes)

  • 김형환;추호렬;이흥수;박정규;이동운;진병래;추영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9-67
    • /
    • 2001
  • 긴수염버섯파리 (Lycoriella mali)에 대한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계통과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함양 계통의 병원성을 실내와 포장에서 실험하였다. 곤충병 원성 선충에 의한 긴수염버섯파리의 치사율은 선충의 종, 농도, 온도 및 긴수염버섯파리의 발육단 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S. carpocapsae가 H. bacteriophora보다, 긴수염버섯파리 2령충보다는 3령충과 4령충에서 효과가 높았다. 그리고 온도에 따른 긴수염버섯파리의 치사율은 $20^{\circ}C$보다는 $25^{\circ}C$에서 높았다. 반수치사농도가 가장 낮았던 값은 $25^{\circ}C$에서 S. carpocapsae의 긴수염버섯파리 2령 충에서 20.0마리, 3령충에서 27.5마리였다. S. carpocapsae에 의한 긴수염버섯파리의 치사율은 알과 1령충을 제외한 전 발육단계에서 병원성이 높았으며, 가장 치사율이 높았던 것은 암컷 성충으로 2$0^{\circ}C$에서 74.0%, $25^{\circ}C$에서 80.0%였다. S. carpocapsae는 긴수염버섯파리 암컷의 산란수를 감소시 켰고, 긴수염버섯파리의 성충에 의하여 감염이 된 후 전파가 되었다. 포장실험에서 S. carpocapsae를 $1.5\;\textrm{m}^2$$2.25{\times}10^{5}마리와\;4.5{\times}10^{5}$ 마리로 처리한 14일째 유충감소율은 42.2%와 81.6%였으며 ,버섯재배사에서 곤충병원성 선충은 14일까지 지속되고 있었다. 곤충병원성 선충은 느타리버섯의 생장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무궁화잎밤나방(Anomis mesogona)과 큰붉은잎밤나방(Anomis commoda)에 대한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계통의 병원성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Pocheon Strain Against Anomia mesogona and Anomis commoda(Lepidoptera: Noctuidae))

  • 김형환;박형순;조윤진;이동운;추호렬;구관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25
    • /
    • 2005
  • 무궁화의 중요한 식엽성 해충인 무궁화잎밤나방(Anomis mesogona)과 큰붉은잎밤나방(Anomis commoda)에 대한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na carpocapsue 포천 계통(ScP)의 병원성을 실내 petri dish와 pot에서 령기별(2령, 3-4령, 5령)로 검정하였다. 큰붉은잎밤나방과 무궁화잎밤나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_{50})$는 령기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여 선충에 대한 감수성이 감소하였는데, 2령충의 경우 각각 9.7과 4.5였다. 그리고 Pot에서도 ScP의 병원성은 령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ScP는 큰붉은잎밤나방과 무궁화잎밤나방의 2령충에 대하여 가장 높은 치사율을 보였는데, 90,000마리/pot($=1\times10^9$ 마리/ha) 처리 시 각각 $72.5\%$$87.5\%$의 치사율을 보였다. 반면 3-4령충부터는 병원성이 감소하여 큰붉은잎밤나방과 무궁화잎밤나방 5령충에 대해서는 처리 5일 후, 90,000마리/pot 처리 시 각각 $5.0\%$$10.0\%$의 치사율만 나타내었다. Pot에 2령충과 3-4령충, 5령충을 각각 10마리씩 접종한 후, ScP를 90,000마리/pot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큰붉은잎밤나방과 무궁화잎밤나방의 치사율은 각각 $69.2\%$$50.0\%$였다.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 성충에 대한 곤충병원성선충의 병원성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to Popillia quadriguttata(Coleoptera: Scarabaeidae) Adult)

  • 이근식;이동운;김형환;이상명;추호렬;신홍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45-150
    • /
    • 2005
  • 골프장의 문제해충들 중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 성충의 방제를 위하여 세 종의 한국산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KCTC 0981BP 계통 (ScK), S. glaseri Dongrae 계통(SgD),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 (HsK)$\}$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3일 후, 녹색콩풍뎅이 성충 한 마리당 900마리의 선충을 처리하였을 때, 치사율은 ScK가 $97.5\%$, HsK가 $90.8\%$, SgD가 $80\%$를 각각 나타냄으로써 이용한 선충 모두가 높은 병원력을 나타내었다. 성충 한 마리 당 900마리의 선충을 처리한 3일 후의 치사율은 ScK는 $v$, HsK는 $90.8\%$, SgD는 $80\%$였다. 선충의 녹색콩풍뎅이 성충 표면부착율과 침입율은 접종 선충의 종과 밀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성충한 마리당 900마리의 선충을 처리하였을 때 녹색콩풍뎅이 성충의 표면에서 검출된 HsK의 비율은 $90.8\%$였으며, SgD는 $90.6\%$, ScK는 $35\%$였다. 녹색콩풍뎅이 성충 내에 침입한 선충의 검출여부에 따른 선충의 침입율은 성충 한 마리 당 900마리의 선충을 처리한 3일 후 ScK는 $97.5\%$, HsK와 SgD는 각각 $80.0\%$를 보였다. 반면, 성충 한 마리 당 90마리의 선충을 처리한 3일 후의 ScK 검출율은 $27.5\%$, SgD는 $72.5\%$였으나 HsK는 발견되지 않았다.

Comparison of the Genomic Structure of the Heat Shock Protein-88(Hsp88) Genes in the Four Entomopathogenic Fungal Strains, Paecilomyces tenuipes Jocheon-1, P. tenuipes, Cordyceps militaris, and C. pruinosa

  • Liu, Ya-Qi;Park, Nam-Sook;Kim, Yong-Gyun;Kim, Keun-Ki;Park, Hyun-Chul;Son, Hong-Joo;Lee, Sang-M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5권1호
    • /
    • pp.99-110
    • /
    • 2012
  • Comparison on the genomic structure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Hsp88 genes from P. tenuipes Jochoen-1, P. tenuipes, C. militaris and C. pruinosa was described. The Hsp88 genes from the three entomopathogenic strains, P. tenuipes Jocheon-1(strain), P. tenuipes(original species), and C. militaris contain the identical genomic structure, namely 5 introns and 6 exons with the length of 13, 62, 32, 1,438, 306, 288 nucleotides encoding 713 amino acid residues, whereas in case of C. pruinosa, it contains 4 introns and 5 exons with the length of 13, 62, 32, 1,744, 288 nucleotides encoding 713 amino acid residues. The genomic DNA length of the Hsp88 genes from P. tenuipes Jocheon-1 and P. tenuipes are both 2,600 nucleotides long in size. The Hsp88 genes from C. militaris and C. pruinosa are 2,582, 2,576 nucleotides long in size, respectively. Hsp88 genes of the P. tenuipes Jochoen-1, P. tenuipes, C. militaris and C. pruinosa also contain the conserved ATP-binding domain.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Hsp genes of the four strains tested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fungal Hsp88 is divided into two separate clades, ascomycetes and deutromycete. Within the ascomycetes fungal clade, the P. tenuipes Jochoen-1 and P. tenuipes formed a subgroup, on the other hand, C. militaris and C. pruinosa formed another subgroup. Pair-wise comparison of P. tenuipes Jocheon-1 Hsp88 with those of P. tenuipes, C. militaris and C. pruinosa Hsp88s revealed significant identity in deduced amino acid sequence among these strains. The P. tenuipes Jocheon-1 Hsp88 showed 99% identity with the P. tenuipes, 97% identity with the C. militaris, and 98% identity with the C. pruinosa.

한국숲모기와 줄다리집모기에 대한 비티플러스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BtPlus against two mosquitoes, Aedes koreicus and Culex vagans)

  • 김용균;사자디안 민우;샤비르 아메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41-54
    • /
    • 2020
  • 안동지역 농가 주변의 정수에서 두 종의 모기가 채집되었다. 형태적 특징을 바탕으로 이들이 한국숲모기(Aedes koreicus)와 줄다리집모기(Culex vagans)로 각각 동정되었다. 또한, DNA 바코드 서열을 분석한 결과 이러한 동정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이들 모기류 유충에 대해 곤충병원세균인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 (BtI)가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유사한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에 비해 우수하였다. 한편 곤충의 면역억제를 유발하여 B. thuringiensis의 병원력을 높인다고 알려진 Xenorhabdus 세균류의 배양액을 BtI에 첨가하여 이들 모기류에 대한 살충력 증가 효과 유무를 확인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3 종류의 Xenorhabdus 세균배양액 가운데 X. ehlersii (Xe)의 배양액이 비교적 다른 세균배양액에 비해 두 종의 모기류에 대해서 BtI의 살충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Xe 세균배양액으로부터 유기용매 추출물의 생물활성을 분석한 결과 모기의 혈구 활착행동을 뚜렷이 억제시키는 면역억제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BtI와 Xe의 두 세균을 혼합한 비티플러스 미생물제제가 한국숲모기와 줄다리집모기의 방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제시한다.

Neuroprotective and Anti-Neuroinflammatory Activities of Anthraquinones Isolated from Photorhabdus temperata Culture Broth

  • Yang, Eun-Ju;Kim, Seo-Hyun;Lee, Kyeong-Yeoll;Song, Kyung-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12-21
    • /
    • 2018
  • Photorhabdus temperata (PT), a gram-negative bacterium, lives symbiotically within entomopathogenic nematodes. The insecticidal compounds derived from Photorhabdus are used as biopesticides in agriculture. However,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are not well characterized. In the course of our screening for neuroprotective and anti-neuroinflammatory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the culture broth of PT showed considerable activities. By activity-guided purification, five anthraquinones, namely, 3-methoxychrysazine (1), 1,3-dimethoxy-8-hydroxy-9,10-anthraquinone (2), 1,3,8-trihydroxy-9,10-anthraquinone (3), 3,8-dihydroxy-1-methoxy-9,10-anthraquinone (4), and 1,3,4-trimethoxy-8-hydroxy-9,10-anthraquinone (5), were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PT culture broth. Among the isolated compounds, $75{\mu}M$ 3 significantly protected mouse hippocampal neuronal cells (HT22) against 5 mM glutamate-induced cell death via the inhibi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Ca^{2+}$ influx, and lipid peroxidation. Additionally, 3 and 4 effectively suppressed the interferon-${\gamma}$-induced neuroinflammation of mouse-derived microglial cells (BV2) at 10 ng/ml, via the reduction of nitric oxide, interleukin-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thraquinones 3 and 4 derived from the PT culture broth are a potential starting point to discover neuroprotective and anti-neuroinflammatory drug leads. The novel compound 5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Identification of Entomopathogenic Fungus, Beauveria spp. F-101 Isolated from Thecodiplosis japonensis Using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

  • Shin, Sang-Chul;Roh, Jong-Yul;Kim, Chul-Su;Park, Il-Kwon;Jeon, Mun-Jang;Je, Yeon-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8권1호
    • /
    • pp.77-80
    • /
    • 2004
  • For the development of the alternative control system against the major forest pests, Beauveria spp. F-101, isolated from a dead larva of Thecodiplosis japonensis, was selected because this isolate showed high pathogenicities against T. japonensis and Acantholyda parki. Beauveria spp. F-101 had irregular clustered conidio-phores and conidia borne on a distinctive apical zigzag extension, and it showed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genus, Beauveria in morphology. For molecular based-identification, the ribosomal ITS region of Beauveria spp. F-101 was amplified with ITS1 and ITS4 primers, and cloned into pGEM- T Easy vector. The amplified PCR product was 569 bp in size and completely sequenced. The similarities of the cloned ITS sequence were 99 % and 97% to those of B. bassiana and B. brongniartii, respectively. In comparison to other species among the genus Beauveria, the ITS region of Beauveria spp. F-101 showed a similarity of 95% to B. amorpha, 95% to B. tenella, 89% to B. vermiconia and 69% to B. alba, respectively. In addition, in comparison to different genus, it had 95% similarities to Cordyceps militaris and 91% to Paecilomyces tenuipes. Accordingly, the current result suggests that Beauveria spp. F-101 was a variant of B. bassiana and it seems to be a new isolate considering sequence variation in ITS region.

분리된 동충하초 균주를 이용한 자실체 생산 (Production of Fruiting Body Using Cultures of Entomopathogenic Fungal Species)

  • 성재모;최영상;이현경;김상희;김용욱;성기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1호통권88호
    • /
    • pp.15-19
    • /
    • 1999
  • 배양실내에서 인공적으로 자실체의 형성을 유도한 결과 PDA와 번데기분말을 혼합한 배지상에서는 자실체의 형성을 유도할 수 없었다. 쌀을 이용한 곡물 배지에 수분함량을 달리하고 번데기를 첨가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 알락미에서는 곡물:수분함량이 1:3.5의 비율로 한배양기에서 가장 왕성한 자실체 생산을 보여 주었으며 현미의 경우는 곡물: 수분함량이 1:2.5로 조성된 배양기와 번데기를 첨가한 배양기에서 우수한 자실체 형성을 보여주었다. 자실체 형성적정 온도로는 $20^{\circ}C$가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현미와 번데기를 첨가하며 조제한 배양기내에서 자실체형성을 유도한 결과 자실체 형성 우수균주로서 최종 C. militaris 25균주, C. scarabaeicola 2균주 등 27개 균주를 선발할 수 있었다. 현미와 누에번데기를 넣어 만든 배양기내에서의 자실체 형성은 약 50일내지 65일 사이에 완전한 형태의 자실체 형성을 볼 수 있었다.

  • PDF

The Stress-Responsive and Host-Oriented Role of Nonribosomal Peptide Synthetases in an Entomopath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 Liu, Hang;Xie, Linan;Wang, Jing;Guo, Qiannan;Yang, Shengnan;Liang, Pei;Wang, Chengshu;Lin, Min;Xu, Yuquan;Zhang, Liwe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3호
    • /
    • pp.439-449
    • /
    • 2017
  • Beauveria bassiana infects a number of pest species and is known to produce insecticidal substances, such as the nonribosomal peptides (NRPs) beauvericin and bassianolide. However, most NRPs and their biological roles in B. bassiana remain undiscovered. To identify NRPs that potentially contribute to pathogenesis, the 21 predicted NRP synthetases (NRPSs) or NRPS-like proteins of B. bassiana ARSEF 2860 were primarily ranked into three functional groups: basic metabolism (7 NRPSs), pathogenicity (12 NRPSs), and unknown function (2 NRPSs). Based on the transcript levels during in vivo growth on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innaeus)), half of the Group II NRPSs were likely to be involved in infection. Given that the metabolites biosynthesized by these NRPSs remain to be determined, our result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the NRPSome in fungal pathogenesis, and will serve as a guide for future genomic mining projects to discover functionally essential and structurally diverse NRPs in fungal genomes.

느타리버섯 재배사에서 한국산 Steinernema와 Heterorhabditis를 이용한 버섯혹파리(Mycophila speyeri)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Mycophila speyeri Barnes (Diptera: Cecidomyiidae) using Korean Steinernema and Heterorhabditis Isolates in Pleurotus ostreatus Cultivation House)

  • 김형환;추호렬;이동운;이흥수;전흥용;하판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33-239
    • /
    • 2004
  • 느타리버섯 재배사에서 버섯혹파리(Mycophila speyeri)에 대한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계통, S. logicaudum 논산 계통, S. glaseri 동래 계통,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함양 계통과 Heterorabditis sp. 경산 계통의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5종의 한국산곤충병원성 선충 중 버섯혹파리에 대한 방제는 steinernema 속 3종보다 Heterorhabditis 속 2종의 효과가 높았다. 방제효과가 가장 높았던 종은 H. bacteriophora 함양 계통이었으며, $1.5 m^2$$1\times10^6$ 마리로 처리한 7일, 14일, 21일째 방제효과는 창녕에서 $49.0\%,\;89.5\%,\;89.1\%$였고, $1\times10^5$마리로 처리했을 때는 $46.5\%,\;76.7\%,\;85.4\%$였다. 그리고 진주에서는 $1\times10^6$마리로 처리한 7일, 14일, 21일째 방제효과가 $54.0\%,\;74.5\%,\;79.8\%$였으며, $1\times10^5$마리로 처리했을 때는 $49.0\%,\;76.6\%,\;61.1\%$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