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omopathogenic species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7초

The Effect of Pathogenicity on Trehalose Concentration in Entomopathogenic Nematodes

  • Kim, Chang-Hoon;Nam, Uk-Ho;Synn, Dong-Su;Park, Jae-Sung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I)
    • /
    • pp.730-735
    • /
    • 2003
  • 본 실험에서는 분리된 곤충병원성 선충 6종의 온도에 따른 trehalose의 농도와 병원성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온도 적응, oil, glycerol을 이용하여 trehaolse 생성량 조절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저온에서는 S. longicaudum G1 종이 $81.92{\mu}g/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온에서는 S. glaseri Agr B3 $71.22{\mu}g/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S. longicaudum G1을 저온에서 적응 시켰을 경우 병원성과 trehaolserk 향상되었으며 S. glaseri Agr B3 종일 경우 고온에 적응 시켰을 경우 역시 향상되었다. glycerol 20%과 oil 전 농도에서 처리하였을 경우 도 종 모두 다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동충하초 자원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고찰 (Study on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Entomopathogenic Fungi, Cordyceps Species)

  • 남성희;정이연;홍인표;지상덕;박해철;이진근;이명렬;장승종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8-2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동충하초 연구정보 구축 및 정보이용을 위한 효율성을 제고를 목적으로 Paecilomyces tenuipes 재배관리 요소와 Cordyceps 종의 특성분석에서 요구되는 주요 요소를 설정, 표준화하고자 하였다. 결과 Paecilomyces tenuipes 재배관리에 요구되는 주요 요소는 재배일정에 따라 누에사육과정, 버섯재배과정, 관리과정의 3항목으로 구분하였다. 누에사육 및 버섯재배과정은 3개 하부항목으로 세분하여 온도, 습도 경과일수를 조사하였다. 기타 항목으로는 사육도구, 소요장비 등이다. 동충하초 종별 특성조사 요소로는 일반적 균 특성과 분류학적 균 특성을 중심으로 14 Item, 41 Division으로 구분하였는데, 14 Item은 일반사항, 기주, 자낭각, 분생포자 등 구조물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14 Item에 관한 크기, 색상 등에 따라 41 Division으로 세분하였다.

Antagonistic Efficacy of Symbiotic Bacterium Xenorhabdus sp. SCG against Meloidogyne spp.

  • Jong-Hoon Kim;Byeong-Min Lee;Hyung Chul Lee;In-Soo Choi;Kyung-Bon Koo;Kwang-Hee S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8호
    • /
    • pp.1627-1635
    • /
    • 2024
  • The inhabitation and parasitism of root-knot nematodes (RKNs) can be difficult to control, as its symptoms can be easily confused with other plant diseases; hence, identifying and controlling the occurrence of RKNs in plants remains an ongoing challenge. Moreover, there are only a few biological agents for controlling these harmful nematodes. In this study, Xenorhabdus sp. SCG isolated from entomopathogenic nematodes of genus Steinernema was evaluated for nematicidal effects under in vitro and greenhouse conditions. The cell-free filtrates of strain SCG showed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Meloidogyne species J2s, with mortalities of > 88% at a final concentration of 10%, as well as significant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the three other genera of plant-parasitic nematode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ymine was isolated as active compounds by assay-guided fractionation and showed high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M. incognita. Greenhouse experiments suggested that cell-free filtrates of strain SCG efficiently controlled the nematode population in M. incognita-infested tomatoes (Solanum lycopersicum L., cv. Rutgers). In addition, a significant increase in host plant growth was observed after 45 days of treatment.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to demonstrate the nematicidal activity spectrum of isolated Xenorhabdus species and their application to S. lycopersicum L., cv. Rutger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Xenorhabdus sp. SCG could be a promising biological nematicidal agent with plant growth-enhancing properties.

밤 종실해충 방제를 위한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계통과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함양 계통의 실용적 활용 (Practical Utiliza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 carpocapsae Pocheon Strain and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Hamyang Strain for Control of Chestnut Insect Pests)

  • 추호렬;김형환;이동운;이상명;박선호;추영무;김종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9-76
    • /
    • 2001
  •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계통(ScP)과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함양 계통(HbH)을 이용한 밤 종실해충의 실용적인 방제를 위하여 밤나무 재배농가 에서 취하는 여러 가지 종실처리법과 관련하여 알아보았다. 수확 후의 밤 종실에는 밤바구미, 복숭아명나방, 밤애기잎말이나방 유충이 발견되었으며, 한 종실에 한 종류의 해충이 발견된 것은 58%로 밤바구미가 18%,복숭아명나방이 27.7%, 밤애기잎말이나방이 12.3%였다. 반면, 밤바구미와 복숭아명나방이 함께 발견된 종실은 3.3%, 밤바구미와 밤애기잎말이나방이 함께 발견된 종실은 5.0%,복숭아명나방과 밤애기잎말이나방이 함께 발견된 종실은 7.7%, 밤바구미와 복숭아명나방, 밤애기잎말이나방 등 3종의 해충이 함께 발견된 종실이 5.0%였다. ScP와 HbH는 모든 종류의 종 실해충에 효과가 있었고, 밤애기잎말이나방보다는 밤바구미와 복숭아명나방에 더 효과적이었다. ScP의 $LC^{50}$값은 밤바구미 유충이 14.6마리, 복숭아명나방 유충이 4.6마리, 밤애기잎말이나방 유충 이 5.6마리 였고, HbH의 LC$^{50}$ 값은 밤바구미 가 49.2마리 . 복숭아명나방이 5.8마리 , 밤애기잎말이나방 이 13.9마리였다. ScP을 pot내의 종실에 4,813마리/pot$(1\times10^{9}$마리1ha)의 농도로 처리한 것에서도 종실내의 밤바구미 유충은 85.3%,복숭아명나방 유충은 96.9%, 밤애기 잎말이나방 유충은 68.1%가 치사되었고, HbH의 처리에서는 각각 60.7%, 96.5%, 66.8%의 치사율을 보였다. 두 선충을 단독 처 리의 반수 농도로 혼합 처리하였을 때는 ScP에 의한 치사가 Hb보에 의한 치사보다 모든 농도에서 높았다. 그리고 ScP현탁액에 종실을 처리하여도 침지시간과 농도에 관계없이 종실내의 밤바구미, 복숭아명나방, 밤애기 잎말이나방 유충은 높은 비율로 치사되었다.

  • PDF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에 대한 두 곤충병원세균(Xenorhabdus nematophila K1과 Photorhabdus temperata subsp. temperata ANU101) 배양물질의 Bt 병원성 제고 효과 (Two Entomopathogenic Bacteria, Xenorhabdus nematophila K1 and Photorhabdus temperata subsp. temperata ANU101 Secrete Factors Enhancing Bt Pathogenicity against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 서삼열;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85-392
    • /
    • 2009
  • Xenorhabdus nematophila (Xn)와 Photorhabdus tempeerata subsp. temperata (Ptt)의 곤충병원세균을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의 혈강에 주입할 경우 높은 병원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들 세균 배양액의 섭식 처리에 따른 배추좀나방에 대한 병원성 유기를 조사하였다. 세균 배양액만을 이용하여 배추좀나방 3령충에 섭식 처리한 결과 뚜렷한 병원성을 유발하지 못하였으나, Bacillus thurigiensis(Bt) 와 혼합 처리하였을 때 높은 Bt 병원성 제고 효과를 나타냈다. 물질 추적을 위해서 이 세균 배양액을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수용액 추출 분획구로 분리하였다. 대부분이 Bt 상승효과는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분획구에서 나타났다. Thin layer chromatography 분석 결과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구가 대사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이 헥산 또는 수용액 추출 분획구에 포함된 물질과는 상이하다는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이들 곤충병원세균이 Bt 병원성을 제고시키는 물질을 생산하고 배양액으로 분비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에 대한 알팔파바구미의 감수성 실내 검정 (Susceptibility of the Alfalfa Weevil, Hypera postica (Coleoptera: Curculionidae) to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in Laboratory Assays)

  • 김형환;한건영;박정찬;추호렬;조성래;이홍수;이동운;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47-151
    • /
    • 2007
  •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 S. carpocapsae GSN1 계통(ScG), S. glaseri Dongrae 계통(SgD),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Hamyang 계통(HbH) 및 Heterorhabditis spp. Cyeongsan 계통(HeG)에 대한 알팔파바구미의 감수성을 실내 페트리디쉬 검정하였다. 알팔파바구미의 유충 치사율은 선충 종과 처리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알팔파바구니의 유충 한 마리당 각 선충 계통의 감염충(3령충)을 20마리 이상 접종했을 때 3일 후 77.5(HbH)-100(SgD)의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선충의 침입수는 선충 종과 처리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증식수는 유의적 인 차이가 없었다. 침 입수에서는 SgD를 알팔파바구미 유충 한 마리당 80마리로 접종했을 때 30.2마리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증식수는 HeG를 알팔파바구미 유충 한 마리당 80마리로 접종했을 때 2,671.5로 가장 많았다.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 4 계통은 알팔파바구미의 성충에는 전혀 기생하지 않았으나 노숙 유충에 대해서는 매우 감수성이었다.

톨페스큐에서 곤충병원성선충의 멸강나방에 대한 효과 검정 (Evalua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against Armyworm, Pseudaletia separata on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 정영학;김종주;유은주;이채민;추호렬;이동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3호
    • /
    • pp.312-317
    • /
    • 2013
  • 2013년 경남 남해에 소재하고 있는 골프장의 톨페스큐(Festuca arundinacea)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한 멸강나방(Pseudaletia separata)의 친환경 방제를 위하여 톨페스큐에서 7종의 곤충병원성 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GSN1 strain, S. glaseri Dongrae strain, S. longicaudum Nonsan strain, S. monticolum Jiri strain, S. siamkayai, Heterorhabditis sp. Gyeongsan strain, H. bacteriophora Hamyang strain)을 이용한 효과를 실내 pot와 야외의 발생 골프장에서 검정하였다. 그 결과, 멸강나방에 대한 효과는 곤충병원성 선충의 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Pot에서 S. carpocapsae GSN1 계통은 멸강나방 5령충에 대하여 100%의 치사율을 보였다. 그리고 각 pot에 처리한 385마리-6,160마리 농도($=2.5{\times}10^2-4{\times}10^5$ 마리/$m^2$)에서는 농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치사율 80-100%). 골프장의 톨페스큐 포장에서는 S. carpocapsae GSN1 계통과 S. longicaudum Nonsan 계통 처리에서 각각 65%와 60%의 보정사충율을 나타내었다.

곤충병원성 선충을 이용한 목화바둑명나방(Palpita indica Saunder)의 생물적방제 (Biological Control of Cotton Caterpillar, Palpita indica Saunder (Lepidoptera: Pyralidae) with Entomopathogenic Nematodes)

  • 김형환;추호렬;박정규;이상명;추영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5-252
    • /
    • 2001
  • 목화바둑명나방에 대한 곤춘병원성 선충의 병원성은 선충의 종과 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치사율은 령기에 따라 달랐다. 실험에 사용한 S. carpocapsae 포천 계통, S. glaseri 동래 계통, S. longicaudum 논산 계통, H. bacteriophora 함양 계통과 Heterorhabditis sp. 경산 isolate 중 S. carpocapsae의 효과가 가장 좋았다. 목화바둑명나방 유충 한 마리당 S. carpocapsae를 20마리 이상 처리하였을 때 72시간 후 5령충과 전용을 제외하고는 모든 령기에서 거의 100%의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어린 유충일수록 감수성이 높았다. 곤충병원성 선충의 목화바둑명나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는 선충의 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S. carpocapsae의 경우 령기에 따라 4.9~8.2마리였다. 각 령기에서 유충 한 마리당 선충을 20마리 접종하였을 때 가장 짧은 반수치사시간은 S. carpocapsae의 경우 령기에 따라 3.4~9.2시간이었다. 목화바둑명나방의 S. carpocapsae에 대한 치사율은 실험장소, 처리농도, 오이 잎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S. carpocapsae의 ha당$ 1$\times$10^{9}$ /마리 처리구보다 $3$\times$10^{9}$ 마리구에서, 노지보다 시설하우스에서, 상엽과 중엽보다 하엽에서 치사율이 높았다.

  • PDF

시설재배지에서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tid와 Heterorhabditid를 이용한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Lepidoptera: Noctuidae) with Entomopathogenic Nematodes(Steinernematid and Heterorhabditid) in Greenhouse)

  • 김형환;조성래;이동운;이상명;추호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35-343
    • /
    • 2006
  • 엽채류 재배지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파밤나방을 환경친화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토양에서 분리한 steinemematid 선충과 heterorhabditid 선충 5계통(Steinernama carpocapsae GSN1, Steinernema sp. GSNUS-10, Steinernema sp. GSNUS-14,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Hamyang, Heterorhabditis sp. GSNUH-1)을 이용하여 petri dish와 pot 및 엽채류 재배 온실에서 병원성과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곤충병원성 선충 5계통의 파밤나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_{50}$)를 조사한 결과, 선충의 계통과 파밤나방의 령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LC_{50}$은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GSN1) 계통이 파밤나방 $2{\sim}4$령충에서 $3.8{\sim}5.1$마리로 가장 낮았다. 파밤나방에 대한 pot와 시설재배지에서의 병원성 실험결과도 선충 계통, 처리농도, 처리횟수 및 엽채류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Steinernema 계통 선충들이 Heterorhabditis 계통 선충들보다 병원성이 높았다. 선충의 처리회수에 따른 파밤나방 유충 치사율은 선충의 계통과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1회 처리보다 2회와 3회 처리에서 방제효과가 높았다. 파밤나방에 대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방제효과는 양배추나 케일보다 배추에서 높았다. 시설 재배지에서 GSN1이 파밤나방에 대한 방제효과가 가장 높았고, 처리농도에서는 $m^2$당 100,000마리(720,000마리 $7.2m^{-2}=1{\times}10^9$마리 $ha^{-1}$)가 다른 두 농도처리보다 높았다.

Entomopathogenicity of Simplicillium lanosoniveum Isolated in Korea

  • Lim, Sung Yeol;Lee, Sehee;Kong, Hyun Gi;Lee, Jungkwan
    • Myc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317-321
    • /
    • 2014
  • Fruiting bodies similar to those of the ascomycete fungi Podostroma cornu-damae and Cordyceps militaris were collected from Mt. Seunghak in Busan, Korea on August 21, 2012. The fruiting bodies were cylindrical, with tapered ends and golden red in color. The fruiting bodies contained abundant conidiophores bearing single-celled conidia, but no perithecia or asci. Pure culture of the fungal isolates was obtained through single-spore isolation. Analyse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conidia shape, and phylogenetic traits, using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showed that these isolates belonged to the species Simplicillium lanosoniveum. Although this fungal species is known to be mycoparasitic, the isolate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unable to infect fungi. However, silkworms (Bombyx mori) inoculated with the fungal isolates died during the larval or pupal stages, as has been shown for the strongly entomopath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This study is the first report of the entomopathogenicity of S. lanosoniveum and indicates its potential for use in biological control of ins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