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nglish Proficiency Test for Aviation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Research for Improvement of EPTA(English Proficiency Test for Aviation) (항공영어구술능력증명시험 개선방안 연구)

  • Lee, Ki 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24 no.4
    • /
    • pp.70-80
    • /
    • 2016
  •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established ICAO LPRs(Language Proficiency Requirements) which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of English for aviation to promote the aviation safety. The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amended the aviation law on the 8th of November, 2005 and made EPTA(English Proficiency Test for Aviation) as a follow up actio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nalysing the problem of EPTA and improving it. This investigation takes a look at the current ICAO LPRs and compares the difference between EPTA and other global English proficiency requirements for avia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is a discordance between the standards of ICAO and EPTA. Also, the global English proficiency reqirements for aviation and EPTA had differences which required improvements. The study suggests to replace more job relevant questions in the EPTA and reform the level system of EPTA.

Satisfaction Study of English Proficiency Test for Aviation (항공영어구술능력시험 만족도 연구)

  • Lee, JunSae;Choi, JinK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27 no.4
    • /
    • pp.114-118
    • /
    • 2019
  • EPTA(English Proficiency Test for Aviation) was not very aviation realistic test before 2019. Testee needed pass listening test first. Then testee could take speaking test. There were 20sets of speaking test. If the testee memorize well, he or she could pass the test easily even though he or she was not very good at English. So the pilot and the authority agreed to change the format of EPTA since 2016. Through development of new EPTA format, the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started new EPTA test since January, 2019. It has been one year since the new format of EPTA started. Now I try to survey satisfaction of new EPTA through questionnaire.

Face Validity Analysis of Revised English Proficiency Test for Aviation (EPTA) - Based on the Pilot's Flying Experience - (개정된 항공영어구술능력시험(EPTA)의 안면타당도 분석 - 조종사의 비행경력을 중심으로-)

  • Choi, Kyung Ho;Kim, Soo-Y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28 no.4
    • /
    • pp.12-2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e validity of the revised EPTA (English Proficiency Test for Aviation) to see if the tests actually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aviation safety and achieve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In order to reach the above objectives, 103 pilot test takers were surveyed, and nine in-depth interviewee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In addition, detailed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dividing the participants into the pilot's flight experience (31 captain pilots, 42 first officer pilots, and 30 general commercial pilots). As a result, pilot participants were generally aware that EPTA was more reasonable because the revised EPTA properly implemented the aviation situation and gave participants motivation to learn aviation English. It was also seen that first officer pilots had a higher face validity of EPTA than captain and general commercial pilots. The reason was that first officer pilots considered air traffic control job was more important than other pilots did.

An Analytic Study of the cognitive features of the Korean civilian pilot-ATC controller aviation English language use which affects job performance (국내 민간조종사-관제사의 항공영어 수용오류의 인지적 특성측정 및 평가)

  • Sin, Hyon-Sam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9 no.6
    • /
    • pp.81-88
    • /
    • 2007
  • This study deals with the overall meta-cognitive aspects of ATC-Pilot miscommunications pertinent to cognitive human errors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research which it has been focused on the issue of the global aviation English use in regard with aircraft accident and incident. Especially, it addresses the concern over the ICAO aviation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program which will be implemented globally in March, 2008. In addition, It presents the analysis related to the on-going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level four test conducted for Korean civil airlines pilots and air traffic controllers.

Aviation English and Test in Korea -Based on a Survey for Pilots and ATCs- (한국의 항공영어 시험에 관한 연구 -조종사와 관제사의 설문조사 중심으로-)

  • Choi, Jeo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26 no.1
    • /
    • pp.44-56
    • /
    • 2018
  • 2003년 ICAO가 국제 조종사에 관한 언어능력 기준을 제시한 이래로 국제노선에 취항하는 한국 항공 종사자들은 영어 능력을 증명하기 위한 노력을 해왔다. 1969년 처음으로 항공영어교육이 시작되고 2006년 처음 시험이 도입되면서 한국은 이를 충족하기 위한 알맞은 영어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려 시도해 왔다. 그러나, 항공영어 교육과 시험에 관련된 문제점들이 꾸준히 제기되었고 특히 항공 종사자들의 필요와 요구에 맞지 않는 시험 제도와 내용에 대한 논쟁이 끊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에서 항공영어와 교육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더불어, 106명의 항공종사자에게 실시한 설문지를 토대로 그들의 항공영어와 일반영어에 관한 의견, 항공영어시험에 관한 의견을 수집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참여자들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항공영어시험이 실제 업무를 효과적으로 반영하지 않으며, 좀 더 실제적인 내용이 시험에 반영되기를 희망하였다. 즉, 항공영어 시험이 좀 더 업무에 사용되는 영어를 많이 반영하고 난이도를 고려한 새로운 형태의 시험이 개발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설문지를 통하여 나타난 여러 사항들을 바탕으로 향후 항공영어 평가가 나아갈 방향을 항공종사자의 측면과 관련 교육기관과 시험출제자, 관련 당국 등 3 가지 분야로 나누어 논의 하였다.

Analysis of the English Proficiency Test for Aviation (항공영어구술능력증명시험 분석)

  • Lee, Gi-Il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5.11a
    • /
    • pp.121-126
    • /
    • 2015
  • 국제민간항공기구는 항공안전을 도모하는 차원에서 ICAO 항공영어제도(ICAO LPRs)의 국제 표준을 제정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2005년 11월 8일 항공법을 개정하여 항공영어능력증명시험(EPTA)을 만들었다. 본 연구는 항공영어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는 우리 항공영어제도와 해외사례를 비교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리 항공영어제도와 ICAO 항공영어제도, 다른 나라 항공영어제도 사이에 차이점들이 나타나고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선은 직무연관성을 보강하는 방향으로 문항개선과 등급제도 개선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EPTA Textbooks - Based on the Analysis of Textbook Satisfaction - (EPTA 교재 중요성에 대한 고찰 - 교재 만족도 분석 중심으로 -)

  • Jeon, Seung Joon;Kim, Kyoung Eun;Jung, Yun Sic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28 no.4
    • /
    • pp.102-116
    • /
    • 2020
  • The existence of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s in foreign language is very essential especially if it is related to safety. Among them, the importance of textbooks is more emphasized because there is no suitable education or curriculum for EPTA (English proficiency test of aviation). A good textbook not only presents the right direction to study but also provides an efficient way to learn. This research exploded how well textbooks for EPTA are organized and analyzed current pilots' responses whether the textbooks are suitable for preparing EPTA through the questionnaire. The conclusion drawn is that textbooks for EPTA should be designed to encourage current and pre-pilots to learn how to communicate with controllers efficiently and briefly, and also should provide proper guide lines for preparing EPTA.

A Research on Assessing and Improving EPTA (English Proficiency Test for Aviation)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 Choi, Jin-Kook;Olivares, Cynthia Iris Aria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30 no.2
    • /
    • pp.78-85
    • /
    • 2022
  • 항공교통관제사와 조종사 사이의 의사소통은 항공기 운항 안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민간항공운송산업의 발전과 안전 도모를 위해 조종사 영어자격능력 시험을 의무사항으로 규정하고 있다. 왜냐하면 조종사의 우수한 의사소통능력은 비상상황 또는 비정상상황을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매우 필수적인 능력들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국토교통부는 2006년부터 ICAO EPTA 시험을 민간항공운송에서 조종사 의무자격시험으로 법적으로 규정하고 산하기관인 교통안전공단을 통해 시험을 주관하고 있다. 본 연구는 EPTA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의 시험에 대한 신뢰성을 증진시키고 시험제도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EPTA 시험제도와 관련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둘째, EPTA 시험제도의 국내에서 정착 및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셋째, EPTA 시험제도의 신뢰성증진 및 발전방안 모색을 위해 총 15명의 항공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론의 질적연구를 통해 연구자들은 국외 ICAO 공식 인증 EPTA 시험결과와 국내 교통안전공단이 주관하는 EPTA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교차응시에 따른 EPTA 등급을 비교·분석할 수 있었으며 시험응시자들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국내 EPTA 시험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