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lish Education Policy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6초

유튜브 비디오 보기 활동이 영어 독해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Youtube Video-Watching Activities and their Effects on Improving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 김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1-9
    • /
    • 2019
  • 본 연구는 유튜브 비디오 보기 활동이 국내 대학생의 영어 독해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 유튜브 비디오 보기 활동을 통해 국내 대학생의 영어 독해 능력이 실제로 상승하는지 여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6주 동안 총 148명의 참가자가 세 개의 실험그룹과 한 개의 통제그룹으로 나뉘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각각의 실험그룹은 수업 시작 전, 수업 중, 수업 종료 후 유튜브 비디오 보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연구 시작 전과 종료 후 각각 사전 사후 독해 능력 평가를 실시한 후,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유튜브 보기 활동의 효과를 파악하였고, 그룹 간 비교를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사전 사후 평가 결과 모든 실험 그룹에서 영어 독해 능력이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 유튜브 비디오 보기 활동의 효과를 증명하였다. 한편 독해 능력 상승에 대한 그룹 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영어 독해 능력 향상을 위한 유튜브 비디오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

영어 문법 실력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챗봇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for Improving English Grammar Skills)

  • 김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37-46
    • /
    • 2019
  • 본 연구는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채팅 활동이 국내 대학생의 영어 문법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 챗봇과의 채팅을 통해 실험 참가자의 영어 문법 능력이 실제로 상승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총 16주 동안 70명의 참가자가 챗봇 그룹과 인간 그룹으로 나뉘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참여인원은 각각 36명, 34명이었다. 챗봇 그룹은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주제로 챗봇과의 채팅에 참여하였고, 인간 그룹은 같은 반 학생들끼리 짝지어 채팅을 진행하였다. 채팅 활동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 시작 전과 종료 후, 사전 사후 영어 문법 시험을 실시하였고, 그룹 간 비교를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사전 사후 평가 분석 결과, 두 그룹 모두에서 영어 문법 능력이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채팅 활동의 효과를 증명하였다. 문법 능력 상승에 대한 그룹 간 차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져 국내 영어 교육에 있어서 챗봇의 긍정적인 역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영어 문법 능력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챗봇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

양화사 구문에서의 예외적 주어-동사 수 일치 규칙 소거 (Eliminating Exceptional Subject-Verb Agreement rules in English Quantificational structure)

  • 이재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529-535
    • /
    • 2014
  • 본 연구는 일반적인 영어교재에서 주어-동사 수 일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예외적 규칙들과 다소간의 모호성이 존재하는 양화사 구조 구문에서 수 일치의 일관성을 설립하기 위함이다. 일관성의 부재는 문법성에 치명적 오류를 산출할 수 있다. 영어의 양화사 수 일치 구조에 있어서 일반적인 교재들에서 다루고 있는 예외적 규칙들은 불필요하다고 여겨지고 보편적인 주어-동사 수 일치 문법만으로 충분히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으며 예외적 규칙을 더하는 것은 영어의 문법성을 더욱 복잡하고 어렵게 만드는 것이다. 양화사들에 각기 내재되어 있는 양화사 고유특성들이 양화사가 대명사적으로 사용될 때에도 고유의 특성을 유지하게 되고 그 결과 양화사 구문의 주어-동사 수 일치와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양화사 구문에서의 주어-동사 수 일치와 명사-대명사의 수 일치 규칙을 접목하여 양화사 구문의 수 일치 규칙을 단순화하여 문법성을 체계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워드프로세서의 영어문장 어법오류 인식개선을 통한 영어구문작성 향상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writing by applying error indication function in word processor)

  • 이재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285-290
    • /
    • 2020
  • 본 연구는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영어텍스트구문을 작성하는 사용자들의 영어작문능력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컴퓨터와 IT기술의 발달로 영어작문능력 향상을 위한 컴퓨터보조언어학습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프로그램들은 일부 단어의 철자, 접속사의 필요성, 주어-동사의 수일치 등과 같은 몇몇 문법오류사항을 인식하여 표시해주는 기능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작성한 영어문장의 적절성에 대한 소수의 오류사항을 알려주고 있지만 영어문장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명사구성립의 적법성에 대한 오류인식은 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워드프로세서의 문장오류인식 프로세스에 명사구성립인식 기능을 추가하여 더 나은 오류인식기능을 갖추도록 개선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문장적법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 방법은 문장 내에 사용된 명사를 추적하여 해당 명사가 문장요소로 사용되기 위한 최소단위인 명사구성립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오류표기를 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사용자는 오류사항에 대한 인식을 통해 자신이 작성한 텍스트의 문장 적법성을 확인하고 수정하면서 문장작성 능력 및 적절한 어법의 사용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할 것이라 판단된다.

영어 초임교사의 교직 사회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of Novice English Teachers at the First Years)

  • 장경숙;전영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411-421
    • /
    • 2020
  • 타 교과교육 분야에서 연구를 통해 초임교사에 대한 연구는 교직 사회화 과정이 교직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어 초임교사들이 직장에서 적응해 가는 과정에 관한 것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직 사회화 변인으로 구성된 설문 조사를 통해 영어 초임교사의 사회화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초임교사의 사회화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6가지 요인 즉, 학생과의 관계, 교수학습, 동료 관계, 학교 관리자의 지원, 학부모와의 관계, 사회적 기대 등을 추출하였다. 설문지는 이 6개 요인과 이들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 44개로 구성되었다. 99명의 중등 영어 초임 교사가 설문 조사에 참여하였다. 각 요소들에 대한 응답 분석에 따르면 영어 초임교사의 사회화 과정에서 교사들은 양성기관에서 습득한 지식과 현직 간 격차를 경험하며, 동료 교사들의 지원에 대해서도 부정적이었으며 교직에 대한 사회적 기대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입문기 연수, 멘토링 같은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전대미문의 코로나 감염증(COIVD-19) 위기 속에서 교사 전문성 제고를 위해 교직에 입문하는 초임교사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교사 사회화에 대한 후속 연구, 교사 교육 정책 및 교사 연수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교사의 지지가 중국 대학생의 영어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er Support on Chinese EFL University Students' Listening Ability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 양정;김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63-7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교사의 지지가 중국 대학생들의 영어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한 대학에서 영어를 전공하고 있는 3학년 학생 총 8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참가자들을 자율성 지지 그룹, 정서적 지지 그룹, 인지적 지지 그룹, 통제 그룹으로 나누었다. 모든 참가자들은 일주일에 두 시간씩 총 17주 동안 영어 듣기 수업에 참가하였고. 실험 집단에 따라 각기 다른 교사의 지지를 받았다. 교사의 지지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험 전과 후 사전 사후 듣기 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그룹의 영어 듣기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교사의 지지가 중국 대학생들의 영어 듣기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 주었다. 그룹 간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정서적 지지보다 자율성 지지와 인지적 지지가 학생의 듣기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EFL환경에서 교사가 수업 계획과 활동을 구성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과학교육학회지는 44년간 어떤 주제로 어떻게 변화했는가? -잠재 디리클레 할당(LDA)을 활용한 토픽모델링 분석- (How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JKASE) Changed for the Past 44 Years?: Topic Modeling Analysis Us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

  • 장진아;나지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85-200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LDA 기반의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에 게재된 연구 논문들이 어떤 주제로 어떻게 변화했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1978년부터 2021년 5월까지 한국과학교육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의 영문초록 총 2,115개에 대한 LDA 기반 토픽모델링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총 23개의 토픽을 추출하였으며 각 토픽들을 관련된 키워드 및 세부 연구주제들과 함께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시간에 따른 토픽들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4년 주기에 대한 각 토픽들의 평균 비중값의 변화를 히트맵으로 시각화하였다. 이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승해온 주제와 하락해온 주제들을 밝혔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꾸준히 연구되어온 전통적인 연구 주제들, 교육 철학이나 연구방법의 변화, 사회나 정책적 요구에 따라 달라져온 연구 주제들을 드러냄으로써 한국의 과학교육연구에 새로운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직에서 이공계학위와 인적자원요소의 가치평가 : 미국사례 (Science & Engineering Degrees and Human Resource Element Value Estimation in Technology Jobs : the US Case)

  • 이세재;이현수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21-229
    • /
    • 2017
  • In the international businesses human resource elements acquired in different countries might have different values in varied industries due to the different quality of education and experiences in the original countries. Using selection models to evaluate expected values in earnings equation of human resource elements such as education and experiences etc. acquired in sending countries, system equations are expanded to examine also the valu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degrees in technology jobs with selectivity bias correction. This paper used the US census survey data of 2015 on earnings, academic degrees, occupations etc. The US has long maintained the policy of accepting more STEM workers than any other countries and helped maintaining own technological leadership. Assuming per capita GDP gap between the sending country and the US downgrades immigrant human resource quality, it rarely affects occupational selection but depresses earnings on average by two or more years' worth of education. Immigrant quality index in the sense of GDP gap appears to be a valid tool to assess the expected earnings of the worker with. Engineering degrees increase significantly the probability of selecting not only engineering jobs but also general management jobs, as well as increasing the expected earning additionally over nine years'worth of education. Getting a technology job is additionally worth about four years of education. Economics and business degrees are worth additionally almost six years of education but humanities degrees depress expected earnings. Since years after immigration does not very fast enhance earnings capacity, education level and English language ability might be more useful criteria to expect better future earnings by.

관제기(1894-1906) 관립 외국어학교 연구 (Official Foreign Language Schools in Korea, 1894-1906)

  • 한용진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57-81
    • /
    • 2017
  • 본 연구는 관제기 관립 외국어학교의 교육사적 의미를 정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 시기 설립 운영된 6개 관립 외국어학교의 교사진 특성과 학생수 변화를 통해 당시 외국어교육 정책과 외국어학교간 비교우위를 살펴보고자 한다. 1894년 갑오개혁을 통해 과거제와 신분제를 폐지한 조선에서 외국어 교육은 근대적 문물 습득과 사회적 지위 상승을 위한 문화자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제기의 외국어학교는 당대 최고 수준의 교육기관이었다. 입학연령은 15세 이상 23세 이하였지만 실제 입학생들 대부분은 20세 이상이었다. 둘째, 관제기 외국어학교의 몇몇 교사 중에는 군사와 외교, 기술 분야 전문가도 있었다. 특히 법어학교 교사 마르텔은 대한제국 시기 중립외교 정책을 전개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셋째, 외국어학교의 학생 모집은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분위기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넷째, 관제기 관립 외국어학교의 입학생 통계를 보면 한어학교, 법어학교, 영어학교의 순으로 비중이 높으며, 이는 당시 재학생 통계상 영어학교와 일어학교에 학생들이 집중된다는 일반적인 주장과는 다른 결과이다. 다섯째, 관제기 관립 외국어학교는 역관통사를 양성할 뿐만 아니라 경세가가 될 수 있는 문무 관료를 양성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인식과 정보기술수용모델에 기반한 디지털 교과서 수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im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Digital Textbooks and Their Acceptance of Digital Textbooks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김영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9-18
    • /
    • 2013
  • 2014년부터 초등학교 3-4학년 학생들이 사회, 과학, 영어 과목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할 예정이고, 그 다음 해에 5-6학년 학생들도 같은 과목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교과서를 아직 접하지 못한 초등학교 교사들이 디지털교과서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고, 정보기술수용모델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이 디지털 교과서를 어느 정도 수용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응답한 많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고, 디지털 교과서 사용에 대해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디지털 교과서를 사용할 경우 유용성과 유희성이 디지털 교과서를 수용하는 데 있어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