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lish Automatic Scoring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Speech Rhythm Metrics for Automatic Scoring of English Speech by Korean EFL Learners

  • 장태엽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66호
    • /
    • pp.41-59
    • /
    • 2008
  • Knowledge in linguistic rhythm of the target language plays a major role in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This study attempts to discover valid rhythm features that can be utilized in automatic assessment of non-native English pronunciation. Eight previously proposed and two novel rhythm metrics are investigated with 360 English read speech tokens obtained from 27 Korean learners and 9 native speakers. It is found that some of the speech-rate normalized interval measures and above-word level metrics are effective enough to be further applied for automatic scoring as they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peakers' proficiency levels. It is also shown that metrics need to be dynamically selected depending upon the structure of target sentences. Results from a preliminary auto-scoring experiment through a Multi Regression analysis suggest that appropriate control of unexpected input utterances is also desirable for better performance.

  • PDF

기계학습을 이용한 중등 수준의 단문형 영어 작문 자동 채점 시스템 구현 (Developing an Automated English Sentence Scoring System for Middle-school Level Writing Test by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 이경호;이공주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1권11호
    • /
    • pp.911-920
    • /
    • 2014
  • 본 논문은 기계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중등수준의 단문형 영어작문 자동채점시스템에 대해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영어 자동채점의 전반적인 수행 방법과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방식, 채점자질의 고려사항에 대해 논한다. 학생 답안의 내용 완성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문서의 내용을 요약한 "개념답안"을 제안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개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자동평가를 수행한다. 자동평가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개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의 결과를 최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최종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최적조합" 결정과정을 제안한다. 실제 학생들의 작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자동채점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문법성과 어휘 응집성 기반의 영어 작문 평가 시스템 (An English Essay Scoring System Based on Grammaticality and Lexical Cohesion)

  • 김동성;김상철;채희락
    • 인지과학
    • /
    • 제19권3호
    • /
    • pp.223-255
    • /
    • 2008
  • 본 논문에서 우리는 문장의 문법성과 텍스트의 어휘 응집성 측정을 위주로 하는 영어 작문 자동평가시스템을 소개하려고 한다. 문법 검사를 위해서는 링크 파서를 사용하고 어휘 연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로제 시소러스를 사용한다. 자동 평가 시스템의 채점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자동 채점과 수동 채점의 결과를 통계적으로 비교한다. 카파 통계와 다국면 Rasch 모형에 따른 분석 결과 자동 채점은 수동 채점과 유사성이 크며 수동 채점과 비교해서 신뢰성에 특별한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다양한 종류의 기술과 도구를 바탕으로 신뢰할 만한 수준의 영작문 자동 평가 시스템을 개발했다는 것이다. 평가 대상이 문장 단위를 넘어 선 텍스트 단위이며, 단어나 문법 등의 형식적 측면만 검사하는 것이 아니라 내용적 측면도 평가한다.

  • PDF

Building a Sentential Model for Automatic Prosody Evaluation

  • 윤규철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권4호
    • /
    • pp.47-5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n automatic evaluation technique for the prosodic aspect of an English sentence uttered by Korean speakers learning English. The underlying hypothesis is that the consistency of the manual prosody scoring is reflected in an imaginary space of prosody evaluation model constructed out of the thre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sody considered in this paper, namely: the fundamental frequency (F0) contour, the intensity contour, and the segmental durations. The evaluation proceeds first by building a prosody evaluation model for the sentence. For the creation of the model, utterances from native speakers of English and Korean learners for the target sentence are manually scored by either native teachers of English or Korean phoneticians in terms of their prosody. Multiple native utterances from the manual scoring are selected as the "model" native utterances against which all the other Korean learners' utterances as well as the model utterances themselves can be semi-automatically evaluated by comparison in terms of the three prosodic aspects [7]. Each learner utterance, when compared to the multiple model native utterances, produces multiple coordinates in a three-dimensional space of prosody evaluation, each axis of which corresponds to the three prosodic aspects. The 3D coordinates from all the comparisons form a prosody evaluation model for the particular sentence and the associated manual scores can display regions of particular scores. The model can then be used as a predictive model against which other Korean utterances of the target sentence can be evaluated. The model from a Korean phonetician appears to support the hypothesis.

  • PDF

영작문 자동 채점 시스템을 위한 문맥 고려 단어 오류 검사기 (Context-sensitive Word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for Automatic Scoring System of English Writing)

  • 최용석;이공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1호
    • /
    • pp.45-5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문맥 정보를 함께 고려해야만 인식할 수 있는 단어 오류에 대하여 오류 인식 방법과 수정 후보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이 문제는 기존의 영어권에서 이미 많이 다룬 연구 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 자동채점 시스템에서 사용하도록 특화된 방법을 제안한다. 문맥 정보를 고려한 단어 오류 검사에서는 자주 혼동되어 사용되는 단어집합(confusion set)을 활용한다. 비영어권 사용자의 작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기존의 영어권에서 구축한 혼동집합 이외에 자동으로 혼동집합을 구축하여 실험해 보았다. 또한 품사 중의성으로 인해 기존의 구문오류 검사기가 다루지 못하는 오류를 정의하고 오류 인식과 오류수정 후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제 한국어가 모국어이면서 초/중급 작문 수준의 수험생들이 작성한 영어 문장에 대해 평가해 본 결과, 약 70.48%의 f1 값을 얻어 기존의 영어권 결과에 비해 뒤지지 않는 성능을 보였다.

Fluency Scoring of English Speaking Tests for Nonnative Speakers Using a Native English Phone Recognizer

  • Jang, Byeong-Yong;Kwon, Oh-Wook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7권2호
    • /
    • pp.149-156
    • /
    • 2015
  • We propose a new method for automatic fluency scoring of English speaking tests spoken by nonnative speakers in a free-talking style. The proposed method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methods in that it does not require the transcribed texts for spoken utterances. At first, an input utterance is segmented into a phone sequence by using a phone recognizer trained by using native speech databases. For each utterance, a feature vector with 6 features is extracted by processing the segmentation results of the phone recognizer. Then, fluency score is computed by applying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to the feature vector. The parameters of SVR are learned by using the rater scores for the utterances. In computer experiments with 3 tests taken by 48 Korean adults, we show that speech rate, phonation time ratio, and smoothed unfilled pause rate are best for fluency scoring. The correlation of between the rater score and the SVR score is shown to be 0.84, which is higher than the correlation of 0.78 among raters. Although the correlation is slightly lower than the correlation of 0.90 when the transcribed texts are given, it implies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as a preprocessing tool for fluency evaluation of speaking tests.

영작문 자동평가를 위한 비속어 검출과 미등록어 분류 (Swear Word Detection and Unknown Word Classification for Automatic English Writing Assessment)

  • 이경호;김성권;이공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9호
    • /
    • pp.381-38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중 고등 수준 단문형 영어 작문시험의 자동채점 시스템을 위한 사전 미등록어 분류기 구현에 대해 다룬다. 영어 자동채점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전 미등록어의 유형을 정의하고 각 유형에 대한 검출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영작문 답안에서 나타날 수 있는 비속어의 유형을 정의하고 검출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영작문 자동평가 시스템의 모듈로서 비속어 검출 기능이 포함된 미등록어 분류기를 구현하였다. 미등록어 분류와 비속어 검출 방법에 대한 성능을 실제 시험 데이터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발음 정확성 자동 측정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utomatic Measurement of Pronunciation Accuracy of English Speech Produced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 윤원희;정현성;장태엽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7-2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develop a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measure pronunciation of English speech produced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Pronunciation proficiency will be measured largely in two areas; suprasegmental and segmental areas. In suprasegmental area, intonation and word stress will be trac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native speakers by way of statistical methods using tilt parameters. Durations of phones are also examined to measure speakers' naturalness of their pronunciations. In doing so, statistical duration modelling from a large speech database using CART will be considered. For segmental measurement of pronunciation, acoustic probability of a phone, which is a byproduct when doing the forced alignment, will be a basis of scoring pronunciation accuracy of a phone. The final score will be a feedback to the learners to improve their pronunciation.

  • PDF

기계학습 분류기의 예측확률과 만장일치를 이용한 한국어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시스템 (Automated Scoring System for Korean Short-Answer Questions Using Predictability and Unanimity)

  • 천민아;김창현;김재훈;노은희;성경희;송미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11호
    • /
    • pp.527-534
    • /
    • 2016
  • 최근 정보화 사회에서는 단순 암기보다는 문제 해결 능력과 종합적인 사고력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인재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도 학생들의 종합적인 사고력을 판단할 수 있는 서답형 문항을 늘리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그러나 서답형 문항의 경우 채점자의 주관에 의존하여 채점이 진행되기 때문에, 채점 결과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외에서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자동채점 시스템을 채점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한국어는 영어와 언어학적으로 다른 분류에 속하므로 영어권에서 사용하는 자동채점 시스템을 한국어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한국어 체계에 맞는 자동채점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 분류기의 예측확률과 만장일치 방법을 사용한 한국어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시스템을 소개하고, 자동채점 시스템을 이용한 채점 결과와 교과 전문가의 채점 결과를 비교하여 자동채점 시스템의 실용성을 검증한다. 본 논문의 실험을 위해 201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국어, 사회, 과학 교과의 서답형 문항을 사용했다. 평가 척도로 피어슨 상관계수와 카파계수를 사용했다. 채점자가 개입했을 때와 개입하지 않았을 때의 상관계수 모두 0.7 이상으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자동채점 시스템이 교과 전문가가 채점한 결과와 유사한 방향으로 답안에 점수를 부여한 것이므로 자동채점 시스템을 채점 보조도구로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작문 자동채점 시스템 개발에서 학습데이터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앙상블 기법 적용의 효과 (Effect of Application of Ensemble Method on Machine Learning with Insufficient Training Set in Developing Automated English Essay Scoring System)

  • 이경호;이공주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9호
    • /
    • pp.1124-1132
    • /
    • 2015
  • 일반적으로, 교사 학습 알고리즘이 적절히 학습되기 위해서는 레이블의 편향이 없는 충분한 양의 학습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영작문 자동채점 시스템 개발을 위한 충분하고 편향되지 않은 학습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또한 영어 작문 평가의 경우, 전체적인 답안 수준에 대한 다면적인 평가가 이루어진다. 적고 편향되기 쉬운 학습데이터와 이를 이용한 여러 평가영역에 대한 학습모델을 생성해야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적절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결정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앙상블학습을 통해 완화할 수 있음을 실험에 통해 보이고자 한다. 실제 중,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단문형 영작문 채점 결과를 학습데이터 개수와 편향성을 조절하여 실험하였다. 학습데이터의 개수 변화와 편향성 변화의 실험 결과, 에이다부스트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를 투표로 결합한 앙상블 기법이 다른 알고리즘들 보다 전반적으로 더 나은 성능을 나타냄을 실험을 통해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