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ergy Control

검색결과 9,894건 처리시간 0.048초

Effects of Feeding Rancid Rice Bran on Growth Performance and Chicken Meat Quality in Broiler Chicks

  • Chae, B.J.;Lee, K.H.;Lee, S.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2호
    • /
    • pp.266-273
    • /
    • 2002
  • A total of 225 day-old broiler chicks (43.08 g initial body weight) were allott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for a 6-week feeding trial. The treatments were 1) Control (defatted rice bran; DFRB), 2) fresh rice bran (FRB) and 3) rancid rice bran (RRB). Rice brans were intentionally spoiled by two degrees of rancidity by the values of free fatty acids (FFA): 7.6% (FRB) and 16.3% (RRB). Diets were prepared on an isonutrient basis, and defatted or rancid rice brans were included 5 and 10% for starter (0-3 week) and finisher (3-6 week), respectively. At the end of the feeding trial, six chicks per treatment were sacrificed, and thigh meats were ground and stored at $1^{\circ}C$ fo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peroxide value (POV) analyses. For a digestibility, 48 growing chicks (4 weeks old) were employed in cages (3 replicates/treatment, 2 birds/cage)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design: FRB, RRB, pelleted and extruded rice bran. Some of the FRB were pelleted ($70^{\circ}C$) or extruded ($110^{\circ}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wth performance during the starter period, but chicks fed a diet containing DFRB grew faster (p<0.05) with increased feed intake (p<0.05) than those fed diets containing rice brans, FRB or RRB, during the finisher period. Feed conversion ratio in the RRB was inferior (p<0.05) to the DFRB. Between rice bran groups, weight gain was higher (pco.os) in FRB than in RRB during finisher period. There was a similar trend in growth performance of chicks for the overall period (0-6 week) as the finisher period. Dry matter and energy digestibilities were higher (p<0.05) in extruded than in RRB group. Protein digestibility was improved (p<0.05) when rice bran was extruded, but not pelleted. The chicken meats from RRB showed higher (p<0.05) TBARS than those from FRB during storage for 4 weeks at $1^{\circ}C$. In conclusion, it would appear that feeding rancid rice bran gave negativ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and lipid stability of meat in broiler chick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Is Involved in Weaning to Estrus of Primiparous Sows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Hormone Genes in Hypothalamus-pituitary-ovary Axis

  • Kong, L.J.;Wang, A.G.;Fu, J.L.;Lai, CH.H.;Wang, X.F.;Lin, H.C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3호
    • /
    • pp.340-350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PPAR${\gamma}$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weaning to estrus of primiparous sows. Twelve sows composed of 6 groups of 2 full-sibs in a similar age (325.2 d), body weight (BW; 152.4 kg) and backfat thickness (BFT; 27.0 mm) at start of lactation, were allocated to accept 31 MJ (restricted group, R-group) or 53 MJ (control group, C-group) DE/d treatment,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w energy intake resulted in excessive losses of BW and BFT during lactation in R-group sows, which may be related to decrease of serum 15-deoxy-${\Delta}^{12,14}$-prostaglandin $J_2$ (15d-$PGJ_2$), a ligand of PPAR${\gamma}$ The obvious peak and the frequency of LH, FSH and estradiol ($E_2$) were only observed in C-group sows. Except for $E_2$ at d 1 and 2, serum FSH, LH and $E_2$ concentrations in R-group were lower than those in C-group sows after weaning. However, the serum progesterone ($P_4$) level in R-group sows was always more than that in C-group. The expression abundances of PPAR${\gamma}$and GnRH receptor (GnRH-R) in pituitary, FSH receptor (FSH-R), LH receptor (LH-R), estrogen receptor (ES-R) and aromatase in ovary of anestrous sows were lower than those of estrous sows. Neither the BFT nor the BW was associated with the mRNA abundance of PPAR${\gamma}$in hypothalamus during lactation. Expressions of PPAR${\gamma}$in pituitary and ovary were affected evidently by the BFT changes and only by the loss of BW of sows during and after lactation. Furthermore, PPAR${\gamma}$mRNA level in ovar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expression abundances of GnRH-R, FSH-R, ES-R and aromatase, and GnRH-R was obviously associated with PPAR${\gamma}$expression in pituitary. However, PPAR${\gamma}$expression in hypothalamus likely has no effects on these genes expression and no obvious difference for all sows. Not serum $E_2$ or $P_4$ alone but the ratios of $E_2$ to $P_4$ and 15d-$PGJ_2$ to $P_4$, and serum FSH and LH were evidently related to PPAR${\gamma}$expression in pituitary and ovary. It is concluded that PPAR${\gamma}$is associated with body conditions, reproduction hormones and their receptor expression, which affected the functions of pituitary and ovary and ultimately the estrus after weaning of primiparous sows.

L-arginine and N-carbamoylglutamic acid supplementation enhance young rabbit growth and immunity by regulating intestinal microbial community

  • Sun, Xiaoming;Shen, Jinglin;Liu, Chang;Li, Sheng;Peng, Yanxia;Chen, Chengzhen;Yuan, Bao;Gao, Yan;Meng, Xianmei;Jiang, Hao;Zhang, Jiaba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호
    • /
    • pp.166-176
    • /
    • 2020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arginine (L-Arg) and N-carbamoylglutamic acid (NCG) on the growth, metabolism, immunity and community of cecal bacterial flora of weanling and young rabbits. Methods: Eighteen normal-grade male weanling Japanese White rabbits (JWR) were selec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6 groups with or without L-Arg and NCG supplementation. The whole feeding process was divided into weanling stage (day 37 to 65) and young stage (day 66 to 85). The effects of L-Arg and NCG on the growth, metabolism, immunity and development of the ileum and jejunum were compared via nutrient metabolism experiments and histological assessment. The different communities of cecal bacterial flora affected by L-Arg and NCG were assessed using high-throughput sequencing technology and bioinformatics analysis. Results: The addition of L-Arg and NCG enhanced the growth of weanling and young rabbit by increasing the nitrogen metabolism, protein efficiency ratio, and biological value, as well as feed intake and daily weight gain. Both L-Arg and NCG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immunoglobulin A (IgA), IgM, and IgG. NCG was superior to L-Arg in promoting intestinal villus development by increasing villus height, villus height/crypt depth index, and reducing the crypt depth. The effects of L-Arg and NCG on the cecal bacterial flora were mainly concentrated in different genera, including Parabacteroides, Roseburia, dgA-11_gut_group, Alistipes, Bacteroides, and Ruminococcaceae_UCG-005. These bacteria function mainly in amino acid transport and metabolism, energy production and conversion, lipid transport and metabolism, recombination and repair, cell cycle control, cell division, and cell motility. Conclusion: L-Arg and NCG can promote the growth and immunity of weanling and young JWR, as well as effecting the jejunum and ileum villi. L-Arg and NCG have different effects in the promotion of nutrient utilization, relieving inflammation and enhancing adaptability through regulating microbial community.

운항실습선 교육생의 승선 숙련도에 따른 피난행동특성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Evacuation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rainees according to Experience Level on board a Training Ship)

  • 황광일;이윤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33-238
    • /
    • 2014
  • 다양한 여가 활동 수요증가와 함께 국내에서도 여객선과 크루즈선의 이용자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 10년간 연평균 15건 이상의 여객선 안전사고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승조원과 승객의 피난행동특성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승선생활 환경에 익숙한 3학년과 승선생활이 생소한 1학년을 대상으로 선박에서의 승선생활 숙련도에 따른 각 피난행동특성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학년 실험에서 승조원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재난대응 시나리오의 개발과 실천 교육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1학년 실험에서는 신규 승조원과 승객을 대상으로 한 초기 피난안전교육과 선내구조에 익숙한 기존 승조원에 의한 피난안전 유도 임무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재난상황과 그 전개과정에 대한 상황인식 공유가 전체 피난시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설명할 수 있으며, 피난상황 발생 시 승선자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서는 피난계획기법 상 선장과 관련 승조원이 반드시 선내 모든 피난경로와 경로별 피난자수를 통제할 수 있어야만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강내온열 치료를 위한 원통형 초음파 치료기 개발 (Development of a cylindrical ultrasound applicator for Intracavitary Hyperthermia)

  • Lee, Rena J.;Hyunsuk Suh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3권2호
    • /
    • pp.79-84
    • /
    • 2002
  • 항문암 및 자궁경부암 치료시 사용되는 고선량률 강내 근접치료기와 병행하여 사용할 원통형 초음파 온열치료가 개발되었다. 온열치료를 위한 에너지원으로 원통형 트랜스듀서가(PZT-8 물질, 길이=1.5 cm 두께=1.5 mm 외경= 2.5cm) 사용되었다. PZT-8 물질의 특성을 측정하기위해 세 개의 단일 엘리멘트 어플리케이터가 제작되었다. PZT 물질을 작동하기 위한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벡터 임피던스가 측정되었다. 선택된 물질이 온열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지 가능성을 타진하기위해 방사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각 엘리맨트의 초음파발생 효율을 입력한 전기량과 발생한 초음파량의 비로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질암의 온열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다채널 초음파 치료기가 디자인 되었다. 임피던스 실험결과 각 엘리맨트 1, 2, 그리고 3에 대해 1.78, 1.77, 그리고 1.77 MHz의 주파수에서 최대 임피더스 값을 얻었다. 방사능력 측정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에너지 소스는 40와트 이상의 초음파량이 방출되었다. 또한 각 엘리맨트 1, 2, 그리고 3의 평균 효율은 61.4, 65.2, 그리고 54.0% 이다. 본 연구에서 디자인되어진 원통형 초음파 치료기는 질 또는 항문 치료 시 고선량 강내근접치료와 더불어 사용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온열 치료기구가 고 선량 강내 근접치료와 함께 사용하여 병변조직의 방사능 민감도를 증가시켜 암 치료효율을 높일수 있다.

  • PDF

Applications of XPS and SIMS for the development of Si quantum dot solar cell

  • 김경중;홍승휘;김용성;이우;김영헌;서세영;장종식;신동희;최석호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0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97-297
    • /
    • 2010
  • Precise control of the position and density of doping elements at the nanoscale is becoming a central issue for realizing state-of-the-art silicon-based optoelectronic devices. As dimensions are scaled down to take benefits from the quantum confinement effect, however, the presence of interfaces and the nature of materials adjacent to silicon turn out to be important and govern the physical properties. Utilization of visible light is a promising method to overcome the efficiency limit of the crystalline Si solar cells. Si quantum dots (QDs) have been proposed as an emission source of visible light, which is based on the quantum confinement effect. Light emission in the visible wavelength has been reported by controlling the size and density of Si QDs embedded within various types of insulating matrix. For the realization of all-Si QD solar cells with homojunctions, it is prerequisite not only to optimize the impurity doping for both p- and n-type Si QDs, but also to construct p-n homojunctions between them. In this study, XPS and SIMS wer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p-type and n-type Si quantum dot solar cells. The stoichiometry of SiOx layers were controlled by in-situ XPS analysis and the concentration of B and P by SIMS for the activated doping in Si nano structures. Especially, it has been experimentally evidenced that boron atoms in silicon nanostructures confined in SiO2 matrix can segregate into the Si/$SiO_2$ interfaces and the Si bulk forming a distinct bimodal spatial distribution. By performing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oretical modelling, it has been found that boron incorporated into the four-fold Si crystal lattice can have electrical activity. Based on these findings, p-type Si quantum dot solar cell with the energy-conversion efficiency of 10.2% was realized from a [B-doped $SiO_{1.2}$(2 nm)/$SiO_2(2\;nm)]^{25}$ superlattice film with a B doping level of $4.0{\times}10^{20}\;atoms/cm^2$.

  • PDF

대퇴 근위부의 골소주 패턴에 대한 복합적인 분석을 통한 골다공증 예측 연구 (Prediction of Osteoporosis using Compositive Analysis of Trabecular Patterns on Proximal Femur)

  • 이주환;박성윤;정재훈;김성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9B권2호
    • /
    • pp.99-10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측정 부위에서 도출된 골밀도와 골소주 패턴 간의 상관관계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측정부위에 따른 평가변수의 골다공증 예측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40대 이상의 폐경기 이후 여성 40명을 선정하였고, T-Score 분류법에 따라 각각 20명의 정상군 및 골다공증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대상의 골밀도는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을 통해 대퇴경부(Femoral Neck), 전자부(Trochanter) 및 워드 삼각부(Ward's Triangle)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각 측정부위에 $50{\times}50$ 픽셀 크기의 관심영역을 지정하고,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영상처리기법을 적용하여 각 영역의 골소주 패턴을 추출하였다. 골다공증을 예측하기 위한 평가변수는 구조적 변수(평균 회색조, 골면적, 골둘레, 골두께, 말단거리), 골격화 변수(골개수, 골길이) 및 프랙탈 차원(fractal dimension)으로 구분되는 총 8가지를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골면적, 골둘레, 골두께, 말단거리, 골개수, 골길이 및 프랙탈 차원이 골밀도를 유의하게 반영하였고(p<0.003), 평가변수의 분석을 통한 골다공증의 높은 예측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정제 규조토로 합성한 탄화규소의 열전특성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SiC prepared by refined diatomite)

  • 배철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96-601
    • /
    • 2020
  • SiC는 큰 밴드 갭 에너지를 갖고, 불순물 도핑에 의해 p형 및 n형 전도의 제어가 용이해서 고온용 전자부품소재로 활용이 가능한 재료이다. 따라서 국내 부존 규조토의 고부가가치 활용을 위해 정제 규조토로부터 합성한 β-SiC 분말의 열전물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정제한 규조토 중의 SiO2 성분을 카본블랙으로 환원 탄화 반응시켜 β-SiC 분말을 합성하고, 잔존하는 불순물(Fe, Ca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산처리 공정을 행하였다. 분말의 성형체를 질소 분위기 2000℃에서 1~5시간 소결시켜 n형 SiC 반도체를 제작하였다. 소결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캐리어 농도의 증가 및 입자간의 연결성 향상에 의해 도전율이 향상되었다. 합성 및 산처리한 β-SiC 분말에 내재하는 억셉터형 불순물(Al 등)로 인한 캐리어 보상효과가 도전율 향상에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소결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 및 결정 성장과 함께 적층 결함 밀도의 감소에 의해 Seebeck 계수의 절대값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열전 변환 효율을 반영하는 power factor는 상용 고순도 β-SiC 분말로 제작한 다공질 SiC 반도체에 비해 다소 작게 나타났지만, 산처리 공정을 정밀하게 제어하면 열전물성은 보다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직 유공벽의 수두손실 결정을 위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n the Determination of Head Loss by Perforated Vertical Walls)

  • 전인식;이성엽;박경수;안동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4-204
    • /
    • 2007
  • 흐름이 연직유공벽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수두손실을 수치해석과 수리실험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수치 해석에 대해서는 유공벽 전 후의 검사체적에 연속방정식, 모멘텀 방정식, 그리고 에너지 방정식을 적용하였으며 주어진 하류 쪽 수심과 유속에 대하여 상류 쪽 수심 및 유공벽 수두손실을 계산할 수 있는 무차원 관계식을 유도 하였다. 수리실험은 단일유공판과 삼중유공판에 대하여 각각 수행하였다. 단일유공판에 대한 계산결과와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유공부 오리피스에서 연직 선형 제트류의 수축계수가 개구율뿐만 아니라 하류 쪽 Froude 수에도 의존함을 밝혔으며, 실험결과에 근거하여 수두손실을 계산하기 위한 실험식을 제시하였다. 단일유공판의 실험식을 삼중유공판에 대하여 하류에서 상류 쪽으로 축차적으로 적용한 결과, 예측치와 실험결과가 대체적으로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대면적 막-전극 접합체 공기극의 위치별 열화 현상 (Position-Dependent Cathode Degradation of Large Scal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 김수길;이은숙;김이영;김장미;조한익;하흥용
    • 전기화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8-154
    • /
    • 2009
  • 대면적 ($150cm^2$) 막전극 접합체(MEA)를 사용하는 직접메탄올연료전지(DMFC)의 내구성과 관련하여, 장시간 운전에 따른 공기극의 열화 현상을 공기극면의 위치별로 고찰하였다. 500시간 동안 정전류 조건으로 운전한 대면적 MEA를 공기극 입구, 중간, 출구의 세 부분으로 분할 하여 각각의 MEA에 대한 성능을 관찰한 결과, 대면적 MEA 운전시 홍수 (flooding) 현상이 심했던 공기극 출구 쪽 MEA의 성능 저하가 두드러졌다. 이는 홍수 현상에 의한 촉매의 열화 및 GDL의 박리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중 특히 촉매의 열화 현상과 관련하여, 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촉매의 전기화학적 활성 면적의 감소가 관찰되나 이는 촉매 입자의 뭉침 (agglomeration) 현상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촉매 입자의 용해 (dissolution)와 이동 (migration)으로 인한 촉매의 유실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인 성능 감소 및 촉매의 열화 정도는 공기극의 홍수와 직접적인 비례관계가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물관리 기법 및 분리판 디자인의 개선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