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arachne binghamia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갈조식물 Endarachne binghamiae J. Agardh의 동해안에서의 형태적 변이 (Morphological Variability in Endarachne binghamiae J. Agardh (Phaeophyta) from the East Coast of Korea)

  • 유경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1호
    • /
    • pp.45-51
    • /
    • 1991
  • Endarachne binghamiae J. Agardh의 형태적 변이를 조사하여 분류학적으로 고찰하였다. 북위 50' 간격으로 동해안의 안인, 신남, 후포, 강구, 대본을 채집 대상자로선정하여, 1989년 12월과 1990년 3월에 각 장소에서 50개체씩 임의로 채집하고 체장 계급별 생식율을 조사한 후, 이중에서 25개체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형태적 특징을 정량화하였다. E. binghamiae의 한국산 식물들은 생장의 초기부터 생식기관을 형성한다. 가근의 직경과 복자낭의 길이는 북에서 남으로 경사변이(clinal variation)을 보이는 반면 모총의 수는 남에서 북으로 경사변이를 보인다. 가근의 직경, 엽상체의 두께, 모총의 수 및 복자낭을 가진 엽상체의 수는 3월에 증가하나, 엽상체의 체장은 감소한다. Endarachne 속은 수층에 꼬여 있는 사상형의 가근세포가 밀집하여 있고, 복자낭의 층수가 4-18열이며, 측사가 없다는 점에서 근연속들과 분류학적으로 뚜렷이 구별된다. 따라서 E. binghamiae는 Petalonia속 식물로 개명되기 보다는 오히려 소련산 P. zosterifolia가 Endarachne속에 속하는 한 분류군으로 개칭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미역쇠(Endarachne binghamiae)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Endarachne binghamiae Extract on Melanin Synthesis)

  • 전영식;정유정;염종경;김용기;김수남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26-53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에서 채집된 88종의 해조류에 대하여 미백제로서 응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Melan-a 세포에 해조류 추출물을 처리하여 멜라닌 양을 측정한 결과, 고리매, 미역쇠, 왜모자반, 감태, 톳추출물에서 멜라닌 생성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미역쇠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가장 유효하게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이 감소되었다.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tyrosinase 활성 저해와 관련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약한 활성을 가지지만 직접 작용하여 활성을 저해하지는 않으면서, 세포 내의 tyrosinase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이는 세포 내 tyrosinase 활성저해가 직접적이 아닌 다른 기전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기전 중의 하나인 ${\alpha}$-glucosidase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활성을 저해하였으며, 세포 내 tyrosinase 활성 저해와 높은 상관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즉 미역쇠추출물은 N-linked glycoprotein인 tyrosinase의 glycosylation을 억제하여 tyrosinase의 세포 내 이동이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미역쇠추출물은 피부 미백에 유효한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유용자원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울릉도산 갈조식물 고리매과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Account on the Scytosiphonaceae (Phaeophyta) from Ullungdo Island, Korea)

  • 이욱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2호
    • /
    • pp.125-134
    • /
    • 1992
  • 울릉도 갈조식물 고리매과(Scytosiphonaceae)의 5종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Colpomenia peregrina (불레기말사촌)은 한국 미기록 식물이며 외부 형태에서는 C. sinuosa와 매우 유사하지만 전자는 복자낭을 싸고 있는 cuticle을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후자와 구분되었다. Endarachne bingahmiae(미역쇠)는 북미산 식물들과 그 분류형질에서 잘 일치하지만 체장과 체폭이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Hydroclathrus clathratus(그물바구니)는 1-2개의 색소가 침적된 피층세포와 크고 불규칙하게 배열된 내피층세포를 갖는 특징을 보였다. Petalonia fascia(개미역쇠)는 1-2개의 피층세포를 가지면 2-4개의 크고 불규칙한 내피층세포를 갖는 특징을 보였다. Scytosiphonia lomentaria(고리매)는 계절에 따라 체형에서 다양성을 보이며 특히 체장, 체폭에서 차이를 보였다.

  • PDF

독도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Dokdo, East Sea, Korea)

  • 최창근;이해원;홍병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03-508
    • /
    • 2009
  • We investigated species composition and variation of benthic marine algae between 2003 and 2006 at Dokdo on the East Sea. The total number of benthic algae species identified was 96, which included 15 Chlorophyta, 30 Phaeophyta, 50 Rhodophyta and 1 Spermatophyta species. The representative species in this study were Ulva pertusa, Caulerpa okamurae, Codium adhaerens, C. frgile, Undaria pinnatifida, Ecklonia cava, Eisenia bicyclis, Dictyopteris undulata, Padina arborescens, Sargassum horneri, Hildenbrandtia rubra, Lithophyllum okamurae, Amphiroa dilatata, Corallina officinalis, C. pilulifera, Prionitis cornea, Grateloupia elliptica, Plocamium telgairiae, Chondrus ocellatus, Chondracanthus intermedia, Chondria crassicaulis, Polysiphonia morrowii, Melobesioidean algae and Phyllospadix sp. Wet weight biomass according to various depths ranged between 1,094.8 to $2,595.3\;g\;m^{-2}$ during the study period. Mean biomass at the investigated sites was greater in the 15m depth range than in the 5 and 10m depths. Vertical distribution was characterized by Ulva intestinalis, U. linza, Endarachne binghamiae, Bangia atropurpurea, Gloiopeltis furcata and Chondria crassicaulis at intertidal zone, Amphiroa dilatata, Corallina pilulifera, Gelidium amansii, Eisenia bicyclis and Ecklonia cava at 2m depth, Ecklonia cava, Eisenia bicyclis, Padina arborescens, Undaria pinnatifida and Sargasum horneri at 5m depth, Ecklonia cava, Sargassum horneri and Padina arborescens at 10m depth, Ecklonia cava, Myagropsis myagroides, Padina arborescens and Sargassum horneri at 15m depth. The R/P, C/P and (R+C)/P value were 1.67, 0.50 and 2.17,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