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goal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3초

4년제 대학생의 취업목표설정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Employment Goal Setting to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김윤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293-7299
    • /
    • 2015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 취업목표설정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어떠한 취업준비행동이 취업목표달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중 '2011GOMS1'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취업목표를 설정한 경우가 취업목표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보다 취업준비행동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목표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준비행동으로는 경력개발프로그램 중 직장체험프로그램이 정(+)적인 영향을, 진로 및 취업교과목이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번 연구를 통해 목표설정유무는 취업준비행동에 긍정적으로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목표설정이 취업준비행동을 유발하지만 이것이 곧 목표달성을 가져 오는 것이 아니므로 대학생들이 합리적인 진로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담 및 프로그램 운영과 함께 체계적인 취업교과목 운영, 직장체험의 기회 확대해야 할 것이다.

부스팅 기계 학습과 SHAP를 이용한 설명 가능한 소프트웨어 분야 대졸자 취업 모델 개발 (Explainable Software Employment Model Development of University Graduates using Boosting Machine Learning and SHAP)

  • 권준희;김성림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77-192
    • /
    • 2023
  • The employment rate of university graduates has been decreasing significantly recently.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mand for software employment has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actors for software employment of university graduates. This paper proposes explainable software employment model of university graduates using machine learning and explainable AI.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is used. The employment model uses boosting machine learning. Then, performance evaluation is performed with four algorithms of boosting model. Moreover, it explains th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using SHAP. The results indicates that the top 3 factors are major, employment goal setting semest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대졸자의 대학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선택후회에 따른 특성 차이: 대학생활, 취업목표, 첫 일자리 만족을 중심으로 (Analysis of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y College Graduates'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Regret: Focused on College Life, Employment Goal, First Job Satisfaction)

  • 강혜영;정태종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55-165
    • /
    • 2017
  • 본 연구는 대졸자를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선택후회에 대해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의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전공선택 후회여부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의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전공선택 후회이유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선택후회에 따른 네 집단 간에 대학생활, 취업목표, 첫 일자리 만족 등에 차이가 있는가 하는가?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교차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흥미나 적성과 같은 내적동기로 전공선택을 할 경우에 외적동기의 경우보다 적게 후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동기로 전공선택을 한 경우에 가장 큰 후회이유는 '취업의 어려움'이었으며, 외적동기의 경우에는 '적성에 맞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선택후회여부에 따른 네 집단 간에 대학생활, 취업목표, 첫 일자리 만족도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노인의 취업성향에 관한 연구 -취업노인과 비취업노인의 비교- (A Study on the Tendency to Employment of Elderly)

  • 이영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85-29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pecific ways to invigorate the employment of the elderly. To achieve this goal, attitude and information about elderly employment were required, and the groups divided based on them were fou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Attitudes toward employment of the elderly was considerably positive. Among the attitudes, the attitude toward employment-support was the most positive, and the attitude toward employment-motive was relatively less positive. 2. The extent the elderly possessed information about employment was comparatively limited, and quite a low score was shown in knowledge of employment-information of the elderly, which means the elderly are not exposed to the ways to get employed. 3. The groups were divided in four type: passive-stagnation, positive-adjustment, lack of information-work oriented, retirement oriented. Of the employed, the positive-adjustment were the most and the passive-stagnation were the least, while the lack of information-work oriented were the most and the retirement oriented were the least of the unemployed. The result that the lack of information-work oriented were the most of the unemployed shows the choice of unemployment was not an intended one.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 우선순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erformance goal priority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all and Medium Business(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 이병욱;이상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61-78
    • /
    • 2018
  • 이 연구는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와 수행 정도를 비교하고, IPA기법을 통해 두 집단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수행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역량강화' 영역의 '학생의 현장적응력 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수행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연계'영역의 '중소기업 취업 기회 확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에서 우선순위를 두어야할 영역에 대해 교원의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중소기업 특성화고 마인드 제고'영역의 '중소기업에 대한 교원의 이해 증진', '특성화고에 대한 중소기업의 이해 증진'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에 대한 직업훈련이 취업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Job Training Effects on Employment and Income of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 유동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2권
    • /
    • pp.290-31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job training effects on employment and income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pursue such goal this study divides the job training into three factors: total training time, types of training supplier, and occupational training types. The major findings are: (1) Total training time decreased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but was not significant for income. (2) Among the types of training supplier, public job training center and firm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Private job training center increased income significantly. (3) Among the occupational training types, trainings focused on heavy industries and advanced industries increased both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and income.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should focus on the occupational training types, especially on trainings focused on heavy industries and advanced industries.

  • PDF

고용보호규제 완화의 노동시장 성과에 대한 효과

  • 최경수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24권1호
    • /
    • pp.45-112
    • /
    • 2002
  • Enhancing labor market flexibility is currently posted as one of the major economic policy objectives in Korea. However, the labor market effects of specific policies to achieve it have not been sufficiently investigated. This paper takes up the issue of employment protection deregulation and surveys and empirically analyzes its policy effects. Academic researches generally confirm that deregulation tends to promote labor turnover and employment of the disadvantaged groups such as the youth and female by raising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economy, but its effects on unemployment is not clear. In the Korean labor market, both job creation and destruction, and labor mobility have increased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1998, but they can not be seen as deregulation effects as the changes are confined to the temporary and daily employment whose labor markets are least regulated whereas the regular employment market remains virtally unchanged. Such results suggest that labor market deregulation need to be pursued consistently as a policy goal since the labor demand condition shift and the need for expanding regular employment necessitates it, for which detailed policy agenda for removing market inefficiencies should be carefully arranged.

  • PDF

전문대학생의 취업준비활동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Employment of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in College Graduates)

  • 최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556-2563
    • /
    • 2015
  •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이 경험하는 취업준비활동의 취업 효과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학생이 개인차원에서 준비하는 자격증, 직업훈련 등과 함께 대학 차원에서 운영하는 진로선택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취업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1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의 전문대졸자 3,249명을 대상으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특성에서는 졸업학점이 높을수록, 출신대학이 비수도권일수록 취업 확률이 더 높았다. 전공계열은 준거집단 대비 의약, 교육, 공학, 사회, 자연 계열 순으로 취업 확률이 높았다. 취업준비활동에서는 국가 자격증 수가 많을수록, 면접기술 & 이력서작성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경우, 졸업 전 후 구직활동 경험이 있는 경우가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직업훈련, 진로 취업관련 교과목, 직장체험 프로그램, 진로상담 프로그램, 취업캠프, 대학 재학 중 일자리 경험, 졸업 전 취업목표 유무 등은 취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장애인 실업의 원인 : 생산성 또는 차별? (Causes of high unemployment among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productivity, or discrimination?)

  • 유동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8권
    • /
    • pp.333-35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causes of high unemployment among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ed on productivity and discrimination. In order to pursue such goal this study adopts human capital theory, screening theory, job contest theory, taste theory and statistical discrimination theory as theoretical background. The major findings are: (1) Among the human capital variables Education degree and job training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employment. Only degree of activity limit has significant effect. (2) Among the discrimination related variables only discrimination experiences variable has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3) Between degree of activity limit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both have similar effect on employment. But the degree of activity limit can be thought as discrimination related element. Because' not giving resonable accommodation' is regarded discrimination in ADA or DDA. These mean that it is important for society to compel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to put focus on eliminating prejudice rather than accomplishing education and job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In order to accomplish thi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y for disabled persons' employment promotion of the disabled persons' employment promotion act and to establish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Also, integrated education starting from infancy is necessary. Education system should be changed, and Job training must focused on industry which demand more labor force.

  • PDF

여대생의 취업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기개발역량과 취업준비도의 구조적 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Self-Development Competency and Employment Readiness to improve the Job Achievement of Women's University Students)

  • 김희영;김기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29-3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취업준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자기개발역량과 취업준비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그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취업준비도 향상을 위해 집중해야할 요인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여대생의 취업이 잘 되도록 하는 것이다. 연구절차와 방법에서 자기개발역량과 취업준비도에 대한 변수를 상세화하고 연구모형을 생성하였으며, 변수간의 영향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연구모형을 개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취업준비도 향상에 가장 중요한 변수는 경력개발능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기여도는 자아인식능력과 자기관리능력이 경력개발능력의 매개효과에 의해 취업준비도에 긍정적 영향을 가진다는 것을 밝혀낸 것이며, 특히 경력개발능력이 여대생의 취업준비도 향상에 결정적인 변수라는 것을 밝힌 것이다. 자기개발능력의 향상을 위한 새로운 교육정책의 입안은 여대생의 취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연구에서 구체적인 교육 방안과 실행에 대한 사례분석이 본 연구를 기반으로 더욱 발전되어 나타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