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as Librarian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7초

경상남도 학교비정규직 사서 고용안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Stabilization of Employment about the Irregular Librarians in Kyungnam Public Schools)

  • 양재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17-237
    • /
    • 2012
  • 2003년부터 10여 년간 지속된 학교도서관 활성화사업은 비정규직 사서를 양산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들의 고용실태와 근로여건, 학교 내에서 겪는 갈등요인, 고용안정을 위한 노력을 분석하고 있다. 이 분석을 바탕으로 학교비정규직 사서들의 고용안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 방안은, 첫째 근로관계에서 쟁점사항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누구인가에 대한 해석을 하였으며, 둘째 고용안정을 위한 법률적 근거마련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Perception of Librarian's Job Prospects

  • Noh, Younghee;Kwon, Yeong-ae;Shin, Youngji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79-10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wareness of librarian's job prospects, and to do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02 college students in 14 Departm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ound Korea and 753 librarians in libraries and related agencie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curriculum was higher in students than librarians. Second, both students and librarians regarded workplace based practical training as employment requirements and also evaluated certifications and academic performance as important requirements. Third, both groups asked that information on employment rates be available in a timely manner, and perceived that the librarian's job prospects were not bright.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employment of librarians,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 job information system, reorganize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 into a practice-oriented curriculum, and introduce the national curriculum statements (NCS)-based curriculum.

비정규직 사서의 근무환경 및 고용실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mployment Circumstances and Employment Status of Temporary Librarians)

  • 노영희;안인자;오세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59-280
    • /
    • 2013
  • 구조조정, 업무자동화, 정원제 및 총액임금제 등으로 인해 비정규직 사서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정규직 사서들의 근무 현황 및 고용환경을 설문조사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들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미래사서의 진로를 개선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비정규직 사서들의 절반 이상이 '1년 이상 3년 미만'의 기간을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전 직장과 현 직장을 포함한 비정규직으로 근무한 총 근무기간은 1년부터 5년 이상까지 고루 분포되어 있었으며, 5년 이상이 32.0%로 나타나 비정규직 신분의 고착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비정규직 사서는 정규직과 동일한 근무시간에 근무하고 동일한 독립업무나 정규직의 보조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업무량은 보통 또는 많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정규직 사서는 대부분 근무하는 직장에서 직접 채용하고 계약하고 있고, 계약 단위는 2년 미만과 원할 때까지에 집중되어 있어 고용불안이 심각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동일노동 동일임금제도 도입, 전문계약직제 도입, 총액임금제 및 공무원총정원제 보완, 사서들의 정규직화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사서직의 직업지표 현황 및 전망 인식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the Occupational Index Status and Prospect Perception to Librarian as Job in South Korea)

  • 이종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99-120
    • /
    • 2013
  • 본 연구는 다른 직업과 비교하여 사서직의 현 단계의 직업지표(상황)와 10년 후의 직업지표(전망)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과 사서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현재와 10년 후 전망 모두 임금 수준이 타 직업보다 낮고, 일자리수요도 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학생과(58.4%) 사서(64.2%) 모두 과반 이상이 정규고용이 낮다고 생각하고, 직장이동 가능성 또한 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분석결과 등을 토대로 첫째 사서직의 저임금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비정규직을 정규직화 할 것, 둘째 사서직의 취업진로 확대를 위해 인구 5만 명당 공공도서관 1개관 시대를 조기에 열 것, 셋째 공공도서관의 위탁운영 및 BTL 사업화를 철회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의 고용실태와 처우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ployment Status and Treatment of Temporary Librarians in the School Libraries)

  • 류제희;노영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01-12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에 80%가 넘게 배치된 비정규직 학교도서관 직원들의 고용실태를 알아보고 그들의 직무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앞으로 비정규직 사서들의 업무수행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북지역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를 대상으로 면담조사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첫째,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들의 '업무만족, 고용여건, 근무환경, 대인관계' 등의 요인들은 전체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또한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들의 고용형태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무기계약직 전 후의 업무만족도 분석결과에서는 사전 사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정규직 사서의 수행업무를 조사하였으며, 자격증 유무에 상관없이 '열람 및 대출 업무'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도서관 비정규직 사서들이 생각하는 학교도서관의 문제점에 대한 조사에서는 '비정규직 사서의 능력개발에 관한 문제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그들이 원하는 처우개선 방안에 대한 조사에서는 '고용안정 해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운영방식과 고용형태에 따른 공공도서관 사서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소재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ublic Librarians' Job Satisfaction by Management and Employment Styles: 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 김수진;김유승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1-282
    • /
    • 2012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소재 공공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고 이를 운영방식과 고용형태에 따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 공공도서관의 운영방식과 직무만족의 개념 및 변인을 논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무만족도 측정을 위한 직무자체, 동료, 상사, 업무, 임금, 복지, 고용 등 7가지 직무만족 변인을 선정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응답자 전체 평균으로 나타난 만족도를 보았을 때, 직무자체, 동료, 상사, 업무 등 4가지 변인에서 긍정적인 만족감을 표한 반면, 임금, 복지, 고용의 3가지 변인에서는 낮은 만족감을 나타냈다. 운영방식에 따른 직무만족 분석에서 주목할 것은 지자체 위탁도서관과 타 직영도서관 간의 차이였다. 지자체 위탁도서관은 고용불안감에 대한 체감 정도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거의 동일한 수치를 보였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이라는 고용형태에 따른 분석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업무결정 참여도와 업무 재량권 측면이었고, 이들 간 차이는 임금, 복지, 고용 측면에서 더욱 확연히 드러났다.

사서직 취업률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에 대한 고찰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Librarianship Employment)

  • 안인자;노영희;이종문;오세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7-52
    • /
    • 2014
  • 문헌정보학과의 교육과 졸업생의 희망직업은 사서직 취업에 집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사서직 취업의 향상을 위해 도서관 확충 등을 주장하기도 하지만 그 효과는 한계가 있고 신규 도서관에 사서를 채용하더라도 정규직보다는 비정규 계약직으로 채용하는 등의 직업환경 또한 밝지 않다. 본 연구는 사서직 취업률 향상을 위한 정책제안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선행연구, 통계데이터, 학생 및 사서대상의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였다. 정책개선 대상은 사서양성의 측면에서 사서자격제도, 사서양성체계의 개선방안을 살피고, 사서고용의 측면에서 도서관법, 도서관 협의체 서비스의 개선방안으로 4개의 정책적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세부적으로는 15개의 전략을 제안하였다. 그 중 도서관법 개선(안)으로는 비정규직 지원체계, 사서직 명칭 및 도서관 명칭 관련 사항, 사서배치기준의 현실화 및 강제화, 모든 관종의 도서관평가 의무화 등을, 관련 협의회 활동사항으로는 사서수상제도 확대, 사서직 취업정보시스템 구축, 사서직 외부홍보자료 구축 및 배포 등을 제안하였다.

사서직 고용현황 및 인력개발에 대한 현장사서 요구 분석 (Analysis of Field Librarians' Employment Need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Librarianship)

  • 노영희;안인자;오세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1-91
    • /
    • 2013
  • 사서직 분야의 인적자원개발이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서관 및 관련 산업분야를 중심으로 한 인적자원 현황 파악을 토대로 향후 예상되는 인적자원의 양성 및 활용과 관련된 인력수급 전략과 법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력 고도화를 위한 기초 취업 현황, 취업 환경 및 관련 이슈의 종합적 분석 등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사회적 환경과 관련 제도 및 법을 포함하는 정책적 환경, 인적자원 양성 측면에서 현황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도서관 현장의 사서직 수요조사를 통하여 현장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서직의 두드러진 특징은 사서직의 여성에 편중된 성별 불균형 현상, 비정규직 증가, 그리고 도서관 분야 진출에 대한 높은 기대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둘째,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차이가 크지 않으나 임금이나 복지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사서의 사서직 교육 요구사항으로 현장 전문가 멘토링, 단기인턴십, 사서실습 등을 제시하고 있었고, 취업요건으로 인턴이나 실습, 어학능력, 각종 자격증 취득, 경력관리 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관기관의 사서자격증 보유자는 20%나 더 많은 사서자격증 보유자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U-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사서의 인식과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and Perception of Librarian about U-Library Service)

  • 정윤;정우권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3-293
    • /
    • 2014
  • 이 연구는 U-도서관 서비스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여 U-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U-도서관 서비스가 합리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U-도서관 서비스를 시행한 전국의 10개 지자체를 선정하여, 사서들의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U-도서관 서비스 운영의 차이점인 업무독립성 유무, U-도서관 서비스 운영주체인 사서들의 고용형태 차이에 따라 U-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적 연구방법(설문조사, 방문조사, 전화 인터뷰)을 사용하였다.

학교도서관 직원의 자질과 그 직무에 관한 연구 -사서교사를 중심으로-

  • 손문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7권
    • /
    • pp.85-114
    • /
    • 1980
  • The school library in Korea, with its short history, has not been fully awared of its importance yet. As a result, most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have not been fundtioning as the center of educational activity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learning process and as the place of the extension of classroom, but as the place of storing books. Besides the importance of materials and facilities, the educational function of school libraries can be fully achieved only when each school librarian clearly understands his work and duties, and accomplishes them successfully. This study, which are based on analysis of literature investigations and precedent studies, are summarized as follow: 1. There is an absolute lack of the number of school librarians (or alternative teachers) in comparison to the number which is specified in the regulations of Library Law. 2. There is no a n.0, ppropriate legal foundation for employment of school librarians and library assistants, and of their o n.0, pportunities for promotion. 3. The school library in korea has been stayed so far on its infantile, namely 'the period of material arrangement', in the aspect of the function. 4.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 school library has not gained much recognition of its professional character. And even more the position of the school library today is not enough clear to be stable in the total school system. By solving these factors step, the newly reformed school library in Korea will play a great role in improving her education by the hand of school librarians whose spirits are re-filled with willingness and creativ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