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Success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2초

A Study on the Employment Predictive Factors of Young University Graduates

  • Jun-Su Kim;Woo-Hong C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241-24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대학 졸업자 취업 성공 요인 분석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결정 요인 비교를 통해 대학의 취업 지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19년도 '대졸자 직업이동경로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25.0 통계패키지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수도권 대졸자는 개인 특성 중 연령, 부모 자산, 어학연수 경험이 취업 성공(+) 요인이었고, 대학 특성은 2~3년제 대졸자가 4년제나 교육대 대졸자보다 취업 성공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수도권 대졸자는 개인 특성 중 연령, 부모 자산이 취업 성공(+) 요인이었고, 2~3년제 대졸자가 4년제 대졸자보다 취업 성공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Success Factors of Student Startups in Korea: From Employment Measures to Market Success

  • Ko, Chang-Ryong;An, Jong-I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8권1호
    • /
    • pp.97-121
    • /
    • 2019
  • The Korean government has focused on universities or colleges as the main targets of its startup policy since the 2010s. However, the performance is not so good, with a low survival 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underpin the success of student startups. First,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is study compared the success factors of student startups with those of venture startups, which means the general startup sector, as well as youth startups, also a focus of startup policy targeting youngsters outside universities or colleges. Second, we analyzed case studies of startup companies connected University H. The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the main target of student startups is the employment of university students.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success factors; existing studies only emphasize the entrepreneurship of students. The results of case studies showed several factors of success similar to those of general venture startups: founders, business model and resources including team, and mentoring.

온라인 개인간 대출시장에서의 차입자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Peer-to-Peer Lending)

  • 김학건;박광우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79-94
    • /
    • 2013
  • In this paper, we examine factors of success in online P2P (peer-to-peer) lending auctions. This paper finds the following empirical results. First, loan applicants with a stable employment status are more likely to succeed in the auction than loan applicants with an unstable employment status. Second, loan applicants, who actively share personal information and interact with lenders through online message boards, are likely to succeed in the auction. Third, the purpose of a loan for debt repay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ccess of the auction. However, the purpose of a loan for essential living expenses such as housing, living, and medical expenses has an in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uccess of the auction. Our results impl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oan applicants such as employment status and social interaction are the factors of success in online P2P lending auctions.

공대생의 일 경험이 첫 일자리 성공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Work Experience on the Success of the First Job Success)

  • 신하영;박소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95-202
    • /
    • 2024
  • 이 연구는 공과대학 재학 중 일 경험이 노동 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이를 위해, 공학 전공자와 다른 전공 학생들의 취업 준비 행동 중 일 경험과 첫 일자리 성공 간 관계를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공대생이 경험한 인턴십과 같은 직장 경험이 졸업 후 첫 직장에 적응하고 고용을 유지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특히, 공대생의 노동 시장 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공대생의 취업 성공을 위해 대학 차원에서 어떤 정책적 노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턴십 등의 일 경험이 공학계열 학생들의 취업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관계 없이 모든 공학계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취업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stomized Employment Strategy for Utilizing Big Data)

  • 구건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75-183
    • /
    • 2015
  • 본 논문은 취업하고자하는 학생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취업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취업 전략 구축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취업 방향을 잘 결정하지 못하여 취업률이 낮은 2년제 여자전문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으며, 기존 취업 전략의 중대한 문제점은 구직업체의 요구에 의해 학생들의 학교 성적 정보, 외모, 성격 등 단순한 정보만으로 구직에 참여하게 된다. 이로 인해 취업하려는 학생들의 만족도가 떨어지고, 취업 후 부적응 사례로 중도 직장을 포기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하여 취업 전략을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전년 대비, 2014년 취업 통계 데이터로 증명했으며, 취업의뢰건도 전년 대비 21.3%가 상승했고, 기업과 학생간 취업 매칭률도 전년대비 81.4%증가 했다. 가장 중요한 최종 취업성공률도 전년 대비 63.1%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학 교과목의 성인지 교육 효과에 대한 학생과 교수의 인식 (A Cognition of Students and Faculty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Gender Sensitivity in Engineering Courses)

  • 백성혜;김정희;조수선;김순자;김향숙;김동익;김송자;이부형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2호
    • /
    • pp.52-6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educational effects of gender sensitivity in engineering courses based on the cognition of students and faculty. For the research of nationwide scale, the data from engineering courses managed by WISET Chungbuk branch, Deakyung Gangwon Branch, Gyungnam Branch, Junbuk Branch, and Chungnam Branch were selected.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5 categories: gender sensitivity, interests in major, interests in job related to major, the efforts for employment of major field, the efforts for success after employment. As results, students realized lectures were important for gender sensitivity ability improvement. This means that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engineering courses were proved. But the courses could not change students' thought of interests in job related to major, the efforts for employment of major field, the effects for success after employment.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경험한 커리어쇼크가 주관적 경력 성공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areer Shock Experienced in the COVID-19 Pandemic on the Level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Perception.)

  • 김진;차종석;김나정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2호
    • /
    • pp.85-100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of shocking events in the career aspect experienced by Korean workers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and to find out whether these career shocks affect individual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Design/methodology/approach - In the survey of 146 respondents, the career shock events experienced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we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work change', 'employment anxiety', and 'life anxiety'. For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seven dimensions - 'financial security', 'financial achievement', 'entrepreneurship', 'positive relationship', 'positive impact', 'learning and development', 'work-life balance' - were used. Findings -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due to the experience of 'work change' during the Covid-19 period. However, the respondents who experienced 'employment anxiety' came to recognize that 'financial security' and 'financial achievement' were more increasing in terms of the degree of difference of importance. And respondents who experienced 'lifetime anxiety' perceived that the degree of difference of importance was increasing in the six dimensions except for 'social influence'. Particularly, the increase in the importance of 'work-life balance' and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the greatest among the career success dimension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Finally, it was concluded that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Covid-19 pandemic influence as a career shock and affect the level of importance in subjective career success percep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n current career study and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career management were suggested.

대한 4학년생들의 진로미결정, 직업탐색행동 및 구직 성과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Career Indecision, Job Search Behavior and Employment among College Seniors)

  • 이지영;장재윤;김명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1권1호
    • /
    • pp.1-23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 수도권대학의 4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진로미결정, 직업탐색행동, 그리고 구직성과 변인들 간의 관계를 4학년 1학기와 2학기의 두 차례의 조사를 통해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4학년 1학기 때의 진로미결정의 인지적 상태와 직업탐색행동의 행동적 측면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둘째, 4학년 1학기 때의 직업탐색행동과 6개월 뒤인 4학년 2학기 때의 구직성과변인들(서류통과, 면접통보, 최종합격)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4학년 1학기 때의 직업미결정은 4학년 1학기 때의 직업탐색행동과 유의미한 부적관계를 가졌으며, 또한 4학년 1학기 때의 직업탐색행동은 4학년 2학기 때의 구직성과변인들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셋째, 직업탐색행동이 진로미결정과 구직성과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 PDF

IT 업계 고용 창출을 위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CSFs for Employment in IT Industry)

  • 성태경
    • 서비스연구
    • /
    • 제6권2호
    • /
    • pp.133-1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조경제의 중심 산업인 IT 업계에서 정보기술의 활용이 고용 창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기업의 전략 및 정보기술의 활용과의 연계성은 어떠한가, 그리고 기업의 전략이 정보기술의 활용과 고용 창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려는데 있다. 187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창조경제 산업계에서 정보기술은 효율, 위협, 기능, 공격, 그리고 통합 모든 차원에서 경쟁력을 제공하여 고용 창출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업의 전략이 정보기술의 활용과 고용 창출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는 각 전략에 따라 그 효과가 서로 다른 것으로 판명되어, 경영 전략 수립 과정에서 정보기술의 활용 특성을 신중하게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성별에 따른 공과대학 졸업생의 취업 및 진로개발 단계의 특징 분석 (Analysis of Gender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and Career Development Paths of Engineering Graduates)

  • 김영은;한지영;오명숙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6호
    • /
    • pp.19-28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s in employment and career development paths of engineering graduates. 16 male and 16 female engineering H University alumni who graduated within last 6 years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n analyzed by the Colaizzi method,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 The interview questions focused on three stages: selection and retention of one's major, employment preparation, and career development after employment. The gender differences pertaining to success factors, barrier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t each stage were identified. Interviewees were examined for general disposition during early career development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For women, strengths and weaknesses at work were also exa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grams for successful employment and career development were suggested for H University, which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engineering instit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