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ees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간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Human Relations of Employees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on Turnover Int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631-638
    • /
    • 2020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간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남 및 대전시 소재 장애인복지관 종사자 367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대해 인간관계는 부적 방향으로, 직무만족은 부적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이 영향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이직을 예방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회복지시설의 민간자원 동원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후원을 중심으로

  • 김미숙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261-297
    • /
    • 2004
  • Social welfare facilities where provide the socially disadvantaged with proper social services, face financial difficulties. This is because not only of the lack of governmental support, but also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lack of skills in developing abundant resources from the private sector. In this context, this study tried to find factors affecting resource mobilization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devise policies in resource development. Mail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Employees in charge of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he study population were two types of welfare facilities: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residential care facilities. A total of 293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632 residential care facilities responded to the survey. The response rate was about 62%. The dependent variable of the study was the amount of resource mobilization in the year 2001 which was measured as the number of donors, the total amount of donation, and estimated amount of gift-in-kind. Three types models were constructed per each welfare facility.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community environment factor, structural factor, and resource development factor. Multiple regression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ource development factor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variable in various models. In the models of donors, the amount of donation, and the amount of gift-in-kind, at least one out of four variables in the resource development factor was significant. Welfare centers which establish the resource development department or hire employees to take care of resource development, and adopt computer software in managing donors, receive more donations than their counterparts. Interestingly, the centers where employees take the responsibility of resource development as well as other responsibilities (dual duty), did not have more resources mobilized than those with no employees for resource development. Using computer software in managing donors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in many models, except for the donor model. In additio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located in urban area have more donors and donations, and among residential facilities those for the elderly, children, and the mentally retarded and those hiring more employees, receive more donations than those for the disabled and those hiring less employees. As for the gift-in-kind model, the centers located in high income area and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women and mentally retarded receive less gift-in-kind than those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mobilize resources the welfare centers as well residential care facilities need to have community resource development department or resource development staffs, and adopt computer software to systematically organize donors.

  • PDF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 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445-452
    • /
    • 2021
  • 본 연구는 그동안 분석되지 않은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충남과 대전 지역의 14개 장애인복지관의 종사자 36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직무만족에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두 변수 간의 영향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애인지역사회 재활시설 종사자들의 전문성인식과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이후에는 장애인지역 사회재활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장애인 생활시설 급식관리 및 위생관리 실태조사 (Foodservice Management and Food Sanitation Management in the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Korea)

  • 이혜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20-53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the equipment ratio of sanitary facility/equipment, and dietitians' perceptions of (i) the barriers to sanitary management and (ii) the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level in the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7 to October 15, 2006. A total of 91 institutions(response rate 74.6%) were analyzed by using SPSS(windows ver. 14.0). The average number of meals served per day per an institution was 379. The majority(93.4%) of dietitians made decisions in procurement. The major part of the purchase was made through private contract. The factors affecting menu planning were nutrition, food preference, and cost, in the order of importance. Among the food items, fruits were infrequently served, while protein source foods and green leaf vegetables were almost daily served. The equipment ratio of sanitary facilities/equipment was 45%, which was relatively low. Most dietitians perceived 'limited availability of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the lack of support from financing department' as the major barriers in implementing a desirable sanitary system.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in 'the food ingredient' was perceived as the lowest, while that in 'the uniform' showed the high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proper supporting program on securing the facility/equipment and adequately trained employees are needed for successful sanitary management. Also, a more frequent supply of fruits for the disabled is recommended.

장애인복지관 화재 시 피난안전성 분석 (Analysis of the Evacuation Safety in a Fire at Welfare Center for Disabled)

  • 박선아;이재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15-322
    • /
    • 2021
  • 이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화재 시 이용자들의 층별 배치에 따른 비상 통로를 이용한 RSET(Required Safe Egress Time, 피난소요시간)을 분석하여 안전성을 평가하고, 효율적인 피난 방법을 제시하고자 패스파인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비상 통로별 RSET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RSET에 따른 결과로, 현재 상태의 시설물 사용 인원 배치는 화재 시 기준 RSET을 만족시킴으로 피난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화재 시 가능하면 승강기를 이용하는 것보다 계단을 통하여 피난해야 안전하게 피난을 완료할 수 있다. 직원들은 화재 시 장애인들을 대동하여 효과적으로 피난할 수 있도록 사전에 충분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장애인 관련 시설에서 설계·건축단계에서 운영까지 장애인들이 화재 시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피난통로를 확보하고, 정기적인 피난훈련으로 RSET을 단축시킴으로써 안전하게 피난하여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다는데 의의를 둔다. 향후에는 시설물의 각 층 출입구에 자동방화문을 설치함으로써 특정 위치에서 화재 발생 시 자동방화문의 개폐 여부에 따른 RSET의 연구가 필요하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 기독교인 종사자가 경험하는 심리적 소진과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Experiences of Christian Workers at Dayc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 Phenomenological Study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Post-burnout Growth)

  • 장승진;김은혜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3호
    • /
    • pp.251-261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종사자의 업무환경을 개선하고 효율화하여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에 대한 복지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연구문제는 장애인주간보호시설 기독교인 종사자가 경험하게 되는 내부 종사자 간의 갈등, 심리적 소진, 성장요인 등 세 가지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24년 1월부터 2024년 4월까지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근무하는 기독교인 종사자 10명 대상으로 업무처리 과정에서 경험한 사실을 면담하고 수집하여 콜라이지(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종사자들이 경험하게 되는 심리과정은 첫째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의 경험 중에서의 내부종사자 간의 '갈등', 둘째 '소진'에서 종사자가 겪게 되는 정서적 탈진, 비인간화, 성취감의 감소 증상 등의 소진과 외상의 체험이었다. 셋째 '성장'에서 종사자들이 영성을 통하여 내부갈등과 심리적 소진을 극복하고 안정감을 갖고 성장하는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종사자의 사기증진과 근무환경 개선에 유용한 자료가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