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ed Mother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7초

우식치아수의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Number of Decayed Tooth)

  • 최준선;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5-63
    • /
    • 2006
  • 본 연구는 향후 치아우식증 예방을 예방하고 구강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김포시 면단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6학년 남 녀 13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및 학교 구강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우식치아수 및 우식치아수와 관련있는 요인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우식치아가 전혀 없는 경우가 응답자의 37.7%로 가장 많았고, '2-3개' 23.9%, '4개 이상' 21%, '1개'는 17.4%이였다. 2. 최근 1년동안 치과의료기관 방문횟수는 1-2회가 52.2%로 가장 많았고, 23.9%는 1년 동안 치과의료기관을 한번도 방문하지 않았다. 3.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에서 2회는 71.7%였고, 54.3%는 잇솔 외 구강관리용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으며, 86.9%와 71.3%는 각각 치면열구전색과 불소도포 경험이 전혀 없었고, 66.9%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세치제에 불소 배합여부를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4. 우식치아수와 관련있는 사회 인구학적 요인으로는 모친 연령, 모친 최종학력, 모친 취업여부, 하교 후 돌봐주는 사람이었다(p > 0.05). 5. 우식치아수와 관련있는 구강건강행위 요인으로는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 잇솔 외 구강관리용품 사용, 불소도포 경험이었다(p > 0.05). 6. 우식치아수와 관련있는 간식섭취요인으로는 치아보호식품과 우식성식품 섭취 횟수였다(p >0.05). 7. 우식치아수와 관련있는 구강건강신념항목은 감수성으로 나타났다(p > 0.05). 8. 회귀분석 결과 모친이 미취업이고, 하루 평균 잇솔질 횟수가 많으며, 치아보호식품 섭취횟수가 많고, 우식성 식품섭취가 적으며, 감수성이 낮을수록 우식치아수가 적은 경향을 보였다. 9.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많이 발생되는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고 조기치료를 하기 위하여 학교 내 구강보건실 설치를 확대하며, 집단 구강검사를 통해 구강병을 초기단계에서 발견하여 치료로 연결시키고, 잇솔질 교습 및 불소용액 양치, 식이조절 등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강화 지역 중년 남.녀의 의례 음식 섭취 실태 (Patterns of Ceremonial Foods for Middle-aged Residents in Ganghwa)

  • 김은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55-465
    • /
    • 2008
  • 강화 지역의 전통음식, 시절식과 12달 동안의 절기식 및 출산시, 삼칠일, 백일, 돌, 화갑, 혼례 등의 통과 의례 음식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강화에서 20대 전후부터 거주하여 30년 이상 계속 거주한 50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절기식은 정월대보름(87.5%), 추석(84.4%), 정월초하루 설날(79.8%), 동지(77.4%)로 주로 농사와 관련된 명절이 우세한 것으로 보였다. 통과 의례 음식 중 돌상은 86.4%가 차렸으며, 백설기, 수수팥떡, 송편, 인절미, 과일, 잡채 등의 음식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아이 낳은 산모에게 쌀밥과 미역국을 대접하는 경우가 367명(96.1%)이었다. 생일상을 집에서 차리는 경우는 256명(67.0%), 차리지 않는 경우는 126명(33.0%)이었다. 차리지 않는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는 38.2%, '귀찮아서'는 19.4%로 57.6%를 차지하였다. 폐백상차림은 육포(닭), 대추, 밤이 기본적인 음식이었으며, 회갑상을 차리는 경우는 120명(31.4%)이었다. 제사를 장남집에서 모신다고 한 경우는 53.4%이었으며, 제사가 필요한 이유는 관습대로 지키는 것보다 조상에게 감사하는 마음이 더 많았다(p<0.05). 제사 음식은 주로 천주교는 친정어머니(66.7%)에게서 배우고, 불교는 37.9%, 유교는 54.5%가 시어머니에게서 배워 종교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임신 중 금기 식품은 개고기, 게장, 꽃게, 닭고기, 오리고기, 토끼고기, 팥죽, 팥밥, 커피, 모난 것, 물렁뼈가 있는 것, 불결한 모양, 비늘 없는 생선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시대가 지남에 따라 전통적인 의례 행사가 많이 변형되고 쇠퇴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앞으로 지역의 축제나 전시회, 품평회, 대중매체를 통해 꾸준한 홍보 활동 등으로 전통의 맥을 이어야 하겠다.

  • PDF

서울시내 일부 고등학생의 건강에 대한 지식$\cdot$태도 및 실천행위간의 관련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Knowledge to Health Attitude and Health Practical Health Behavi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노행인;김명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5-13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s of Korea high school students and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s in an effort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promotion programs and health education for adolescents. The subjects were 505 students in their first and second year of high school in Gangnam-gu and Guro-gu, Seoul.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for seventeen days from April 23 to May 9, 2003,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as encoded and analyzed with SPSS Win 11.0 program.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χ²-test, t-test, ANOVA, Scheffe Post Hoc Tests and Pearson Correlation procedure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appear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traits, family-related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features between the students in Gangnam and the others in Guro. 2. The collective average of the Gangnam residents in health knowledge was 13.97, and that of the Guro residents was 14.64. The overall collective average was 14.35(total of 22 points), and 65.2 percent of the students investigated had a correct knowledge. The poi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sex, economic status, mother's occupation,and health concerns. 3. The students from Gangnam scored a mean of 77.55 in health attitude, and the others from Guro got an average of 78.75. The overall collective average was 78.22(total of 110 points), and 71.1 percent took a correct attitude toward health. The poi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sex, religion, mother's education level, health concerns. 4. In the field of health behavior, the Gangnam residents got a mean of 63.99, and the Guro dwellers scored a mean of 62.12.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overall collective average was 62.94(total of 102 points). 61.5 percent tried to stay fit in a correct behavior. The poi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sex, economic status, parents' education level, father's occupation, health concern of parents, self-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concern, exercise or diet performance for health, health education times for 1yr. 5.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health knowledge to health attitude and behavior, the health knowledg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attitude(r=0.227, p<0.01), and the health knowledg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behavior(r=0.262, p<0.001). But their relationship is comparatively low. The health attitude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health behavior.

한국절식(韓國節食)의 여행실태(旅行實態)에 관(關)한 지역별(地域別) 비교연구(比較硏究) -강릉, 대구, 대전, 전주지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Regional Obeserving State of Korean Holiday's Traditional Festive Foods (Centering Around KANGREUNG, DAEJEON, JEONJU and DAEGU Regions))

  • 김향희;황춘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5-173
    • /
    • 199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on the observing state of Korean traditional holidays and the traditional foods related to those days through the questionnaires completed by 578 housewives who live in Kangreung, Daejeon, Jeonju, and Daegu area. For data processing, SAS program was employed, and all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x^2-squa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observing the traditional holidays, more than 90% of housewives who answered the inquiry keep up SEOLNAL, DAEBOREUM, and CHUSEOK, whithout regarding regions. There are larger number of people who keep up IPCHUN, JUNGWHAJEAL, and DANOH in Kangreung and SAMBOK in Daegu than that of other regions (p<.001). Compared to general circumstances, CHOPAIL is more commonly celebrated by older class as well as lower educated class (p<.001) Also, the consequence shows that Buddhists observe IPCHUN, SAMJITANL, CHOPAIL, DANOH, SAMBOK, and DONGJI more commonly compared with other classes (p<.001), IPCHUN, SAMJITNAL, (p<.01). DAEBOREUM, YUDU, SAMBOK, JUNGYANGJEOL, OHIL, and DONGJI (p<.001) are celebrated more generally among extended. 2. On inheritance of the traditional holidays, most of the housewives answered that the SEOLNAL, DAEBOREUM, CHUSSEOK, and DONGJI are to be inherited. Compared to general circumstance CHOPAIL is suggested to be inherited by older people (p<.001). The IPCHUN, CHOPAIL, SAMBOK (p<.001), and DANCH (p<.01) are suggested by Buddhists that YUDU and SAMBOK are by nuclear. 3. In preparaing festive foods, DEOKGUK on SEOLNAL, OHKOKBAP and MUKEUNNAMUL on DAEBOREUM, SONGPYEON and GATEUNNAMUL on CHUSEOK, and PATJUK on DONGJI are being made very generally. KANGJEONG on SEOLNAL, BUREUM on DAEBOREUM, KALGUKSU and SAMGYAETANG on SAMBOK, DARKJIM on CHUSEOK, SUJEONGGWA and DONGCHIMI on DONGJI appeared comparatively high rated of making. 4. In normal times, DEOKGUK, MANDU, INJEOLMI, SIKHYAE, SUJEEONGGWA, PYEONYUK, JEONYUEO, SIRUDDEOK, BOKSSAM, MUKEUNNAMUL, SONGPYUN, MINARINAMUL, YUKGAEJANGGUK, KALGUKSU, SAMGYAETANG, HOBAKJIJIM, TORANTANG, GATEUNNAMUL, NUREUMJEOK, DAKJIM, KALBIJIM, PATJJUK, and DONGCHIMI is usully made. 5. The source to learn about traditional foods is mostly by her mother and the rest orders are husband's mother, cooking books, mass media (including T.V), school education, and cooking instituse, etc.

  • PDF

산후 1, 6개월 완전모유수유율과 영향 요인 (Exclusive Breastfeeding Rate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by the 1st and 6th Month of Postpartum)

  • 하범만;김선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230-240
    • /
    • 2018
  • 본 연구는 산후 1개월 및 6개월 완전모유수유율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자료는 2015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 조사 원시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조사 완료된 기혼여성 중 2013년 1월부터 조사시점에 추산 후 6개월이 경과한 2015년 2월 사이에 자녀를 출산한 1,839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카이제곱분석 및 다중로지스틱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만 후 1개월 및 6개월 완전모유수유율은 각각 54.0%, 9.4%로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완전모유수유율이 감소하였다. 산후 1개월 완전모유수유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산모의 나이, 아기의 출생순위, 분만형태, 분만 후 1시간 이내 모유수유 여부였으며, 산후 6개월 완전모유수유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산모의 나이, 거주지역, 아기의 출생순위, 산후 1개월 완전모유수유 여부였다. 본 연구결과 완전모유수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출산 후 시기에 따라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완전모유수유율 향상을 위해 출산 후 각 시기별 완전모유수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중재가 필요하다.

영아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실제 관계에서 미치는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소득수준의 조절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mo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Practice Infant Mothers depending on Household Income Level)

  • 권신영;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01-115
    • /
    • 2014
  • 본 연구는 영아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실제 간의 관계에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지를 살펴보고, 이의 가구 소득 수준에 따른 매개효과가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매년 수집하는 한국아동패널 데이터 중 2010년 수집된 총 1,802명의 3차 연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때 아동의 연령은 만 25.75개월(SD=1.37)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진 결혼만족도가 자아존중감을 통해 양육실제에 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데이터 분석 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구 소득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 결과는 가구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향상이 양육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함을 시사한다.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이 배우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Worker-to-home Compatibility on the Satisfaction of a Spouse: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Assistance)

  • 박길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28-13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이 배우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과정에서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 자료 중에서 10차년도(2017년)까지 표본이 유지된 취업모 72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과 정규성 검증을 위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3단계 방법을 활용하였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의 이점요인은 배우자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보였다(ß=.164, t=4.078, p<.01). 둘째,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의 갈등요인은 배우자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나타냈다(ß=-.134, t=-3.438, p<.05). 셋째,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의 이점요인과 갈등요인이 배우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과정에서 사회적 지원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이 배우자만족도와 사회적 지원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follow-up participation in birth cohorts

  • Park, Bohyun;Choi, Eun Jeung;Ha, Eunhee;Choi, Jong Hyuk;Kim, Yangho;Hong, Yun-Chul;Ha, Mina;Park, Hyesook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31권
    • /
    • pp.23.1-23.6
    • /
    • 2016
  • Objectives A stable follow-up participation rate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validity in a cohort study.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articipation rate at one hospital-based birth cohort in South Korea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Mothers' and Children's Environmental Health study between 2006 and 2010. The analysis targeted 1751 mothers who participated in a birth cohort. We conducted analyses of general characteristics during pregnancy and those of infants at birth that affect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6-month follow-up survey. Results The participation rate for the 6-month follow-up survey was 60.4%. The participation rate in the follow-up of the subsequent period decreased within a 5% to 10% range compared to the number of subjects. The participation rate of premature infants was 16.9% lower than that of a full-term infant (52.6% vs. 69.5%). Analysis showed a 16.7% difference between the participation rate of low-birthweight infants in follow-ups (53.7%)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infants with normal weight (70.4%). The participation rate of mothers who were employed during pregnancy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he 6-month follow-up compared to the participation rate of mothers who were unemployed during pregnancy. Conclusions In this study, factors such as premature birth, low-birthweight, and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mother during pregnancy affected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follow-up survey for the birth cohort at six months. A specific strategy is needed to encourage survey participation for the high risk groups in the follow-ups.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 상태의 변화 궤적과 영향 요인: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Analyzing Changes and Determinants of Self-rated Health during Adolescence: A Latent Growth Analysis)

  • 최유정;김혜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496-505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s in the self-rated health of adolescents and to identify its predictors using longitudinal data from the KCYPS. Methods: A sample of 2,351 adolescents who were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in 2010 was analyzed. The study employed latent growth analysis using data from 2010 to 2016.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self-rated health of adolescents increased, following the form of a linear function. The analyses revealed that adolescent self-perception of health were conceptualized not only by their health-related behaviors, but also by personal, socioeconomic and psychological factors. Specifically, physical activity, passive leisure time activities, gender (initial: b=-.060, slope: b=.030), place of residence (initial: b=-.079), self-rated economic condition (b=.098), working status of mother (b=.016), monthly family income (b=-.001), aggression (b=.061), depression (initial: b=-.104, slope: b=.012), stress (initial: b=-.172, slope: b=.014, ego-resiliency (initial: b=.197, slope: b=-.021), and self-esteem (initial: b=.106, slope: b=-.017)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overall linear change of self-rated health (p<.05 for all estimators abov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dolescents' self evaluation of their health is shaped by their total sense of functioning, which includes individual, health-related behavioral, socioeconomic, and psychological factors.

융복합시대 산후조리와 육아휴직으로 인한 출산장려정책이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fluence of Child Birth Promotion Policy Due to postpartum care and Maternity Leave to Economical Activities in the Era of Convergence)

  • 장명숙;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245-254
    • /
    • 2015
  • 본 연구는 융 복합시대 여성의 산후조리와 육아휴직으로 인한 우리나라의 출산장려정책이 경제활동에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글로리 산후조리원, *세계 산후조리원, **한 산후조리원, **노블 산후조리원에 입소한 산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260부를 배포하여 설문조사에 성실하게 응답한 산모들의 설문지 222부를 채택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또 현 정부에서 지원하는 출산장려정책에 대해 선행연구와 국, 내외 기존문헌을 토대로 연구하였다. 출산장려정책의 특성요인으로서 사회보험 및 세제, 출산비, 보육서비스, 사회문화의 결정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요인과 출산여성의 경제활동여부와, 매개변수로 육아휴직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 검증하는 연구를 목적으로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