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trauma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우울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s)

  • 정계현;박민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63-272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depression. Methods: From June to July, 2017, a convenience sample of 226 nursing students was recruited.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2.0. Results: 68.1% (154) respondents experienced emotional abuse, and 48.1% (110) emotional neglect in childhood emotional trauma. The average depression score was 10.76. There were 54.4% (123), 34.5% (78), 12.8% (29), and 7.1% (16) of respondents with mild, moderate, and severe depression, respectively. The average interpersonal skills score was 3.59.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emotional abuse, emotional neglect), interpersonal skills and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neglect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Conclusion: Interpersonal skills play a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neglect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depression, and also reduce the effects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on depression. When developing a depression prevention program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such programs should consider strategies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중학생의 정서적 외상경험이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Emotional Trauma to Internet·Smart Phone Addic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 최은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75-38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정서적 외상경험이 인터넷 스마트폰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정서적 외상경험을 독립변인, 자아존중감을 조절변인, 인터넷 스마트폰중독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조절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645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외상경험, 자아존중감, 인터넷 스마트폰중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외상경험은 자아존중감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인터넷 스마트폰중독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정서적 외상경험과 인터넷 스마트폰중독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의 수준에 따라 정서적 외상경험과 인터넷 스마트폰중독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정서적 외상경험이 인터넷 스마트폰 중독의 원인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정서적 외상경험의 부정적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자아존중감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아동기 외상, 거부민감성, 정서인식명확성이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Childhood Trauma, Rejection Sensitivity, Emotional Recognition Clarity on Displaced Aggression)

  • 이자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385-39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외상, 거부민감성, 정서인식명확성이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H 사이버대학교 성인 20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은 SPSS Win 25와 SPSS Process Macro를 통해 상관관계분석과 이중매개효과분석이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외상, 거부민감성은 전위공격성에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정서인식명확성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아동기 외상과 전위공격성과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은 간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인식명확성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기 외상과 전위공격성과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정서인식명확성은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기 외상을 경험한 사람들의 전위공격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트라우마(trauma)를 치유하는 공간의 가치와 디자인접근에 관한연구 - 시대별 특성과 변화에 대한 관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motional design approach and the Value of the Space for Healing the Trauma - Focus on the period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

  • 우지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06-215
    • /
    • 2010
  • The negative memories which come from tragic events such as war, terror or various conflicts in modern cities have been threatening the mental health of city-dwellers. This thesis focuses on 'healing public space' that will help recover the life of city-dwellers who sustain various trauma. For this, the author investigated the significant memorial space through 1980-2010 from site visits, interviews, and related theses and books and then extracted necessary information from each period. This thesis aims to find the changes of the memorial concepts and visitor's reaction for last 30years. 1)1980-: Healing concept and visitor's positive response 2)1990-: Healing by emotional experience approaches to the memorial museum such as narrative approach, exhibition media using 5senses, interactive display and preserving trace, 3)early 2000-: Healing by architectural experience 4)2002-: present: Healing projects by various programs. Steady advances in memorial design for healing trauma are due to the efforts for emotional design approach to eeply move the visitors and the efforts have to be continued. The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ttracting eople by experimental, emotional design contents not just by aesthetic and functional public design ideas.

아동기 트라우마 성인여성의 정서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motional Experiences of Adult Women with Childhood Trauma)

  • 김흥;김현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341-34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트라우마를 겪은 성인여성 생존자의 트라우마 영향으로 인한 정서경험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기에 트라우마를 겪은 기혼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신을 지킬 수 없는 아이', '트라우마된 아동기 외상', '불안정애착과 착한아이 증후군', '대인관계의 어려움', '자녀양육의 어려움', '신체화증상', '잃어 버린 나를 찾아서' 의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양육자로부터 직접 학대를 경험한 외상과 동생의 사고를 목격 경험한 가족인 형제의 외상이 트라우마로 진행하는 두 사례를 비교와 대조를 통해 가족내에서 자녀들이 겪어야만 했던 심리 내적인 경험과 부모와 아동기에 형성된 불안정 애착으로 인한 관계외상과 이를 치유해 가는 성장 경험을 이해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아동기 트라우마를 겪은 성인여성들의 삶의 전반에 반영된 부정적 부적응적 정서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해 건강한 자아 회복과 정서적으로 잘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Have you Exposure to a trauma and No PTSD? Which factors help and which are not?

  • Bulathwatta, Asanka;Witruk, Evelin;Reschke, Konrad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5권1호
    • /
    • pp.21-31
    • /
    • 2019
  • Exposure to a traumatic events gives people many post traumatic conditions resulting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or Post Traumatic Growth (PTG). Some of them may come up with acute Stress Disorder and some may having with grievances. But most of people overcome their traumatic condition with using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capacities. This article is focused on indicating basic mechanisms and resources in which can be lead to have better social rehabilitation along with the matters that can be important in trauma coping. The later part of the article appeals the concept of social work theory highlighting the psych dynamic approach which can be impact positively on psycho social rehabilitation. Traumatic experiences are really unpredictable and it can be resulte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s, Post traumatic growth in the end. But developing skills that required to overcoming trauma is facilitated by the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and Coping capacities that people having with. Exposure to a traumatic experience and not having a PTSD is determined by the many other factors such as social support system and government facilitation of the wellbeing afterwards the trauma. Here in this article the basic components of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and coping mechanisms have been considered as the major factors.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Fear of Compassion and the Difficulties of Emotional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 강민정;조현주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8권1호
    • /
    • pp.71-97
    • /
    • 2021
  • 본 연구는 애착외상과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경북 소재 대학의 대학생 296명을 대상으로 아동기외상, 자비불안, 정서조절곤란, 대인관계문제를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애착외상이 높은 집단(상위 25%)과 낮은 집단(하위 25%)으로 분류하여 주요 변인 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애착외상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 효과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외상이 높은 집단은 애착외상이 낮은 집단에 비해 타인으로부터 받는 자비두려움, 자기자비두려움, 정서조절곤란, 대인관계문제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이 각각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애착외상이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을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이 완전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애착외상이 자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정서조절곤란으로 이어져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상담 개입 장면에서 갖는 의의를 논의하고 한계와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남·여 알코올중독자의 외상경험에 관한 연구 (Study on Trauma of Male, Female Alcoholics)

  • 우재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98-307
    • /
    • 2014
  • 본 연구는 남, 여 알코올중독자의 외상경험을 살펴보고, 외상경험의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사회복지의 실천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20명의 알코올중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경험 내용을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아동기 성적학대, 살아오면서 겪을 수 있는 외상(친밀한 사람의 자살, 사망, 질병, 가족분리)의 학대경험이 여성보다 많게 파악되었다. 반면 여성의 경우 아동기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성적 학대, 성인기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성적 학대, 살아오면서 겪을 수 있는 외상(사기, 신체적 방임, 유산)의 학대경험이 남성보다 많게 파악되었다. 또한 남성, 여성 알코올 중독자 모두 경제적 곤란의 외상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남성 알코올중독자의 학력과 첫 음주연령이 외상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여성 알코올중독자의 경우 학력, 종교, 가족력, 재발경험, 병식이 외상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알코올중독자의 회복을 고취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대구지하철 참사를 경험한 소방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유형에 따른 대처방식 (Coping methods rel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types for the firefighters who experienced the Dae-gu subway fire disaster)

  • 백미례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5-1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ty the distribution of post-traumatic stress types and coping methods an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traumatic stress types and the coping methods, for firefighters who experienced in Dea-Gu Subway Fire Disast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6 firefighters who experienced Deagu Subway Disaster. Q questionnaire developed by Q-study and coping methods instrument based on that of Folkman & Lazaruswas revised and complemented by Kim Jung Hee was us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using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distribution of post-traumatic stress types were 52.4% of Emotional arousal trauma, 34.1% of Trauma experience persistence and 13.5% of Physiological symptom experience. 2. The difference of post-traumatic stress typ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hysical injury(p = .010). 3. The minimum score of coping with post-traumatic stress types was 0.07, the maximum was 2.96 and the mean score was 1.27. 4. The coping method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active coping method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p = .001), passive coping method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p = .003) and passive coping method according to diagnosis(p = 0.20). 5. The mean score of active coping method according types were Emotional arousal trauma(1.505), trauma experience persistance(1.322) and Physiological symptom experience(1.276). The mean score of passive coping method related with types were Emotional arousal trauma(1.328), trauma experience persistance(1.254) and Physiological symptom experience(1.219).

  • PDF

조현병 환자의 아동기 외상 경험에 따른 정신병리 및 임상적 특성 (Associations of Childhood Trauma with Psychopath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이현수;정유란;유태영;이주연;이수인;김재민;윤진상;김성완
    • 대한조현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7-43
    • /
    • 2017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of childhood trauma with psychopath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 : This study enrolled 66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Korean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K-CTQ) and Life Event Questionnaire (LEQ) were administered to assess childhood trauma. Psychopathol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wi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Korean Version of Internalized Stigma of Mental Illness (K-ISMI), Perceived Stress Scale (PSS), and visual analogue scale of EuroQoL-5 Dimension Index (EQ-5D). Results : Total scores on K-CTQ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cores on the BDI, K-ISMI, PSS, and PANSS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score on the EQ-5D. Among subscales of K-CTQ, emotional abus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l measures for psychopath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Patients with physical abuse (36.5%), emotional abuse (30.2%), or bullying (30.6%) according to the LEQ showed sighificanlty higher the ISMI score and lower EQ-5D score. Emotional abuse and bullying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on BDI and/or PSS.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childhood trauma negatively influences on internalized stigma, depression, perceiv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Clinicians should carefully evalute and manage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