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ergency medical

검색결과 3,230건 처리시간 0.033초

Little Anne, BRAYDEN, HeartiSense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CPR Training using Little Anne, BRAYDEN and HeartiSense)

  • 김진현;최욱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90-296
    • /
    • 2017
  • 연구목적: 본 연구는 Little $Anne^{(R)}$, $BRAYDEN^{(R)}$, $HeartiSense^{(R)}$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교육에 사용되는 마네킹에 따른 교육효과를 비교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자는 응급구조사가 아닌 90명의 소방관이었다. A, B, C 세 그룹으로 나누어 50분 동안 심폐소생술 이론교육을 하였고, 이후 50분간 각 그룹별로 3인 1조 실습교육을 시행 하였는데, A그룹 30명은 Little $Anne^{(R)}$를 이용 하였고, B그룹 30명은 $BRAYDEN^{(R)}$를 이용 하였고, C그룹 30명은 $HeartiSense^{(R)}$를 이용하였으며, 이후 Resusci Anne $SkillReporter^{(R)}$를 사용해 수행한 심폐소생술 결과를 출력한 후 결과를 확인하고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마네킹에 따른 만족지수는 $x^2=81.050$, p<.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만족 이유는 $x^2=91.050$, p<.00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확한 흉부압박 비율은 F=5.087, p<.004, 정확한 인공호흡 비율은 F=10.54, p<.00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정확하고 효율적인 CPR 교육이 필요한 대상에게는 교육효과가 높은 실시간 시각 교정이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마네킹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개방성 분쇄 함몰 두개골절의 즉각 골편 복위술 (Immediate Replacement of Bone Fragments in Compound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s)

  • 조용준;김영옥;송준호;황장회;김성민;안명수;오세문;안무업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5호
    • /
    • pp.668-674
    • /
    • 2000
  • Objective : The classic and accepted surgical method of compound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s (FCCD) involves total resection of all the contaminated bone and fragments at the fracture site. A second operation for cranioplasty is then performed at a later date. However, we have believed that primary repair of these bony defects can be achieved by the replacement of bone fragments at the time of the initial debridement, and this can be accomplished without danger to patient. The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surgical results to asses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also propose the selection criteria of replacement of fractured bone fragments as a primary procedure in FCCD. Materials and Methods : The authors analyzed the data extracted from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al findings in 22 of 71 patients with FCCD, who underwent immediate replacement of fractured bone fragments between April 1993 and October 1998.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3.7 months.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operation included the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severity, regardless o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r dural violation, which presented in hospital within 24 hours of injury. Results : The ages of the patients varied from 4 to 63 years, and there were 20 males and 2 females. Seventeen of 22 patients were fully conscious on admission and the others also had relatively good Glasgow coma scales. Sixteen fractures were located in the frontal area, 9 with involvement of the frontal sinuses, and 6 in the parietal and temporoparietal areas. Of the 22 patients, 8(36.3%) had dural lacerations with 3 of these requiring patching with pericranium, and 12(54.5%) had intracranial hematoma requiring wide craniotomy. The degree of wound contamination was also variable. Fifteen patients had relatively clean wounds, while seven(31.8%) had seriously contaminated wounds with soil, sand, hair, and wood. Only one patient(4.5%) developed infection, and the bone fragments were removed. All wounds healed primarily without pulsatile defect, the skull has remained solid, and no complications have occurred, except the infected case. Conclusion : It is proposed that bone fragments removal for FCCD, regardless o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r dural violation, is not necessary and that primary bone fragments replacement avoids a second operation for cranioplasty.

  • PDF

축구선수의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Competence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Football Players)

  • 문태영;박순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085-3093
    • /
    • 2012
  • 본 연구는 축구선수들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수준, 태도 및 수행능력에 관한 차이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및 대학생 축구선수 234명을 대상으로 2011년 10월 5일부터 10월 19일까지의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PC 19.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은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축구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수준, 태도 및 수행능력은 성별, 학력, 기본심폐소생술 교육경험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폐소생술 관련 특성과 지식수준, 태도 및 수행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축구선수들의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수준, 태도 및 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축구선수들의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경험 및 지식수준을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마음 놓고 경기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보다 더 나은 운동경기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공에 따른 해부학 가상강의의 자기평가요인, 가상강의실 활용도,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 비교 (Correlation between Self-Evaluation Factor, Satisfaction, Utilization Frequ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yber Anatomical Education according to Major)

  • 김광환;김지희;이영일;박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81-287
    • /
    • 2011
  • 해부학 교육에 있어 가상강의 방식을 활용하는 것은 학문적 특성에 부합되는 교육방식이다. 본 연구는 해부학 교육의 개선 방안의 일환으로서, 가상강의의 도입 및 확대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자체개발한 해부학 가상강의 컨텐츠를 바탕으로 2007-2009년 3년 동안 간호학과 및 스포츠과학부 학생들에게 가상강의를 실시하였다. 강의 종료후, 수강학생 중 총 231명을 대상으로 가상강의실 게시판 및 컨텐츠 활용 빈도, 개별 설문조사, 학업성취도 자료를 바탕으로 자기평가요인, 가상강의실 활용도 및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전공의 구분 없이 모두 만족도, 난이도, 흥미도, 전공연계성 등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또한 가상강의실 이용의 편의성 및 과제에 대해서도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로그인 횟수와 게시판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도 높았다. 학업성취도는 학과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가상강의실의 로그인 횟수와의 상관관계(r=0.246, p<0.01, 간호학과; r=0.234, p<0.05 스포츠과학부)는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취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자기평가요인은 간호학과의 경우 난이도(r=0.218, p<0.01)였으며, 스포츠과학부는 만족도, 난이도, 흥미도 등(r=0.499, p<0.05)이었다. 따라서 해부학 가상강의는 해부학 강의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전공 분야의 학생들의 교육 수요를 적극적으로 흡수하고, 부족한 해부학 전공 강의요원들의 교육 부담을 경감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지속적인 컨텐츠 개발과 운영 효율성에 대한 제고를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수법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도농복합 지역 영유아 예방접종수첩 기록의 정확도 (Development of Vaccination Coverage Estimation Methods of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in Korea)

  • 이무식;김광환;김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885-888
    • /
    • 2010
  • 현재 우리나라는 보건소 중심의 예방접종등록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2004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현재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다. 예방접종등록사업은 피접종자들은 대체적으로 예방접종에 대한 적절한 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예방접종과 관련된 정보들을 국가나 사회에서 적시에 피접종자들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확인이 등록에 앞서 그 정확성을 확인 필요가 있다. 예방접종등록사업의 가장 기본적인 사업으로 진행된 것은 예방접종 수첩의 제공과 그 관리를 통한 예방접종 사업으로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왔으며, 일반 국민과 개원의사들에서도 대중적으로 보급되어 있다. 국가 예방접종률의 산출 그리고 취학 어린이 예방접종력 증명서 제출 제도를 위하여 예방접종 수첩을 활용하는 방법이 현실적으로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방접종 수첩의 예방접종력 정확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지역조사에서 접종기관으로 확인된 민간 의료기관 365곳 가운데 의료기관 이전 및 폐업으로 반송된 경우가 4건(1.1%)이었으며, 응답한 경우는 129곳으로 응답률은 35.3%였다. 조사된 의료기관 전체를 대상으로 확인된 1,201건에 대한 BCG 접종여부의 정확도는 69.5%였다. B형 간염의 정확도는 1차가 41.3%로 낮았으며, 2차와 3차는 각각 76.6%, 79.7%였다. DTaP의 정확도는 약 80%였으며, 정확도가 제일 높은 것은 DTaP 3차로 82.5%였으나 다른 것과 가장 낮은 정확도와 2% 정도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폴리오의 정확도는 약 80%였다. MMR의 정확도는 83.2%였다. 일본뇌염의 경우 약 80.0%였으며, 수두의 정확도는 74.9%로 다른 질병과 비교하여 낮은 수치를 보였다. 조사된 의료기관을 전체로 한 기타예방접종별 예방접종수첩의 접종여부의 정확도는 인플루엔자는 정확도는 74.1%였으며, 뇌수막염은 72.7%의 정확도를 보였다. A형 간염 1차의 정확도79.5%였으며, 폐렴구균 1차의 경우 73.2%로 나타났다. 국가필수예방접종별 예방접종수첩의 접종일자에 대한 정확도는 BCG 80.1%로 확인되었고, B형 간염 1차 89.7% 2차는 82.1% 3차는 79%로 B형 간염 중 가장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DTaP는 1차와 2차는 약 87% 3차는 85.1% 4차는 83.5%로 확인이 되었다. 폴리오는 1차가88.1%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2차가 86.2%, 3차가 84.8%로 확인되었다. MMR의 정확도는 84%였으며, 일본뇌염 1차의 정확도는 83.1%로 나타났다. 수두의 접종일자 정확도는 83.7% 이고, 인플루엔자의 정확도는 55.3%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기타예방접종별 접종일자 정확도의 조사 결과 뇌수막염 1차과 폐렴구균 1차는 약 90%로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A형 간염 1차는 88.4%의 정확도를 보였다.

  • PDF

구급일지를 통한 병원전 심정지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병원전 응급처치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ehospital care in Pre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by Paramedic's Reports)

  • 고봉연;박영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540-1546
    • /
    • 2010
  • 본 연구는 심정지 환자에 특성 및 심폐소생술과 제세동 등 응급처치 시행에 관련된 구급활동일지와 심폐정지환자 응급처치 세부상황표를 분석하여 심정지 환자의 소생을 위한 병원전 응급처치의 질향상에 기여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세동할 수 있는 심실세동과 심실빈맥 리듬은 20.3%이고 이중 제세동기에 의한 쇼크는 66.5%가 시행되었다. 현장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시 소생률은 미시행시에 비해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p=0.10)는 없었다. 심전도 기록을 판독한 결과 심실빈맥이거나 심실세동인 경우가 무수축이거나 무맥성 전기활동인 경우보다 소생률이 높고 유의한 차이(p=0.000)가 있다. 제세동을 적절하게 한 군은 부적절하거나 판단이 불가능한 경우보다 소생률이 높았고 유의한 차이(p=0.000)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병원전 응급구조사의 기록과 제세동 등 적절한 응급처치로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을 높이는데 기여하였으면 한다.

소아 난치성 간질 중첩증에서 뇌척수액 백혈구 증가증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cerebrospinal fluid pleocytosis in pediatric refractory status epilepticus)

  • 김정미;김영미;권순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0호
    • /
    • pp.1086-1092
    • /
    • 2006
  • 목 적 : RSE는 드물지 않으며 사망률이 높고 신경학적 후유증을 많이 남길 수 있는 중증 질환이다. 본 연구는 소아 난치성 간질 중첩증에서 뇌척수액 백혈구 증가증이 임상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2006년 1월까지 경북대학교 병원 소아과에 난치성 간질 중첩증을 주소로 입원한 37명의 환아 중에서 뇌척수액 검사를 시행한 25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토대로 후향적 조사하였고 뇌척수액 백혈구 증가증이 있는 군과 없는 군을 나누어 비교하고, RSE가 간질의 첫 증상이었던 환아와 이전에 간질로 치료 받고 있던 환아 군을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 과 : 25명의 환아 중 6명에서 뇌척수액 백혈구 증가증이 있었고, 뇌척수액 백혈구 증가증이 없는 군에서 사망률과 필요약물 투여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 후 경과는 뇌척수액 백혈구 증가증이 있는 군의 생존자가 더 심한 후유증이 남은 것으로 보이나 중추신경계 감염이 원인인 환아들을 제외하면 두군에서 치료 후 경과에 큰 차이가 없었다. 뇌척수액 백혈구 증가증이 있는 환아 들은 모두 처음 경련이 발생한 환아 들이었다. 결 론 : RSE로 진행한 경련 환아들 중에서 감염의 증거가 있을 경우는 뇌척수액 검사가 빠른 시간 안에 시행되어 중추신경계 감염 등의 원인 질환이 밝혀져야 하겠으나, 감염의 가능성이 적은 경우는 뇌척수액 검사 시기를 신중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경한 뇌척수액 백혈구 증가증은 예후에 특정한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감염이 의심되지 않는 경우에는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등의 사용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일부 초등학생의 안전실천 관련요인 (Safety-practic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Elementary students in a rural area)

  • 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115-1125
    • /
    • 2009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안전실천수준과 안전실천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초등학생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549명으로 자가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안전의식 수준은 3.55점과 안전실천 수준은 2.98점이었으며. 안전실천 수준은 초등학생의 성별, 학년, 친구수, 학교생활적응정도, 학업수준, 성격, 호기심, 안전교육필요성 인식정도, 부모의 안전교육실시 정도, 학교안전교육실시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안전실천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안전의식 수준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자아존중감, 부모의 안전교육실시정도가 안전실천 수준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로 모두 28.8%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안전실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을 앞으로 더 규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소방공무원의 지각한 현장출동 충격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가 신체증상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ield-Shock Experience and Post Traumatic Stress Perceived by Fire Officials upon Somatic Symptoms and Coping Methods)

  • 문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815-3823
    • /
    • 2013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들의 지각한 현장출동 충격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가 신체증상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강원도 소재 소방안전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 남녀 36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19.0과 AMOS 19.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위한 요인분석과 Cronbach's ${\alpha}$ 분석,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실시하였고, 가설 검정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한 현장출동 충격 경험은 외상 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한 현장출동 충격 경험이 신체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한 현장출동 충격 경험은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상 후 스트레스는 신체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외상 후 스트레스는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신체증상은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으로 볼 때 충격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으로 전 세계적으로 검증이 되어 실제 운영되고 있는 위기상항 스트레스 해소법(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 CISD)을 소방서의 실정에 맞게 도입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슬라이드 커버 동시충전 자동심장충격기가 제세동의 신속성과 편의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lide-Covered of Slide-Covered Contemporary Charging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on Rapidity and Convenience of Defibrillation)

  • 박시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325-33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자동심장충격기인 T-AED와 새롭게 개발된 SC-AED의 제세동 신속성 및 사용자가 느끼는 주관적 편의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2017년 2월부터 2018년 4월까지 전남지역의 D대학, C대학병원의 기본인명소생술 교육센터에서 의료종사자 및 일반인을 위한 기본소생술과정에 참여한 156명을 T-AED (n = 77) 및 SC-AED (n = 79) 그룹에 무작위할당 하였다. 각 그룹은 제세동을 실시한 후, 총 제세동 지연시간, 제세동 지연시간, 쇼크버튼 누름 지연시간, 후속 흉부압박 재개시간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고 이를 t-검정을 통해 분석했다. 실험 후 조작자신감, 사용편의성, 의사결정 도움, 이상 3가지 요인에 대한 자료를 설문으로 수집하였고 각각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SC-AED는 T-AED와 비교하여 총 제세동 지연시간(11.22 초), 제세동 지연시간(11.04 초) 및 쇼크버튼 누름지연시간(2.15 초)가 현저히 단축되었습니다 (p<0.001). 주관적 편의성 측면에서 자신감(T-AED : 7.62±1.25VAS vs. SC-AED : 7.80±0.98VAS, p = .358)는 중요하지 않았지만, 편의성(T-AED : 7.05±1.36VAS vs. SC) -AED : 8.95±0.89VAS, p<0.001) 및 의사결정도움(T-AED : 6.58 ± 1.73VAS vs. SC-AED : 9.08±0.98VAS, p = 0.001)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T-AED에 비해 의료종사자 및 일반인 집단 모두에서 더욱 신속한 제세동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사용자의 편의성과 명확한 의사결정을 크게 도와주었다. SC-AED에 적용된 기술이 향후 보편적인 자동심장충격기에 상용화된다면 더욱 효과적인 PAD를 통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제고에도 이바지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