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walking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22초

노인의 우울증과 일상생활동작능력의 관련성 (Correlation of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Elderly)

  • 정순미;박래준;노효련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2권2호
    • /
    • pp.31-38
    • /
    • 2010
  • Purpos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and the ability to engag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elderly. Methods: Subjects (n = 182) were 60 years or older and who attended the Senior College of Gimhae Senior Welfare Center. We collected data via a questionnaire, through a Self- recording method an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e collected data on personal and general characteristics, level of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sults: Among all subjects, 51.1% reported having depressionMild depression was reported by 29.7% (54 subjects), moderate depression by 13.2% (24 subjects), and severe depression by 8.2% (15 subjec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cluding walking, climbing stairs, standing from a chair and sitting on and using toilets, using a telephone, bathing, shopping, cleaning house, and managing mone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elderly subjects who were depressed (p<0.05). The greater the level of depression, the less able they were to engag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nclusion: These findings may help us achieve early detection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provide mediated arbitration so that they can have better health condition and greater ability to engag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레크리에이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체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ecreation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Strength for Elderly Women)

  • 한윤수;최정현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941-952
    • /
    • 2008
  • 이 연구는 여성 농촌노인을 대상으로 레크리에이션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체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 대상자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지 않는 경기도 지역 Y시에 소재한 경로당 75세 이상의 여성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의 연령은 75세 ~ 88세 범위(M=80.75, SD=3.22)였다. 레크리에이션 복합운동 프로그램은 1회 50분, 주 3회, 8주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악력, 의자 앉았다 일어서기, 2.45m 돌아오기, 눈뜨고 한발서기,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4.6m속보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레크리에이션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여성 농촌노인의 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생활시간조사에 기반한 보행활동시간 특성 분석 (A Study of Walking Activity Tim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ime Use Survey)

  • 박지훈;구동균;정일호;이승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53-61
    • /
    • 2022
  • 최근 보행의 중요도는 점진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보행활동시간 특성에 대한 분석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보행활동시간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통행보행과 여가보행으로 구분하여 군집분석과 대응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각 군집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통행보행을 전혀 하지 않는 사람들은 근로자가 주를 이루었으며, 통행보행을 하는 사람들은 가정주부 그룹과 학생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학생 그룹의 첨두는 오전에 명확하게 나타나며, 오후 첨두는 분산되어 있었다. 가정주부 그룹의 첨두는 뚜렷하지 않으나, 오후 시간대 보행을 주로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가보행을 전혀 하지 않는 사람들은 근로자가 주를 이루었으며, 여가보행을 주로하는 사람들은 노년 그룹이었다. 노년 그룹의 여가보행 패턴은 15시 전후에 주로 하는 그룹과 15시 전후를 제외한 타시간에 주로 하는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보행의 보행활동시간 특성은 향후 보행정책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

교통약자를 고려한 보행 신호시간 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Pedestrian Signal Timing Model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Weak Pedestrians)

  • 황덕수;오영태;이상수;김태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1-190
    • /
    • 2008
  • 본 연구는 교통약자(어린이와 고령자)에 대한 보행속도 및 인지-반응을 포함한 보행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와 같은 교통약자의 보행 특성을 반영한 보행 신호시간 모형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가상횡단보도를 이용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어린이 및 고령자의 보행특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가 고령자에 비해 보행속도가 높게 나타났고, 약 0.63 m/s, 0.57 m/s의 평균속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인지-반응시간과 여유시간은 고령자가 어린이에 비하여 높게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특성을 반영한 보행신호시간 산정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개발된 모형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 실제 보행행태에 적합한 결과를 얻었고, 이를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경찰청 모형과 비교한 결과 대부분의 상황에서 현재의 모형보다 증가된 보행 신호시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교통약자의 보행환경을 개선하는데 적용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교통약자의 이동성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Energy cost of walking in older adults: accuracy of the ActiGraph accelerometer predictive equations

  • Ndahimana, Didace;Kim, Ye-Jin;Wang, Cui-Sang;Kim, Eun-Ky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5호
    • /
    • pp.565-576
    • /
    • 2022
  • BACKGROUND/OBJECTIVES: Various accelerometer equations are used to predict energy expenditure (EE).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of these equations and their validation studies have been conducted primarily without including older adults. This study assessed the accuracy of 8 ActiGraph accelerometer equations to predict the energy cost of walking in older adults. SUBJECTS/METHODS: Thirty-one participants with a mean age of 74.3 ± 3.3 y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20 men and 11 women). The participants completed 8 walking activities, including 5 treadmill and 3 self-paced walking activities. The EE was measured using a portable indirect calorimeter, with each participant simultaneously wearing the ActiGraph accelerometer. Eight ActiGraph equations were assessed for accuracy by comparing the predicted EE with indirect calorimetry results. RESULTS: All equations resulted in an overall underestimation of the EE across the activities (bias -1 to -1.8 kcal·min-1 and -0.7 to -1.8 metabolic equivalents [METs]), as well as during treadmill-based (bias -1.5 to -2.9 kcal·min-1 and -0.9 to -2.1 METs) and self-paced (bias -1.2 to -1.7 kcal·min-1 and -0.2 to -1.3 METs) walking. In addition, there were higher rates of activity intensity misclassifications, particularly among vigorous physical activities. CONCLUSIONS: The ActiGraph equations underestimated the EE for walking activities in older adults. In addition, these equations inaccurately classified the activities based on their intensities. The present study suggests a need to develop ActiGraph equations specific to older adults.

고령자와 청장년층의 발바닥 압력분포에 따른 보행패턴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Gait Patterns of the Elderly and the Young Regarding to Foot Pressure)

  • 이경득;김대웅;유중현;김경훈;이태용;박광석;정기성;박승범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7-7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difference in gait patterns when elderly and young people walk by analyzing COP, Gait Line, Foot pressure pattern, and ensuring the original biomechanics technology of developing high performance footwear for the elderly. The subjects who took part in the test consist of 20 elderly people and 20 young people.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elderly people that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are as below: 20 healthy male subjects(elderly people) with an average age of 75.43 yrs(S.D 6.46 yrs), weight of 68.10 kg(S.D 0.94 kg) and a height of 168.65 cm(S.D 1.47 cm). Foot pressure pattern data was collected using a EMED-AT system(Novel Gmbh, Germany) operating at the 50 Hz during walking. The results are as follow : COP route of the elderly leans to lateral compared to the young, and Gait Line from heel to toe is not clear and laterally curved. At the same time, a contact are aonthe midfoot is high compared to the young, and maximum force of the forefoot is low. As a result of analysis, in order to develop high performance footwear for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lasts and soles reflecting the elderly's gait patterns.

재가노인의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the in-home Falls of the Elderly)

  • 문영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9-260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lities related with the in-home falls of the elderly and also the factors that affect on the fails. Method: Th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January 10 to 13, 2005.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1 in-home elderly people over age 60 who resided at G city of Jeollabuk-do. Result: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with using the SPSS program. 1. The number of people who experienced fall injuries was 51.7% within three years. Most cases of falls occurred in winter (52.4%), on roads (52.9%), wearing sports shoes (56.7%), when walking (56.7%), loosing their balance (54.8%), and slipping (54.8%). 2. The factors yiel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elderly with the experience of fail injury and the group of elderly with no experience of falls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gender (p=.000), last academic career (p=.049), and number of people in the family (p=.041). 3. Among the factors related with health, the factors yield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elderly with the experience of falls and the group of elderly with no experience of fail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drinking (p=.015), dizziness (p=.000) and level of drug intakes (p=.015). 4. The elderly with the experience of fall injury as compared with the group of aged people with no experience of falls showed a higher degree of depression (p=.009). 5. From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experience of fall injur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sult for gender (p=.002) and depression (p=.018). Women as compared with men and the elderly with depression showed a higher rate of danger in falls.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fall prevention programs are needed with regar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that is, the individual danger factors should be focused on such depression and gender as being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the experience of falls.

  • PDF

교통약자의 보행 교통사고 특성과 보행 횡단요소 분석 (여수시를 사례로) (Walking Accident Characteristics and Walking Factors for Road Crossing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the Case of Yeosu)

  • 김상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439-448
    • /
    • 2016
  • 2014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은 전체인구의 12.7%로서 우리나라는 조만간에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되고 노인 등 교통약자들도 다양한 사회경제적 활동으로 일반인과 동등하게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권이 보장되어야 한다. 교통약자의 가장 기본적인 수단인 보행은 일반인과 다른 보행특성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보행 관련 시설 및 운영은 이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융복합 시대를 맞이하여 교통약자(노인)의 보행 관련 교통사고 특성을 살펴보고 여수시를 사례로 횡단보도에서 노인의 보행실태와 보행횡단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2014년 기준 교통사고 자료에 의하면, 노인 교통사고는 전체 교통사고의 9.9%로 발생하고 있으나 노인사망자수는 전체의 40.3%를 차지하고 있고 노인 사망자수의 47.4%가 차대보행자 사고로 기인한다. 또한 전체 보행자 중 노인 보행자 발생은 18.7%이나 노인 보행자 사망자 비율은 49.3%에 해당하는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노인보행자 치사율이 3.03명으로 전체보행자 치사율보다 3배정도 높게 나타난다. 교통약자(노인) 횡단 보행요소인 반응시간과 보행속도를 조사한 결과, 노인 신체능력 하위 15%-tile에 해당하는 반응시간은 4.56초와 보행속도는 초당 0.76m가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조사지점의 횡단보행 신호운영을 평가한 결과 보행안전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어 개선된 보행신호 운영이 요구되었다.

고령/비고령 보행자와 차량간의 상충위험도 측정연구 (A Study on the Risk of Conflict between Elderly or Non-elderly Pedestrians and Vehicles)

  • 장정아;이현미;최기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99-510
    • /
    • 2017
  • 2016년 우리나라 교통사고 사망자 수 4,292명 중, 노인사고 사망자 수는 1,732명에 달한다. 그럼에도, 고령 보행자의 도로횡단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보행자와 차량 간의 횡단특성을 고령 보행자 측면에서 조사 및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에서는 2개 지역, 6개 지점에 대한 횡단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로 횡단 시 고령자는 626건의 상충상황 중에서 528건(84.3%), 비고령자는 478건의 상충상황 중에서 303건(63.3%)이 위험상황으로 나타나, 고령자가 비고령자에 비하여 3.11배의 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상황에 직면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고령자의 경우 전체 626건의 상충상황 중에서 519건(82.9%)의 무단횡단이 나타났고, 비고령자의 경우 478건의 상충 상황 중에서 375건(78.5%)를 보여, 고령자가 비고령자에 비하여 1.34배의 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무단횡단 경향을 보였다. 셋째, 보행자안전간격(Pedestrian Safety Margin, PSM)을 분석결과 고령자의 PSM은 3.33초, 비고령자의 PSM은 4.04초로 고령자의 PSM은 비고령자보다 약 17.5%가 작은 경향을 보였다. 넷째, 접근하는 차량의 속도를 30km/h 이하 차량, 30-50km/h 차량, 50km/h 이상인 차량으로 나누어 보행자 안전간격의 차이를 검토해 본 결과 속도30km/h 미만 차량과 속도 30km/h 이상 50km/h 미만 차량의 PSM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속도가 50km/h 이상인 차량과의 상충은 30km/h 미만과 30km/h 이상 50km/h 미만보다 PSM 이 유의미하게 작아진다. 다섯째, 위험상황의 임계치를 PSM 2.5초 이하로 설정한 경우, 고령자가 비고령자 보다 1.59-2.53배 위험하게 횡단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고령 보행자와 비고령보행자의 횡단 행태 차이를 토대로 고령 보행자안전대책, 자율주행차량의 안전 등의 기반 연구로 활용할 수 있다.

12주 저항운동이 비만인 근감소증 노인의 근감소 및 대사증후군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2-Week Resistance Exercise on Muscle Loss and Metabolic Syndrome-Related Variables in Obese Elderly with Sarcopenia)

  • 신재숙;김현준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65-173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pply a 12-week resistance exercise program to obese elderly people with sarcopenia and verify the risk factors of sarcopenia and metabolic syndrome as well as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improving muscle function, and thus to serve as basic data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arcopenia. Methods : Forty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ere recruited and underwent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Based on the criteria of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ASM/Height2: less than 5.4 kg/m2) and body fat percentage (at least 30 % for women and 25 % for men), 18 obese elderly people with sarcopenia were finally selected after excluding 22 elderly people who did not meet the criteria. Variables related to sarcopenia, metabolic syndrome, and muscle function were measured before the 12-week resistance exercise program. Results : The 12-week resistance exercise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bone density and muscle mass and decreased the fat mass and fat percentage in obese elderly with sarcopenia. The 12-week resistance exercise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HDL-C and decreased the LDL-C and waist circumference in obese elderly people with sarcopenia (p<.05). The 12-week resistance exercise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 grip strength, static balance, and 6-minute walking in obese elderly people with sarcopenia (p<.05). Conclusion : Accordingly, resistance exercise is considered a way to reduce the exorbitant medical expenses of patients who are bedridden for long and improve the lowered quality of individuals in a super-aged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