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lderly Person

Search Result 46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도시쇠퇴 지표를 적용한 지역별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영향 분석 (Regional Traffic Accident Model of Elderly Drivers based on Urban Decline Index)

  • 박나영;박병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37-142
    • /
    • 2017
  • This study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traffic accident and urban dec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regional accident models of elderly drivers. In order to develop the count data models, 2009-2015 traffic accident data from TAAS(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and urban decline data from urban regeneration information system are collec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ll hypothesi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accident number between elderly and non-elderly drivers is rejected. Second, 8 accident models which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have been developed. Finally, common variables between elderly and non-elderly are ratio of elderly people, elderly person living alone/1,000 persons and wholesale/retail employments/1,000 persons. This study could be expected to give many implications to making regional accident reduction policy.

유료시설 거주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Residents at Paid Facilities)

  • 서병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4권4호
    • /
    • pp.129-14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minate the ways to im-prov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ho chose or happened to live at paid facilities by examining some of factors such as individual family social support and facility related el-ements that would influence their life satisfaction. The interview outcomes came out in three main discussion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ting elderly appeared to be that most of them were ver7y elderly relatively highly educated females and religions and the rate of being ill was high. And a half of them considered themselves as heal- thy people and the other half as unhealthy. Secondly in view of statisticsal results the level of their life satisfaction was influnced by their individual family and facillity related factors. As far as their individual related factor are concerned the level of one party's life satisfaction was relative-ely higher than that of other's when the person is female had religio presumed oneself as in healthy and good physical condition. And when participating member keeps good relation-ship with his or her own children the level of the person's life satisfaction was only slightly higher than other elderly group who did not have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There were no other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on the level of their life satisfaction related to the social support factors between those two group. Thirdly the level of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was influe- nced in the order of folldwing factors: (1) the quality of facility living condition 2) the commitment of ownership of the organization (3) the elderly residents' own education level (4) the elderly's own subjectivel health condition and (5) the sex of the individuals.

  • PDF

한국노인을 대상으로 한 영양소 섭취의 주요급원식품과 주요변이식품들을 이용한 간이식품섭취빈도조사지의 개발 (Development of a Simpl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Using the Contribution of Specific Foods to Absolute Intake and Between-Person Variation of Nutrient Consumption for the Korean Elderly)

  • 오세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3권4호
    • /
    • pp.429-437
    • /
    • 2000
  • Contributions of specific foods to absolute intake and between-person variance in 13 nutrients were examined to develop a short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for the Korean elderly using dietary data collected by a semiquantitative FFQ with 96 food items. The contributions of specific foods to 90% absolute nutrient intake were measured by assessing their percentage to the total consumption of a nutrient by our samples(n=98). To assess the contribution of the foods to the between-person variance in intake of each specific nutr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performed. Cumulative R2 served as the measure of contribution to variation in intake. The most important food source of absolute intake was rice for energy and protein. Important foods of between person variance contribution include bread for energy and pork for protein. Important foods of absolute and variance contribution of nutrient intake were similar for fat(noodles including jajangmyun and kalguksu), calcium(anchovy and milk) and vitamin A (carrot). The number of foods necessary to account for the variation in nutrient intake among older people in Korea differ considerably by nutrient: 18 - 43 and 8-26 foods were accounted for the respective 90 and 80% of absolute intake depending on nutrients. Carbohydrates and vitamin A and C had relatively a few major sources, thus may be assessed well by a small number of foods. Conversely, iron, potassium and B vitamins appear to need longer lists of foods. Fewer numbeer (6 - 12 and 4 - 9) of foods were required for the corresponding percentages of between-person variation for all nutrients. Depending on nutrients, 0.980-0.995 and 0.924-0.987 were respec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nutrient intakes measured by 96 food items with those by lists of foods for 90% and 80% of absolute intake contribu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 incomplete food list on the basis of its contribution to absolute and between person variation intakes may still be effective in discriminating among individu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ful in the design and use of dietary questionnaire.

  • PDF

직업활동 참여노인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업무 스트레스 및 만족도 :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 (Person-Environment Fit, Work Stress and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under Participation in Job Activities :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 서경조;조성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48-264
    • /
    • 2013
  • 본 연구는 직업활동 참여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개인-환경 적합성, 업무 스트레스 및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개인-환경 적합성(개인-직무, 조직, 동료 적합성)과 업무 스트레스 및 만족도의 영향관계와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 지역에서 택시운전기사로 직업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남성을 대상으로 2013년 2월 15일에서 3월 20일까지 실시하였고, 총 35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개인-환경 적합성, 업무 스트레스 및 만족도에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개인-환경 적합성은 업무 스트레스에는 부(-)적 영향을 준데 반해, 업무 만족도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자아효능감은 개인-조직 적합성과 업무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A Study on the Welfare of Single-Person Households by Creating an Aging-Friendly City

  • Lee, Duk-Na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127-132
    • /
    • 2021
  • 세계보건기구가 2007년도에 고령친화도시 조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이후에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서 각 도시마다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현재 고령친화도시로 인증 받은 자치단체와 인증을 준비하는 자치단체에 대해서 노인 1인 가구의 복지수준의 증진방안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제시를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고령친화도시와 노인 1인 가구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은 고령친화도시 조성의 8대 영역을 반영하는 1인 가구 노인의 주거사항, 경제사항, 건강사항, 여가 및 사회참여 사항, 등 네 가지 차원에서 정책적 반영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1인 가구 노인들의 미실태조사에 대한 한계점과 설문조사를 통한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노인의 연령규범과 사회활동 및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죽음준비행동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Age Norms, Social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Death Preparation Activities)

  • 박선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1호
    • /
    • pp.1-13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의 연령규범과 사회활동, 그리고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노인의 죽음준비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중 배우자와 자녀가 있는 노인 6,28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연령규범이 긍정적일수록 노인의 사회활동이 유의하게 상승한다. 둘째, 노인의 사회활동이 늘어나면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상승한다. 셋째, 노인의 연령규범이 긍정적일수록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유의하게 상승한다. 넷째, 노인의 연령규범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활동의 유의한 정(+)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노인의 연령규범, 사회활동, 그리고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인과관계에서 죽음준비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연령규범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죽음준비를 하지 않는 노인이 죽음준비를 한 노인에 비해 그 영향력이 유의한 차이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실천방안을 제언하였다.

노인의 세대유형에 따른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Households Type of the Elderly)

  • 최령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4
    • /
    • 2024
  • 목적: 본 연구는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9,820명을 대상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SPSS 27.0을 이용하여 건강정보이해능력 및 일반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차분석,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노인 1인 가구는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쉽다고 인식하는 경우, 노인 다인 가구는 의료진의 구두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쉽다고 인식하는 경우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가구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건강정보이해능력 교육프로그램과 보건의료정책이 필요하다.

노인 요양시설에 대한 의식 및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 Preferences about the Elderly Care Facilities)

  • 신희식;추연철;윤충열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1-58
    • /
    • 2009
  • The senior adults which are a central manpower of economic activity of the nation decreased and the elderly sustenance allowance already went over 10%. And the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f the woman which are the supporter of the unpaid the elderly within the family is increasing. This big change is expected to support awareness. To respond to these changes, the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system for elderly with the job of retirement lifestyles of the elderly, a figure that is needed for the ceremony. The elderly medical treatment facility that began in 2008 the elderly long-term medical treatment law enforcement because of the demand is expected to grow. It is forecast with the fact that the data which is fundamental is most important will become that old person medical treatment facility of the middle-aged layer which is a central role of the protector who decides the facility use of the preliminary consumer of the elderly care facility and currently the very the elderly and manhood ceremony and the preference to plan of the elderly welfare fac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fundamental data about the elderly care facility for comparative analysis the awareness & perfernces of the elderly care facilities of the senior adults & the elderly.

  • PDF

17개 시·도 노인복지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lderly Welfare Budget among 17 metropolises and provinces in Korea Using Fs/QCA)

  • 장은하;홍석호;김헌진
    • 한국노년학
    • /
    • 제41권1호
    • /
    • pp.127-147
    • /
    • 2021
  • 노인복지증진을 위한 지방정부의 안정적인 재원확보 및 효율적 재정운영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17개 시·도를 대상으로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 방법론(Fs/QCA)을 적용하여 노인복지예산 결정요인의 원인조건을 탐색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원인변수를 사회경제적 요인(고령인구비율, 노인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 재정적 요인(재정자주도), 정치행정적 요인(노인복지조례 수)으로 선정하였고, 결과변수는 노인 1인당 복지예산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복지예산을 결정하는 원인변수의 조합은 세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첫째, 고령인구비율이 낮으며, 노인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이 높고, 노인복지조례 수가 적은 경우였다. 둘째, 노인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이 낮고, 재정자주도가 낮으며, 노인복지 조례 수가 많은 경우였다. 셋째, 고령인구비율이 높고, 노인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이 높으며, 재정자주도가 낮은 요인이 결합되어 노인복지예산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방정부에서는 사회경제적 요인, 재정적 요인, 정치행정적 요인 등을 고려하여 실질적인 노인복지예산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