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Households Type of the Elderly

노인의 세대유형에 따른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 Ryoung Choi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Dongshin University)
  • 최령 (동신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 Received : 2024.03.09
  • Accepted : 2024.04.22
  • Published : 2024.05.31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information literacy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households type of the elderly targeting 9,820 people aged 65 or older using data from the 2021 Community Health Survey. Methods: This study used SPSS 27.0 to conduc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subjects' health literacy and life satisfaction. Results: Single-person households had higher life satisfaction when they perceived written health literacy to be easy to understand, and multi-person households had higher life satisfaction when they perceived health information explained verbally by medical staff to be easy to understand. Conclusions: There is a need to develop customized education programs and elderly health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ouseholds type.

목적: 본 연구는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9,820명을 대상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SPSS 27.0을 이용하여 건강정보이해능력 및 일반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차분석,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노인 1인 가구는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쉽다고 인식하는 경우, 노인 다인 가구는 의료진의 구두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쉽다고 인식하는 경우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가구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건강정보이해능력 교육프로그램과 보건의료정책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명순, 노기영, 장지혜. (2013), 고혈압 환자의 건강 문해력과 질환관련 지식 및 치료지시 이행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7(1), 190-202. 
  2. 김수희, 정종화, 송진영. (2018),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공식적.비공식적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 노인복지연구, 73(3), 167-191. 
  3. 김연주. (2018). 노인 일자리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9(3), 691- 701. 
  4. 김영선, 박병현, 이화윤. (2017),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앤더슨 행동모형 적용. 노인복지연구, 19(4), 558-870. 
  5. 김정은. (2011), 건강정보 이해능력수준과 영향요인에 대한 고찰: 대학병원 외래 방문객을 대상으로. 임상간호연구, 17(1), 40-47. 
  6. 류지연. (2022), 노인단독가구의 주거 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을 매개로. 노인복지연구, 77(4). 11-10. 
  7. 박윤형. (2016), 제9차 건강증진 국제회의와 상하이 선언. 보건행정학회지. 26(4), 43-245. 
  8. 박현주, 황선경. (2014),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언어적,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 글로벌 건강과 간호. 4(2), 49-58. 
  9. 보건복지부. (2022),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서울: 한국건강증진개발원.
  10. 송시연, 전미애. (2023), 노년기 소득과 지출의 변화에 대한 노인1인가구 및 노인부부가구의 비교: 2010년과 2020년 차이를 중심으로. 노년교육연구, 9(2), 20-45. 
  11. 송지현, 신수진. (2020), 인터넷을 이용하는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및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8(1), 321-332. 
  12. 양인숙. (2021),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문해력과 건강상태 간의 관계. 융합정보논문지. 11(1), 62-70. 
  13. 이명숙. (2017), 농촌 지역 심뇌혈관질환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행위. 성인간호학회지, 29(3), 256-265. 
  14. 조지용, 이종하. (2013), 공적연금 수급 여부에 따른 노년기 세대관계 잠재 유형 분류 및 영향 요인 분석, 17(4), 189-213. 
  15. 최령, 황병덕. (2020), 공적연금소득을 통한 가구 형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4(1), 123-136. 
  16. 통계청. 2022. 장래인구추계시도편 2020-2050년 보도자료. 대전: 통계청.
  17. Andrus MR, Roth MT. (2002), Health literacy: A review. Pharmacotherapy, 22(3), 282-302. 
  18. Baker DW, Wolf MS, Feinglass J, Thompson JA. (2008). Health literacy, cognitive abilities, and mortality among elderly person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3(6):723-726. 
  19. Elisabeth Stomer U, Klopstad Wahl A, Gunnar Goransson L, Hjorthaug Urstad H. (2020), Health Literacy in Kidney Disease: Associations with Quality of Life and Adherence, Journal of Renal Care, 46(2), 85-94. 
  20. Kickbusch I, Pelikan J, Apfel F, Tsouros A. (2013), Health literacy: The solid facts. Copenhagen,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21. Martins NFF, Abreu DPG, da Silva BT, Semedo DSdRC, Pelzer MT, Ienczak FS. (2017).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adherence to the medication in older adults: integrative review. Revista Brasileira de Enfermagem, 70(4), 868-874. 
  22. Nutbeam D. (1998), Health promotion glossary.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3(4), 349-364. 
  23. Nutbeam D. (2000). Health literacy as a public health goal: A challenge for contemporary health educa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to the 21st century.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5(3), 259-267. 
  24. Nutbeam D. (2008). The evolving concept of health literacy. Social Science & Medicine, 67(12), 2072-2078. 
  25. Nutbeam D. (2017). Discussion paper on promoting, measuring and implementing health literacy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in noncommunicable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Research Gate, 2017(February), 1-29. 
  26. Parker RM, Baker DW, Williams MV, Nurss JR. (1995). The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 A new instrument for measuring patients' literacy skill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0(10), 537-541.
  27. Sorensen K. et al., (2015). Health literacy in Europe: Comparative results of the European Health Literacy Survey(HLS-EU).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5(6), 1053-1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