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jection fraction%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24초

게이트심장혈액풀스캔과 게이트심장혈액풀 SPECT로 측정한 심박출계수의 심초음파와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the Ejection Fraction Between Gated Blood Pool, Gated Blood Pool SPECT and Echocardiography)

  • 정지욱;이효영;윤종준;이화진;이무석;송현석;박세윤;김재환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150-154
    • /
    • 2010
  • 심장기능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되는 심박출계수의 측정은 반복검사가 용이한 심초음파가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다. 현재 게이트심장혈액풀스캔의 검사 빈도가 낮고 게이트심장혈액풀 SPECT를 이용한 좌심실 심박출계수의 결과는 게이트심장혈액풀스캔과 심초음파의 결과와 비교적 잘 맞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임상적으로는 잘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게이트심장혈액풀스캔 및 SPECT에서의 심박출계수를 심초음파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2007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심초음파 검사 후 게이트심장혈액풀스캔과 SPECT를 함께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 가운데 남자가 23명이었고 여자는 11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2.6{\pm}27.2$세였다. 환자에게 생리식염수로 희석한 pyrophosphate 1 cc를 먼저 정맥주사하고 15분 후 20 mCi의 $^{99m}{TcO_4}^-$를 정맥주사 하였다. 10분 후 안정 상태에서 심전도를 부착한 뒤 planar와 SPECT를 연속하여 촬영하고 ADAC Laboratories, Ver. 4.20 software를 이용하여 영상을 분석하고 각각의 심박출계수를 측정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후 사후검정(Tukey test)을 통해 평균값을 비교하고 서로 간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SPSS Ver 17.0). 심박출계수의 평균값과 표준편차값은 planar에서 $56.3{\pm}13.9$ (%), SPECT에서 $60.4{\pm}16.0$ (%), 심초음파에서는 $59.1{\pm}14.4$ (%)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p=0.486) 이에 대한 사후 검정은 planar-심초음파 p=0.697, SPECT-심초음파 p=0.928, planar-SPECT p=0.46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관관계에서는 planar-심초음파 r=0.801, SPECT-심초음파 r=0.810, planar-SPECT r=0.873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게이트혈액풀스캔 및 SPECT와 심초음파를 이용하여 구한 좌심실의 심박출계수는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평균값에서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현재 게이트혈액풀스캔은 시행건수가 줄어들고 스캔의 정확성이나 재현성에 대한 문제는 남아있으며 SPECT의 경우 임상적으로 잘 적용되지 못하고 있으나 다양한 심기능 지표들을 얻을 수 있고 혈액풀스캔에서의 심박출계수와 좋은 일치율을 보이므로 심초음파를 대체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법이라 생각된다.

  • PDF

좌심실기능에 따른 관상동맥우회술의 위험인자 (Risk Factor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ccording to Ventricular Function)

  • 이헌재;현성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9호
    • /
    • pp.885-890
    • /
    • 1997
  • .저자들은 1994년 7월부터 1996년 6월까지 관상동맥우회 술을 시행한 환자 103명을 심실구축력 40%를 기준 으로 심실기능저하군 24명과 심실기능정상군 79명으로 분류하여 환자의 술전,수술변수 18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환자의 특성과 수술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술전 변수중 심비대(p=0.0012), 혈청 크레아티닌 이상(p=0.0166), IABP 실시(p=0.0096)는 기능저하군이 기능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 2. 수술변수중 기능저하군은 수술적응증에 있어서 심근경색후 협심증의 빈도가 많았고(p=0.00003), 내흉동맥 의 사용은 유의하게 적었다(p=0.00416). 3. 조기사망률은 기능저하군이 기능정상군보다 약간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기능저하군 8.3%, 기능정상군 5.1%, p=0.5492). 4. 합병증발생률은 기능저하군 50%(12/24), 기능정상군 33%(79/25)로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007). 5. 심실기능정상군에서는 연령(고령)(p=0.041)이 수술후 조기사망에 유의한 위험인자로, 심실기능저하군에서 는 연령(p=0.018)외에도 술전 IAaP 실시(p=0.0036), 고콜레스테롤혈증(p=0.00 7), 응급수술(p=0.0036)이 유의 한 위험인자로 작용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심실기능이 저하된 관상동맥질환 환자는 심실기능이 정상인 환자에 비해 많은 술후 조기사망의 위험인자를 갖고있으나.술후 조기사망률과 합병증 발생률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음으로써 심실기능이 저하된 환자에 있어서도 증상의 개선과 장기생존률의 향상을 얻기 위하여 좀더 적극적인 관상동맥우회 술의 실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K-평균 클러스터링과 그래프 탐색을 통한 심장 자기공명영상의 좌심실 자동분할 알고리즘 (Automatic Left Ventricle Segmentation Algorithm using K-mean Clustering and Graph Searching on Cardiac MRI)

  • 조현우;이해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8B권2호
    • /
    • pp.57-66
    • /
    • 2011
  • 심장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심장 기능을 분석하고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기적인 검진에서 심장 기능은 심장을 촬영한 후에 관측자가 이를 수작업을 통하여 처리하여 혈류량과 심박구출률 등을 분석함으로서 이루어지나, 시간도 오래 걸리며 관측자에 따른 변이성이 문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심장 단축 자기공명영상에서 좌심실 영역을 분할하는 자동화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코일 위치에 따른 왜곡을 보정하고, K-평균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좌심실 내부를 분할한다. 영상의 왜곡 및 잡음에 의하여 발생하는 분할 오류는 그래프 탐색 기법을 적용하여 수정하였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38명의 지원자 그룹에 대하여 혈류량과 심박구출률을 계산하였고, 전문가에 의한 수동윤곽검출 결과와 GE MASS 소프트웨어와 비교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제안한 알고리즘의 수동윤곽검출과 혈류량의 차이는 평균적으로 이완기에 6.2mL${\pm}$5.6 및 수축기에 2.9mL${\pm}$3.0, 심박구출률의 차이는 2.1%${\pm}$1.5로 높은 정확성을 보였다. 특히 제안한 알고리즘은 기존 알고리즘에서 발생하던 사용자 간섭률을 최소화하여 자동화 성능을 향상하였다.

관상동맥우회로 이식술 후 이환과 사망의 위험요인 (Risk Factors of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박창률;이응배;전상훈;장봉현;이종태;김규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2호
    • /
    • pp.1159-1164
    • /
    • 1998
  • 배경: 수술수기와 심근보호법의 발달로 인하여 최근 관상동맥우회로 이식술의 수술성적이 향상되고 있지만 술후 사망과 이환에 직면하고 있는 일부 환자들은 점점 증가하고 있어 수술후 이환과 사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관상동맥우회로 이식술을 받은 총 137명을 대상으로 술전 위험요인과 술후 이환 및 사망(이하 이환)과의 관계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수술전 위험요인으로는 나이, 성별, 술전심근경색, 응급수술, 좌심실박출계수, 비만 그리고 3혈관 질환 등 7개의 변수를 선택하였으며 수술후 이환은 부정맥, 상처감염, 뇌손상, 술후입원기간의 장기화, 폐렴, 급성신부전증, 인공호흡기의 장기간 사용 그리고 수술사망 등으로 하고 이중 하나만 발생하여도 이환이 있다고 간주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평균 나이는 56.7세였고, 27세부터 74세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전체 환자의 수술사망률은 6.6%였고 이중 계획수술은 3.9%(5/128), 응급 또는 긴급수술은 44.4%(4/9)의 사망률을 보였다. 65세 이상의 환자에서 이환율은 65세 미만의 환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성별에 의한 이환율의 차이는 없었으나 수술 사망률은 여자(5/41, 12.19%)에게서 남자(4/96, 4.17%)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응급수술의 이환율은 100%로 계획수술의 환자에서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술전 좌심실 박출계수가 50% 미만인 환자에서 50% 이상인 환자보다 사망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결론적으로 관상동맥우회로 이식술 후 이환의 위험요인은 65세 이상의 고령과 응급 또는 긴급수술이었고 수술사망의 위험요인은 50% 미만의 술전 좌심실 박출계수와 응급 또는 긴급수술이었다.

  • PDF

64 절편 MDCT를 이용한 심장CT에서 측정된 좌심실 구혈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ffecting Factors on Left Ventricle Ejection Fraction Measured using 64-slice MDCT)

  • 강영한;김경욱;조광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50-257
    • /
    • 2010
  • 64 절편 MDCT를 이용하여 측정된 좌심실 구혈률에 성별과 연령, 체질량지수, 혈압, 심박동수 등의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164명(남자 84명, 여자 80명)을 대상으로 혈압, 체질량지수, 심박동수를 측정하였고, 심장 CT 검사를 실시하여 좌심실 구혈률을 구하였다. 체질량지수 25kg/$m^2$ 미만 군에서 좌심실 구혈률은 52.00${\pm}$118.95%, 25 kg/$m^2$이상 군에서 59.50${\pm}$16.05%였다(p<0.05). 정상 혈압군에서 좌심실 구혈률이 57.26${\pm}$17.84%, 고혈압군에서는 49.95${\pm}$17.63%로 고혈압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분당 심박동수 60회 미만 군에서는 60.76${\pm}$17.26%, 60-70회군에서 54.14${\pm}$16.56%, 70회 이상 군에서 50.83${\pm}$20.56%였다(p<0.05). 좌심실 구혈률과 연령(r=-0.283), 심박동수(r=-0.231)는 각각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체질량지수(r=0.228)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좌심실 구혈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심박동수 등이었다. 결론적으로 연령, 체질량지수와 혈압, 심박동수에 따라서 구혈률이 차이가 나므로 이를 확인하여 평가하여야 한다.

게이트 Tl-201 관류 SPECT와 Cedar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측정한 좌심실 구혈률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Determined by Gated Tl-201 Perfusion SPECT and Quantitative Software)

  • 현인영;김성은;서정기;홍의수;권준;박금수;이우형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2-227
    • /
    • 2000
  • 목적: 게이트 Tl-201 관류 SPECT와 Cedars 소프트웨어로 구혈률을 측정하고 게이트 심장 혈액풀 스캔으로 얻은 구혈률과 비교하여 상관과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18명을 대상으로 게이트 Tl-201 관류 SPECT와 게이트 심장 혈액풀 스캔을 촬영하였다. 게이트 관류 SPECT를 재구성하고 Cedars 소프트웨어로 구혈률을 측정하였다. 게이트 Tl-201 관류 SPECT와 게이트 심장 혈액풀 스캔으로 얻은 구혈률의 상관을 분석하고 Bland Altman 도표를 그려 일시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게이트 심장 혈액풀 스캔($43%{\pm}14%$)보다 게이트 Tl-201 관류 SPECT로 측정한 구혈률($40%{\pm}14%$)이 유의하게 작았고(p<0.05), 상관은 좋았다(r=0.94). Bland Altman 도해에서 두 방법의 일치도에 대한 95% 신뢰도를 나타내는 2표준편차에 상당하는 범위는 ${\pm}9.8%$로 작지 않았다. 결론: 게이트 Tl-201 관류 SPECT와 심장 혈액풀 스캔으로 측정한 구혈률의 상관은 좋았으나 일치도에 대한 넓은 오차 범위 때문에 구혈률 측정에 두 검사 방법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는 없었다.

  • PDF

The Difference of Left Atrial Volume Index : Can It Predict the Occurrence of Atrial Fibrillation after Radiofrequency Ablation of Atrial Flutter?

  • Kim, Ung;Kim, Young-Jo;Kang, Sang-Wook;Song, In-Wook;Jo, Jung-Hwan;Lee, Sang-Hee;Hong, Geu-Ru;Park, Jong-Seon;Shin, Dong-Gu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197-205
    • /
    • 2007
  • Background : The occurrence of atrial fibrillation after ablation of atrial flutter is clinically important. We investigated variables predicting this evolution in ablated patients without a previous atrial fibrillation history. Materials and Methods : Thirty-six patients (Male=28) who were diagnosed as atrial flutter without previous atrial fibrillation histor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Group 1 (n=11) was defined as those who developed atrial fibrillation after atrial flutter ablation during 1 year follow-up. Group 2 (n=25) was defined as those who has not occurred atrial fibrillation during same follow-up term. Echocardiogram was performed to all patients. We measured left atrial size, left ventricle end diastolic and systolic dimension, ejection fraction and left atrial volume index before and after ablation of atrial flutter. The differences of each variabl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 The preablation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preLVEF) and postablation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postLVEF) are $54{\pm}14%$, $56{\pm}13%$ in group 1 and $47{\pm}16%$, $52{\pm}13%$ in group 2.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two groups a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2.2{\pm}1.5$ in group 1 vs $5.4{\pm}9.8$ in group 2, p=0.53). The preablation left atrial size (preLA) and postablation left atrial size (postLA) are $40{\pm}4mm$, $41{\pm}4mm$ in group1 and $44{\pm}8mm$, $41{\pm}4mm$ in group 2. The atrial sizes of both groups were increased but, the differences of left atrial size between two groups before and after flutter ablation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0.6{\pm}0.9mm$ in group 1 vs $-3.8{\pm}7.4mm$ in group 2, p=0.149). The left atrial volume index before flutter abl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group 1 than group 2 ($32{\pm}10mm^3/m^2$, $35{\pm}10mm^3/m^2$ in group 1 and $32{\pm}10mm^3/m^2$, $29{\pm}8mm^3/m^2$ in group 2, p<0.05). Conclusion : The difference between left atrial volume index before and after atrial flutter ablation is the robust predictor of occurrence of atrial fibrillation after atrial flutter ablation without previous atrial fibrillation.

  • PDF

갑상선기능항진증(甲狀線機能亢進症)에서 좌심실용적(左心室容積) 및 기능변화(機能變化)에 관한 연구(硏究) (Effects of Thyroid Hormone on Left Ventricular Volume and Function in Hyperthyroidism)

  • 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7
    • /
    • 198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yroid hormone on the left ventricular(LV) volume arid function in man with untreated hyperthyroidism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uccessful therapy for thyrotoxicosis on the ventricular pathophysiology. In the present study, equilibrium radionuclide cardiac angiography was performed and LV volume index, ejection phase indexes of LV performance, serum thyroid hormone levels and other hemodynamic parameters were measured in 28 normal subjects and 39 patients with hyperthyroidism before treatment and again every 4 weeks for the first 2 months after the initiation of effective therap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the untreated hyperthyroid state heart rate, blood volume, cardiac index and stroke volume index($97{\pm}14$ beats/min, $73.5{\pm}11.8ml/kg,\;6.9{\pm}1.4\;l/min/m^2$ and $77.6{\pm}13.8ml/m^2$, respectively)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in normal control($74{\pm}12beats/min$, $66.6{\pm}14.8ml/kg,\;3.8{\pm}1.2\;l/min/m^2$ and $56.6{\pm}13.2ml/m^2$ respectively). $(Mean{\pm}SD)$ 2)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LV end-diastolic volume index in patients with hyperthyroidism ($30.5{\pm}7.5$ for hyperthyroid group compared to a normal control of $22.2{\pm}6.5$; p<0.001), whereas end-systolic volume index remained unchanged $9.6{\pm}3.6\;and\;8.8{\pm}3.3$ respectively).3) In patients with hyperthyroidism, LV ejection fraction was $70.0{\pm}5.6%$, fractional shortening $32.9{\pm}5.1%$, mean velocity of circumferential fiber shortening(mean Vcf) $1.34{\pm}0.31$ circ/sec and maximum ejection rate $3.47{\pm}0.80$. All the ejection phase indexe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normal control($65.2{\pm}5.7%,\;28.8{\pm}3.2%,\;0.88{\pm}0.37$ circ/see and $2.27{\pm}0.50$, respectively; p<0.001). 4) Effective therapy produced significant decrease in all the values of serum thyroid hormone concentrations(p<0.00l), hemodynamic parameters(p<0.001), end-diastolic volume index(p<0.01) and ejection phase indexes of LV contractility in patients with hyperthyroidism and after one to two months, when the patients were euthyroid, these measurements were in the range of normal. 5) A significant linear correlation between mean Vcf and serum thyroxine level(r=0.63, p<0.001) as well as between mean Vcf and serum triiodothyronine level(r=0.62, p<0.001) was found. The lesser degree of correlation was also noted between other ejection phase indexes and serum thyroid hormone concentra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ajor effects of excess thyroid hormone on the LV in human beings with hyperthyroidism are an enhancement of LV function and an increase in LV enddiastolic volume and that these effects cause predictable reversible cardiac alteration which are changed dramatically and immediately after effective therap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