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plant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18초

Biological roles of NAC transcription factors in the regulation of biotic and abiotic stress responses in solanaceous crops

  • Tweneboah, Solomon;Oh, Sang-Keu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11
    • /
    • 2017
  • Evolutionary studies conducted on NAC (NAM, ATAF1&2, and CUC2) genes for all major groups of land plants, indicate the presence of the NAC subfamilies, even in the early land plants. The varied roles played by NAC proteins i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range from the formation of shoot apical meristem, floral organ development, reproduction, lateral shoot development, and defense responses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Considering the value and importance of solanaceous crops, the study of NAC proteins in these plants needs to be intensified. This will help to identify and functionally characterize their promoters, which will subsequently aid in engineering plants with improved performance under stressful conditions. In this review, the functionally characterized NAC transcription factors specific to tomato, potato, tobacco, chili pepper and eggplant (aubergine) are summarized, clearly indicating their biological functions in the defense mechanism of the plants, against biotic and abiotic stresses.

Bacillus subtilis YB-70 as a Biocontrol Agent of Fusarium solani causing Plant Root-Rot

  • KIM, YONG-SU;HO-SEONG LIM;SANG-DAL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68-74
    • /
    • 1994
  • A bacterial strain YB-70 which has powerful biocontrol activity against Fusarium solani causing plant root-rot resulting in considerable losses of many economical crops was isolated and selected from over 500 isolates from a ginseng rhizosphere in suppressive soil, and identified as a strain of Bacillus subtilis. In several biochemical and in vitro antibiosis tests on F. solani with culture filterates from B. subtilis YB-70, our data strongly indicated metabolites which mediated inhibition of the fungal growth were presumed to be heat-stable, micromolecular, and ethyl alcohol solutable antifungal substances. Suppression of root-rot by B. subtilis YB-70 was demonstrated in pot trials with eggplant (Solanum melongena L) seedlings. Treatment of the seedling with the bacterial suspension (1.7~1.9$\times$$10^5$ CFU/g) in F. solani-infested soil significantly reduced disease incidences by 68 to 76% after 25 to 30 days. The results supported that B. subtilis YB-70 have excellent potentials as a biocontrol agent.

  • PDF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에 의한 고추 마디 무름병 (Bacterial Node Soft Rot of Pepper (Capsicum annuum L.) Caused by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 정기채;임진우;김승한;임양숙;김종완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41-743
    • /
    • 1998
  • A bacterial disease of pepper (Capsicum annuum L.) that rooted the stem nodes to black was found in pepper plants which cultivated in plastic house at Chungdo, Kyungpook, Korea in March, 1998. Bacterial isolates derived from the diseased peppers were pathogenic to potato, eggplant and Chinese cabbage but, was not pathogenic to chrysanthemum by artificial inoculation. On the basis of bacter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test on host plants, the causal organism of the node soft rot of pepper is identified as 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and the name of disease is proposed as bacterial node soft rot of pepper.

  • PDF

우리나라 담배 세균성마름병균(입고병균 : Pseudomonas solanacearum)의 Race와 Biochemical Type (Classification of Pseudomonas solanacearum isolates from tobacco plants in Korea)

  • 이영근;김정화;강서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23-127
    • /
    • 1982
  • [ $1980\~1981$ ]년 사이에 전국의 14개 주요 담배 재배지역으로부터 채집, 분리한 담배 세균성마름병균(Pseudomonas solanacearum)의 가지, 토마토, 고추, 감자 및 담배에 대한 병원성반응을 조사한 결과, race 1 및 race 2에 속하였으며 또한 이 균주들의 생리적 특성 15종을 조사한 결과 biochemical type 1과 4로 판명되었다.

  • PDF

시설 재배 가지에서 규소 시비 수준에 따른 점박이응애의 생물적 특성 (Bionomics of Tetranychus urticae Koch on Eggplants under Various Silicate Regimes in Controlled Environment)

  • 김주;이상구;김정만;김태흥;김지수;박은석;정종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27-235
    • /
    • 2008
  • 규소를 0, 1.7, 5.1 mM 수준으로 재배한 가지 잎을 먹이로 점박이응애의 발육을 조사하였다. 규소 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식물체내 N, P, K, Ca, Mg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Si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규소 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칼로리, 조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C 등은 감소하였고, 회분, 섬유소, 설탕 등은 증가하였다. 수량과 엽록소는 규소 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잎 두께는 두꺼워졌다. 식이선호성은 0 mM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1.7 mM처리에서 낮았으며, 산란선호성은 규소함량이 증가할수록 줄어들었다. 발육율에 있어서는 암컷과 수컷 모두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암컷 성충기간은 규소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짧아졌고, 수컷은 0 mM처리에서 5.7일로 가장 길고, 1.7 mM처리에서 짧았다. 산란기간도 규소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짧아졌다. 산란 수는 1.7 mM처리에서 86.3개로 가장 많았고, 일일 산란수는 0 mM처리에서 7.7개로 가장 적었다. 부화율은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고, 성비는 0 mM처리에서 0.75로 가장 높았다. $R_o$와 T는 규소수준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r_m$$\lambda$는 5.1 mM이 가장 낮았으며, DT는 5.1 mM이 가장 높은 1.83일, 1.7 mM이 가장 낮은 1.70일이었다. 식물체내 규소함량은 점박이응애의 발육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점박이응애의 기피현상이 있었고, 엽내 영양물질의 감소로 점박이응애의 증가율이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시설원예(施設園藝) 작물(作物)에서 토착(土着) VA균근균(菌根菌)에 관한 연구(硏究) -I. 감염양상(感染樣相)과 밀도(密度) (Studies on the Indigenous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VAMF) in Horticultural Crops Grown Under Greenhouse -I. Spore Density and Root Colonization of the Indigenous VAMF in Soil of Some Horticultural Crops)

  • 손보균;허상만;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25-233
    • /
    • 1991
  • 시설원예(施設園藝) 재배(栽培)가 집단화(集團化)되어 있는 순천시(順天市), 승주(昇州), 보성지역(寶性地域)에 분포(分布)하는 시설(施設) 원예지(園藝地)의 오이, 고추, 상추, 토마토 및 가지 등의 근권토양(根圈土壤)과 뿌리를 채취(採取)하여 근권(根圈)중의 포자밀도(胞子密度)와 기주작물(寄主作物) 뿌리의 감염양상(感染樣相)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은 우리나라 밭 토양(土壤)의 평균치(平均値)를 상회(上廻)하고 있으며,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EC) 조사결과(調査結果)는 0.73~1.00mS/cm수준(水準)을 보이고, 수도작(水稻作) 윤환재배(輪換栽培)가 불가능(不可能)한 지역(地域)의 포장(圃場)은 1.34~1.75mS/cm범위(範圍)였다. VA균근균(菌根菌)의 포자밀도(胞子密度)는 건토(乾土) 1g당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에서 최저(最低) 4.8개에서 최고(最高) 20.2개의 범위(範圍)를 보이고, 노지(露地) 재배지(栽培地)보다 시설재배(施設栽培) 토양(土壤)의 포자밀도(胞子密度)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토양산도(土壤酸度)가 비교적(比較的) 낮은 지역(地域)(pH 4.9부근)은 Acaulospora속(屬)과 Gigaspora속(屬)이 우점(優占)하였고 중성(中性)에 가까운 곳(pH 6.3 부근)은 Glomus속(屬)이 우점(優占)하고 있었다. 조사(調査)된 작물(作物)들의 감염율(感染率)은 38%~70% 범위(範圍)를 보였고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의 가지와 고추에서 가장 높은 70.0%와 66.0%를 각각 나타냈다. 기주식물(寄主植物)들의 근권토양(根圈土壤)의 포자(胞子) 크기별 분포(分布)는 상추, 오이 및 토마토의 경우 $75{\mu}m{\sim}106{\mu}m$범위(範圍)가 가장 많았고, 고추와 가지에서는 $75{\mu}m{\sim}250{\mu}m$ 범위(範圍)가 많았다.

  • PDF

온실의 구조설계용 작물하중 산정 (Calculation of Crop Loads for Structural Design of Greenhouse)

  • 나욱호;이종원;라쉬드아드난;곽철순;이시영;윤용철;이현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1-30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온실의 구조설계용 작물하중을 산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국의 온실구조설계용 작물하중 기준들을 비교분석하고 여러 가지 온실작물들에 대하여 작물하중을 직접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설계 작물하중에 대한 각국의 기준들을 비교분석한 결과 나라들 마다 서로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우리나라 기준들은 외국의 기준들을 그대로 인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작물하중 기준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최대 주당 작물하중이 토마토는 두 가지 온실에서 각각 $3.3kgf{\cdot}plant^{-1}$$3.9kgf{\cdot}plant^{-1}$로 나타났고, 오이는 $0.75kgf{\cdot}plant^{-1}$, 가지는 $1.9kgf{\cdot}plant^{-1}$, 딸기는 재배베드를 포함하여 $2.1kgf{\cdot}plant^{-1}$으로 나타났다. 단위면적당 작물하중은 토마토가 평균 $8.5kgf{\cdot}m^{-2}$으로 나타났고, 오이와 가지는 각각 $2.1kgf{\cdot}m^{-2}$$2.4kgf{\cdot}m^{-2}$으로 토마토의 하중보다 훨씬 낮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온실설계기준에 제시된 작물하중은 토마토와 오이의 경우 $15kgf{\cdot}m^{-2}$으로 본 연구에서 측정된 값보다 훨씬 높았다. 우리나라의 설계기준이 네덜란드의 기준을 그대로 인용한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작물하중 설계기준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딸기의 작물하중은 행잉베드를 포함한 중량이 $21.0kgf{\cdot}m^{-2}$로 네덜란드의 설계기준인 $30kgf{\cdot}m^{-2}$보다 훨씬 작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