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ective strain

검색결과 1,805건 처리시간 0.028초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 균주를 이용한 마늘 흑색썩음균핵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White Rot in Garlic Using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

  • 한광섭;김병련;김종태;함수상;홍기흥;정창국;남윤규;유승헌;최재을
    • 식물병연구
    • /
    • 제19권1호
    • /
    • pp.21-24
    • /
    • 2013
  • Sclerotium cepivorum에 의한 흑색썩음균핵병은 마늘에 큰 피해를 주는 중요한 토양병이다. 충남 서산 및 태안의 마늘 재배농가 포장을 중심으로 2009년부터 3년간 조사한 결과, 흑색썩음균핵병은 4월 하순부터 발생을 시작하고, 5월 중순에 발병이 급격히 증가하여 5월 하순에는 최고 발병률을 나타내었다. 본 시험에 사용된 길항미생물 CAB008106-4 균주는 16S rRNA gene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Burkholderia pyrrocinia로 확인되었다. B. pyrrocinia CAB08106-4 균주는 흑색썩음균핵병에 대하여 69.6%의 포장방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B. pyrrocinia CAB08106-4는 마늘에 발생하는 흑색썩음균핵병에 대하여 효과적인 생물적 방제제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도가 농약효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농약사용량 예측 모의실험 (Analysis of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Pesticide Efficacy and Simulation of the Change in the Amount of Pesticide Use)

  • 모형호;강주완;조기종;배연재;이미경;박정준
    • 환경생물
    • /
    • 제34권1호
    • /
    • pp.56-62
    • /
    • 2016
  • 기후변화에 따른 해충개체군 증감모형은 해충방제를 위한 초발생예찰과 연속적 해충변동 양상의 파악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예측은 농약사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에 적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현대 해충방제전략의 화두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온도변화에 따른 해충의 농약효과에 따른 사충률의 변화를 개체군 모형과 결합시켜 모의했다. 감수성 점박이응애를 강낭콩을 기주로 20, 25, 30, $35^{\circ}C$에서 Acrinathrin-Spiromesifen 혼합제와 Azocyclotin 유기주석계 농약에 노출시켰다. 생물검정 결과 점박이응애의 사충률은 온도와 농약의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생했다. 점박이응애의 개체군 밀도변동 모의는 DYMEX를 이용했으며, 모의결과 농약의 종류별로 기후변화에 따른 초기방제 시기와 방제횟수에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예측됐다. 본 연구결과는 미래의 기후변화에 대응한 해충방제 전략과 농약 선발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Astaxanthin 함유 기능성 식품소재의 유전독성 및 항산화능 검사 (Genotoxicity and Anti-Oxidative Effectiveness Study of Functional Food Additive Containing Astaxanthin)

  • 김준성;박진홍;김화;조현선;황순경;나운성;강환구;안길환;조명행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381-390
    • /
    • 2006
  • Astaxanthine is a pigment that belongs to the family of the xanthophylls, the oxygenated derivatives of carotenoids whose synthesis in plants derives from lycopene. Astaxanthine is also a carotenoid widely used in salmonid and crustacean aquaculture to provide the pink color characteristic of that. Recent study reported that astaxanthine has the role as a detoxicant against the free radicals. On our study, we estimated the genotoxicity in ICR mice and possibility as antioxidant reagents of mutant Phaffia rhodozyma strain over expressing the astaxanthine by gamma-lay and carophyll pink including astaxanthine in apoE knock out mice, respectively. In our study, we administered Phaffia rhodozyma (2 mg and 3 mg) and carophyll pink for 4 and 8 week. The clinical sign and mortality were not detect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In the mutant frequency of hprt gene and chromosome aberration in splenic cells, there was not detected abnormality. There was not critical change in hematological and serum biochemical test compared to control. In expression level of repair enzyme, increase of catalase were detected and increase of expression level of Nrf-2 was detected in Phaffia rhodozyma (3 mg) and carophyll pink in 8 week treated group. In GSH level, the group of treated with Phaffia rhodozyma (3 mg) showed the increase of the GSH. In conclusion, mutant Phaffia rhodozyma and caphyll pink may be applied to the effective food additives to reduce the free radical.

부채마 (Dioscorea nipponica Makino)의 부정근 배양조건과 Steroidal Saponin의 기내생산 (In vitro Culture of Adventitious Roots from Dioscorea nipponica Makino for the Production of Steroidal Saponins)

  • 안정희;손건호;손호용;권순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3호
    • /
    • pp.217-223
    • /
    • 2005
  • 액체배양을 통한 부채마의 부정근 배양시 첨가되는 생장 조절제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부정근의 생장과 steroidal saponin 생산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NAA와 BA 농도별 부정근 생장은 NAA를 단독으로 1.0 mg/L를 처리한 곳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으나 NAA에 BA를 첨가하면 부정근의 생장에 오히려 억제효과를 보였다. 20종의 각각 다른 배양주로부터 dioscin, prosapogenin A 및 prosapogenin C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배양주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는데, 그 중 dioscin 함량이 건물당 2.5%로 가장 높았던 10번 배양주를 선발하였다. 부정근에 함유된 세 종류의 steroidal saponin 함량은 부정근의 생장이 왕성한 4주까지는 낮으나 부정근의 생장이 거의 정지되는 5주째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Dioscin과 prosapogenin C의 함량은 NAA보다 IBA를 처리한곳에서 현저히 높으나 prosapogenin A의 함량은 이들 두성분의 종류와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암모니아성 질소함유 산업폐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의 분리 및 복합미생물제제의 개발 (Isolation of Microorganisms and Development of Microbial Augmentation for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containing Ammonium Nitrogen)

  • 이명은;문서진;권도혁;서현효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9-136
    • /
    • 2020
  • 암모니아성 질소(NH4-N) 함유폐수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하여 암모니아성 질소가 함유되어있는 식품폐수처리장의 폭기조 활성오니에 우점적으로 존재하는 미생물 중 TOC (total organic carbon) 제거율이 높은 AT2, AT9, AT12 균주와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능이 우수한 FN47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 분리균주의 균체를 탈지강을 담체로하여 산업폐수처리용 미생물제제 FIW-1 을 제조하였다. 폭기조 분리균주들의 대상으로 폐수자체를 배양기질로 하여 배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을 때 분리균주들의 기질친화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리균주 중 AT12 균주(Alcaligenes sp. AT12)가 가장 높은 기질친화성을 나타내었다. 식품폐수 중의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효율은 분리균주 FN47 (Microbacterium sp. FN47)의 처리구에서 71%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실규모의 반응조에서 식품폐수를 이용한 연속배양 실험에서 활성슬러지만을 첨가한 경우 63% TOC제거효율을 나타내었으며, 폐수처리용 미생물제제 FIW-1을 첨가 시에는 92%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폐수처리용 미생물제제 FIW-1의 폐수처리장 현장실험에서는 미생물제제 FIW-1을 투입한 초기 3일간의 유출수COD (chemical oxygen demand) 값은 43% 내외의 처리율을 나타내었으나, 5일이 경과하였을 때 유출수의 COD값은 62%의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유리지방산, Creatine Phosphokinase 및 LCAT 활성에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추출액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Extract on the Free Fatty Acid, Creatine Phosphokinase and LCAT Activities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 김한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5-271
    • /
    • 2005
  • 식이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Sprague Dawley계 숫 흰쥐를 사용하여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생리활성물질 추출액을 급여하므로서, 혈청 유리지방산, creatine phosphokinase 및 lecithin cholesterol acyltrasferase(LCAT) 활성 등 생체 내 지질 대사 이상 및 혈청 지질 개선 효과를 생리생화학적 측면에서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본 식이에 물 급여군인 대조군(BW군)과 돼지기름, 콜레스테롤 등에 의한 고콜레스테롤 유발 식이에 물 급여군(BCW군),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식이에 돌복숭아 $5.0 g\%$ 추출액을 급여한 군(BCP군)을 5주간 실험 사육하였다. 혈청 중 전해질 농도(Na, K, Cl)는 고콜레스테롤혈증 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하므로서 농도가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전해질 농도의 저하효과는 유의성 있게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 중 유리지방산, 과산화지질 농도 및 creatine phosphokinase 활성 등은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한 군에서 농도와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혈청 LCAT 활성은 고콜레스테롤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 급여에 의해 증가되는 것 등으로 미루어 보아, 돌복숭아 중의 생리활성물질이 식이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 대한 혈청 지질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당뇨성 흰쥐의 과산화지질 및 Creatine Phosphokinase 활성에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 열수 추출액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unus persica Batch var. davidiana Max. Hot-Water Extract on the Lipid Peroxide and Creatine Phosphokinase Activit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한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2-278
    • /
    • 2005
  •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의 생리활성 추출물질($5.0g\%$ extract)이 streptozotocin (STZ, 55mg/kg B.W., I.P. injection)으로 유발된 당뇨성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지질 및 당질대사 이상에 의해 야기되는 각종 질환의 예방과 개선 효과 등에 많은 생리적 효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본 식이에 물 급여군인 대조군(BW군)을 비롯한 STZ 당뇨 유발 흰쥐에 물 급여군(BSW군)과 당뇨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한 군(BSP군)을5주간실험 사육하였다. 혈청 중의 전해질 농도(Na, K, Cl)는 당뇨 유발군(BSW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BSP군)하므로서 농도가 다소 나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성 있는 농도의 차이는 없었다. 한편 혈청 유리지방산 및 과산화지질 농도, creatine phosphokinase활성 등에서 돌복숭아추출액을 급여하므로서 유의적인 농도와 활성 감소를 나타내었고, 혈청 lecithin cholesterol acyltransferase(LCAT) 활성은 당뇨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 급여에 의하여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돌복숭아 중의 생리활성물질이 STZ으로 유발된 당뇨성 흰쥐의 당질 및 지질대사 이상 등에서 오는 각종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김치유래 Pichia속 효모가 생산하는 $L-galactono-{\gamma}-lactone\;oxidase$의 분리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galactono-{\gamma}-lactone$ Oxidase in Pichia sp. Isolated from Kimchi)

  • 오지영;한영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35-1142
    • /
    • 2003
  • 본 연구는 김치의 발효 말기에 비타민 C의 증가 현상을 조사하였으며, 이는 김치 발효 후기에 생육하는 효모에 의한 현상으로 미생물인 효모에서 비타민 C 생합성 경로를 밝히기 위해 수행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김치의 숙성에 따른 pH와 총 산함량의 변화는 김치가 숙성되면서 pH는 담금 초기 5.29에서 숙성 33일에 pH 3.50으로 감소되었고, 총 산함량은 담금 초기 0.24%에서 숙성 33일에 2.48%로 증가되었으며, 비타민 C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발효 3일째까지 점점 상승하다 감소되었으나, 발효 15일째는 19.58mg%로 초기 함량보다 다소 높게 측정되었다. 김치의 PG 활성은 김치 숙성초기에는 낮았으나, 김치 숙성 10일 이후부터 증가되어 발효 13일에는 15.4unit/mg protein으로 PG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김치에서 분리된 효모 중 배양액의 비타민C의 함량이 높게 측정된 효모를 선별하였으며, 동정결과 Pichia onychis, Pichia rabaulenis, Pichia jadinii, Candida humilis로 각각 동정되었다. 분리, 동정된 효모 중 비타민 C생성량이 가장 높았던 Pichia onychis 16-4 균주로부터 비타민 C 합성 조효소액을 추출하였으며, specific activity는 7.26unit/mg protein로 나타났다. 최종 정제 시 효소활성은 4,698unit/mg protein으로 나타나 처음보다 647.10배로 농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제된 효소액의 분자량은 31,000, 39,000, 50,000 KD으로 3개의 subunits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정제된 효소는 $L-galactono-{\gamma}-lactone$를 최적 기질로 사용하였으며 $35^{\circ}C$에서 pH 7.8일때 최적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정제된 효소는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하는 $L-galactono-{\gamma}-lactone$ oxidase임을 알 수 있었다.

Candidate Probiotic Bacteria의 어류병원성 Streptococcus sp. 성장에 대한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andidate Probiotic Bacteria on the Growth of Fish Pathogenic Bacteria, Streptococcus sp.)

  • 이민영;김은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7-114
    • /
    • 2014
  • 세균성 어류질병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하여 어류와 인체에 안전한 수산용 probiotic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남해안 일대에서 양식되고 있는 참굴 (Crassostrea gigas),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새조개 (Fulvia mutica)의 가식 부위로부터 17균주의 candidate probiotic bacteria (CPB)를 분리하였다. 나아가 다양한 연쇄상구균 (Lactococcus garvieae, L. piscium, Streptococcus sp., S. iniae, and S. parauberis)에 대하여 강한 생장 억제력을 보이는 균주(CPB-St)를 선별하여 어류의 연쇄구균증 관리를 위한 probiotic 균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CPB-St 균주를 double layer test를 통하여 다양한 연쇄상구균들에 대한 생장 억제 정도를 알아보았으며, 혼합 배양에서의 Streptococcus sp.에 대한 생장 억제 능력을 확인하였고, CPB-St의 어류에 대한 안전성 및 장내 생존 유무를 평가하였다. CPB-St는 대부분의 연쇄상구균에 대하여 18~26 mm의 생장 억제대를 형성함으로써 높은 생장 억제 능력을 보였다. CPB-St와의 혼합 배양에서 Streptococcus sp.는 6시간째부터 생장 억제 현상이 관찰되기 시작하여 12시간 전후로 8~55배 정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CPB-St의 어류에 대한 병원성 유 무를 알아본 결과, 2주일 동안 CPB-St로 인한 어류 폐사는 관찰되지 않았다. CPB-St의 1회 강제 경구 투여 후, 위와 장에서 CPB-St의 생존을 확인한 결과 투여 24시간 후에는 CPB-St가 모두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PB-St를 probiotic bacteria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어류의 장내 정착 가능성과 먹이를 통한 효과의 정확한 검증이 추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길항세균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BW-13의 대량배양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 (Cultivation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an Antagonistic Bacterium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BW-13)

  • 박종영;김한우;김현주;전옥주;정순재;최우봉;이선우;문병주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158-161
    • /
    • 2005
  • 결구상추 밑둥썩음병원균인 Rhizoctonia. solani에 대한 길항세균으로 보고된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BW-l3 균주의 배양적 특성과 항균물질의 생산능을 조사하고 대량배지를 선발하였다. BW-13 균주의 초기 pH와 배양적온을 조사한 결과, pH는 $6.0\~8.0$에서 , 온도는 $35^{\circ}C$에서 세균의 생육이 가장 높았다. 대량배양을 위한 효율적인 탄소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glucose, sucrose, lactose, maltose, manose 등의 저분자 탄소원과 개량제, 미강, 옥수수전분, 고구마전분 등의 고분자 탄소원을 사용하여 BW-13균주의 생장과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초배지에 $3\%$개량제를 첨가했을 때 BW-13 균주의 세균 증식과 항균활성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기초배지($1.25\%\;K_{2}HPO_4,\;0.38\%\;KH_{2}PO_4,\;0.01\%\;MgSO_4{\cdot}7H_{2}O,\;0.5\%\;Yeast extract$)에 개량제 $3\%$ 첨가한 배지(dough conditioner media)를 BW-13 균주의 대량배양용 배지로 선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