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ective air-drying day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산(韓國産) 감귤과피(柑橘果皮)의 효율적(效率的)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I. 감귤과피(柑橘果皮)의 열풍건조(熱風乾燥)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Citrus Peel Waste -I. Drying of Citrus Peel by Hot Air-)

  • 장호남;허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45-250
    • /
    • 1977
  • 밀감 과피의 효율적인 건조방법과 건조특성을 알기 위하여 온도, 표면적의 변화, 종류, 화학적 및 물리적 처리후의 건조등에 대하여 열풍건조 실험을 하였다. (1) 상온하에서 자연건조시는 $3{\sim}6$일에 수분함량을 70%에서 20%까지 떨어뜨릴 수 있었다. (2) 온도에 따른 열풍건조는 $60^{\circ}C$에서 50분가량 소요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60^{\circ}C$이상에서는 별다른 건조속도의 증가를 볼 수없었다. (3) 표면적의 효과를 보기 위하여 256등분으로 하여 표면적을 약 2배로 한결과 건조시간이 50분에서 15분으로 단축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4) 문단(文旦)과 병교을 제외하곤 밀감의 종류에 따른건조속도의 변화는 볼 수 없었다. (5) 소석회 처리와 압착후 건조는 둘다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나 생과피의 경우는 별다른 잇점이없고 최초수분함량이 $1200{\sim}1300%$인 경우는 유리하다고 보아진다. 결론적으로 온주밀감및 대부분의 감귤과피는 잘게 썰어서 $60^{\circ}C$에서 열풍건조 하면 15분정도에서 수분함량을 10%이하까지 건조할 수 있으며 연중을 통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있는 원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반건조 장어 과산화에 대한 식물 주정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Plants on Peroxide Content in Semi-Dried Eels)

  • 송희순;김영모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47-652
    • /
    • 2018
  • Extracts from bay leaves, Chongbaek (Allium fistulosum L.), Hutgae (Hovenia dulcis Thunb.) fruit, and green tea, using Soju (Korean alcohol, $30^{\circ}$) as a solvent were analyzed for their antioxidative properties. The eels were evenly coated with the extract concentration equivalent to 2% of their total weight and dried for 15 hours at $35^{\circ}C$ using an air blowe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of semi-dried eel, and linoleic acid peroxidation of eel oil were investigated. The highest level of DPPH radical scavenging was found in green tea extracts, followed by Hutgae fruit extract and bay leaves extract (p<0.05). The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of Hutgae fruit extracts coated eels refrigerated for 21 days were the lowest followed by the green tea extract coated eels. During the 20 days reaction period, all four kinds of extracts analyzed were found to effectively decrease linoleic acid peroxidation. Among them, Hutgae fruit and green tea extracts decreased the peroxide content of eel oil steadily and for a longer period when compared to other extracts. In conclusion, pre-application of Hutgae fruit and green tea extracts on eels before drying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delaying peroxidation in eels during the drying process and refrigeration.

전통 유과가공공정의 분석(II): 반데기성형, 건조, 수분조절 및 부재료의 첨가 (Analysis of Traditional Process for Yukwa Making, a Korean Puffed Rice Snack(II) Pelleting, Drying, Conditioning and Additives)

  • 강선희;류기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18-823
    • /
    • 2002
  • 전통적인 유과제조공정에서 반데기의 성형, 건조, 수분조절과 부재료의 첨가가 유과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였다. 반데기의 숙성에 따른 반데기의 페이스트 점도는 숙성기간 2일에 최대점도 300 RVU이였고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최대점도가 감소하였다. 수침을 거친 반데기의 기공은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으나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른 크기와 분포의 변화는 없었다. 전통적인 유과제조 공정으로 제조한 반데기의 최적 수분함량 $14{\sim}17%$에서 튀겼을 때 팽화도와 조직감은 좋았다. 유과원료의 부재료로 대두즙과 소주를 첨가한 찹쌀반죽으로 제조한 반데기를 튀긴 유과의 팽화도와 조직감이 우수하였다. 소주는 유과의 팽화에 영향을 미치고 대두즙은 조직감을 부드럽게 하였다. 유과(유탕팽화 펠릿)의 내부에는 큰 기공이 분포하며 외부에는 작은 기공이 세밀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방부처리 원주가공재의 방부제 침윤도 향상 및 건조 할렬 방지를 위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처리 효과 (Effects of Polyethylene Glycol Treatment for Improvement of Preservative Penetration and Prevention of Drying Check of Preservative Treated Round Post)

  • 이종신;윤선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27-32
    • /
    • 2002
  • PEG 처리가 고함수율 상태의 방부처리 삼나무 원주가공재의 건조 할렬 방지 및 방부제의 침투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농도 10%의 방부제(Basilit CFK) 용액에 1일간 침지 처리한 시험체의 표면에 노도 50%의 PEG-400을 각각 3, 5, 10획 도포하여 30일간 천연 건조한 후 할렬의 발생정도 및 변재부의 방부제 침윤도를 조사하였다. 변재부의 방부제 침윤도를 조사한 결과, 방부제 단독처리 시험체에서는 약 23.2%였으나 방부제 PEG 처리 시험체에서는 약 51.2~64.5%로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내 PEG처리에 의하여 방부제의 침투가 촉진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천연건조 기간 중에 방부제-PEG 처리 시험체에서의 건조 할렬 발생은 PEG 도포횟수의 증가와 함께 뚜렷하게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발생된 몇 개의 할렬의 크기도 방부제 단독처리 시험체에서 발생한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았다. 그러나 2개월간 옥외 폭로 후에는 방부제-PEG처리 시험체에서 많은 할렬이 발생하여 PEG 처리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PEG 처리 후, 폴리우레탄수지 래커로 도장 처리한 결과, 옥외 폭로기간 중에 할렬 발생이 뚜렷하게 방지되었다

트리에탄올아민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 실험 (An Experimental Application of Concrete Using TEA in Construction Field)

  • 황인성;임춘근;김성수;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년도 학술.기술논문 발표회
    • /
    • pp.23-26
    • /
    • 2003
  •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early strength development by application of TEA to the field.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TEA is added, fluidity is almost same to base concrete, and increases upto aimed slump after field flowing. Setting time does not differ in the case of base and TEA, but retarded after flowing. The time when compressive strength gains 5 MPa, which side form can be removed, is 23 hours, and so the removal time is shortened by I hours in comparison with plain concrete. But compressive strength is almost same to that of plain concrete at 28 days. The rebound value of P type schmidt hammer show similar tendency to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rebound value of structure is higher than that of standard curing specimen due to heat capacity effect and drying by the air outsid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f the rebound value of P type schmidt hammer is controled. by about 26 in consideration of open air environment, it is very effective to determine the removal time of side forms.

  • PDF

트리에탄올아민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 실험 (An Experimental Application of Concrete Using TEA in Construction Field)

  • 황인성;임춘근;김성수;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년도 학술.기술논문발표회
    • /
    • pp.23.1-26
    • /
    • 2003
  •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early strength development by application of TEA to the field.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TEA is added, fluidity is almost same to base concrete, and increases upto aimed slump after field flowing. Setting time does not differ in the case of base and TEA, but is retarded after flowing. The time when compressive strength gains 5 MPa, which side form can be removed, is 23 hours, and so the removal time is shortened by 1hours in comparison with plain concrete. But compressive strength is almost same to that of plain concrete at 28 days. The rebound value of P type schmidt hammer show similar tendency to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rebound value of structure is higher than that of standard curing specimen due to heat capacity effect and drying by the air outsid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f the rebound value of P type schmidt hammer is controled. by about 26 in consideration of open air environment, it is very effective to determine the removal time of side forms.

  • PDF

동결건조에 따른 살충성 세균 Photorhabdus temperata M1021의 안정성과 살충성 평가 (Insecticidal Activity and Stability by Freeze-drying of Entomopathogenic Bacteria, Photorhabdus temperata M1021)

  • 박건석;장은경;김민성;신재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2호
    • /
    • pp.123-127
    • /
    • 2012
  • 오늘날 환경친화적인 생물농약을 개발하기 위한 미생물로는 Bacillus thuringiensis 이외에 Photorhabdus, Xenorhabdus 및 Serratia와 같은 곤충병원성 미생물과 Pseudomonas와 같은 식물유용 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곤충병원성 미생물인 Photorhabdus temperata M1021 균주를 동결건조법을 이용하여 제제화 하였으며, 동결건조 시 세포보호를 위하여 skim milk, starch, sodium alginate, glucose와 sodium glutamate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동결 건조 후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7% (w/v)의 skim milk가 첨가된 시료에서 가장 높은 63%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제제화된 동결 건조균을 공기와 접촉시키면서 저온에서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4주 후에도 75%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제제를 이용한 살충력 시험에서 꿀벌 부채명나방 유충에 대한 주사독성은 $2.0{\times}10^1$ cells/lavar 이상을 주사할 경우 4일 이내에 전체유충이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times}10^0$ cells/larva의 아주 낮은 농도에서도 50% 이상의 유충사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P. temperata M1021 균주의 동결건조 분말의 뛰어난 살충효과는 보다 현실적인 생물학적 제제로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청매실의 비가열 전처리 및 건조매실의 특성 (Non-thermal treatment of Prunus mume frui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dehydrated product)

  • 강지훈;김남호;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52-660
    • /
    • 2014
  • 수확 후 매실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 0.5% citric acid와 0.1% Tween 20 단일 및 병합 처리 후 $4{\pm}1^{\circ}C$에서 7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 수 및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Citric acid와 Tween 20 병합 처리 후 총 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2.06, 2.22 log CFU/g으로 가장 높은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저장 7일 동안 유지되었다. 매실의 유기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malic acid, citric acid, oxalic acid의 순서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 중 색도 역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매실의 저장성 증진 및 다양한 매실 가공품 제조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탈수제를 이용한 건조 후 건조 매실의 품질 변화를 열품건조와 비교, 분석하였다. 탈수제 처리 건조가 열풍건조에 비해 높은 복원율을 나타냈고,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열풍건조 보다 많았으며, 대조구와 유사한 함량을 유지하였다. 또한 건조 매실의 색도에 있어서도 탈수제 처리가 부정적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수확 후 매실에 citric acid와 Tween 20 병합 처리가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품질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효과적인 가공 전처리 기술이라고 생각되며, 탈수제 처리가 건조 매실의 품질을 높게 유지하며 저장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건조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피조개의 이용에 관한 연구 1. 피조개 분말수우프의 제조 및 저장중의 품질안정성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Arkshell 1. Preparation and Quality Stability during Storage of Powdered Dried Arkshell for Instant Soup)

  • Kim, Hee-Y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17-223
    • /
    • 1988
  •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fish resources in coastal regions, investigations on preparation of powdered dried arkshell instant soup., quality stability of the products during storage and utilization as a food material were carried out with arkshell, Anadara broughtonii. Three kinds of powdered instant soup were prespared as 0% table salt(A), 5% table salt (B), 15% table salt(C) and packed with vacuum in laminated film bag. (polyester/nylon: 85${mu}ell$/15${mu}ell$, 18$\times$27cm) Their processing conditions and quality stability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for 90 days were examined. Powdered instant soup was made by washing raw arkshell to remove visceral, clay, sand and blood, hot air drying(60$\pm$1$^{\circ}C$, 20 hrs) after draining and pulverizing dried arkshell to 35 mesh. Powdered instant soup was made by adding 2% sugar 0% table salt (5% and 15% table salt), 10.5% monosodium glutamate, 0.3% black pepper and 0.3% garlic powder to the pulverized dried arkshell. The condition of moisture and water activity of the products were 5.9-6.9% and 0.42-0.43,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 s , water activity and pH of the products were showed little change and volatile basic nitrogen of them increased slightly during storage. Thiobarbituric acid value increased up to 60 days of storage and then decreased slightly. In solubility, powdered instant soup were showed no remarkable difference comparing with goods on the market. The color value of th products were showed little change during storage, In sensory evaluation, product B were scored slightly higher, in most cased, in flaver, col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comparing with product A or product C during storage. Judiging form the sensory evaluation, powdered instant soup of 5% table salt (B) were the most desirable,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ts was stable for 90 days at 20$\pm$3$^{\circ}C$.

  • PDF

Germination of West African Ebony (Diospyros mespiliformis Hochst) Seeds: Effects of Dehydration and Different Pre-sowing Treatments

  • Kanmegne, Gabriel;Mbakop, Christelle Nya;Fonkou, Theophil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4호
    • /
    • pp.267-273
    • /
    • 2020
  • Diospyros mespiliformis is a highly valued and threatened tree species within the Sahelo-Sudanian zone of Africa, but its seed germination requirements under cultivation are not well researched. In a first experiment which aimed at determining germination response of seeds to dehydration, fresh seeds were dried at room temperature for 26 days during which their moisture content, their germinability, and their viability were monitored at two-day intervals. In the second experiment, 14 pre-germination treatments were tested for their effect on the germination of dried seeds. Results showed that fresh seeds had 52.7% moisture and achieved 97.7% germination. As seeds were dried, percentage germination gradually decreased with decreasing moisture content and reached 0% when moisture content had dropped to 18%. Meanwhile, seed viability remained at 100% over drying duration. Seeds that were not germinated after air dry also recorded 100% viability.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inducing germination of dried seeds was scarification using 98% sulfuric acid for 30 min which resulted in 96.6% germination. This study reports for the first time in D. mespiliformis seeds a desiccation-induced dormancy which can be efficiently alleviated by acid scarification.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hat will contribute to efficient management of D. mespiliformis seed resources for propa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