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platform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5초

포스트코로나 시대 메타버스 기독교교육 플랫폼 (The metaverse christian educational platform in post-Corona era)

  • 이선영;김난예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1권
    • /
    • pp.341-370
    • /
    • 2022
  • 코로나19가 엔데믹으로 전환되고 거리두기가 해제되고, 사람들은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문화와 생활 패턴에 익숙해지고 있다. 세상은 이제 급변하는 트렌드에 적응하고 있지만, 기독교교육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며 위기를 겪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새로운 기독교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위기를 겪고 있는 기독교교육의 대안으로 기독교인들이 새로운 시대를 잘 이끌어나갈 수 있는 새로운 기독교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각광을 받고 있는 메타버스와 플랫폼을 기독교교육에 접목시켜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기독교교육의 방법인 메타버스 기독교교육 플랫폼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기독교교육 플랫폼은 기독교교육이 효율적이면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과 공간 및 제반 자료를 의미한다. 메타버스 기독교교육 플랫폼은 플랫폼 내의 수요와 공급 활성화를 위해 플랫폼의 규모에 따라 4단계로 구성하였고 1단계는 가정교육 플랫폼, 2단계는 공동체교육 플랫폼, 3단계는 지역연합교육 플랫폼, 4단계는 교육선교 플랫폼이다. 마지막 4단계 교육선교 플랫폼은 현시대에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는 메타버스를 교육선교의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메타버스 내의 가상공간을 활용하여 소형 교회와 저개발 국가의 다음세대들에게 교육 플랫폼 내의 교육 콘텐츠와 교육 자료, 비대면 교사, 가상 커뮤니티, 실시간 교육 방송 등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교육선교를 구체화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Power Electronics Open-Source Educational Platform

  • Pozo-Ruz, Ana;Aguilera, F. David Trujillo;Moron, M. Jose;Rivas, Ernesto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2권5호
    • /
    • pp.842-850
    • /
    • 2012
  • Learning Power Electronics is essential in both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ields and the introductory courses are similar in many universities. Taking this premise into account, an educational computer-aided platform for power electronics will be presented in this paper. This educational platform includes an e-book, a set of power electronics animations, Java simulations, as well as several hands-on training sessions. The main advantages of this platform are twofold. First, all necessary teaching tools are combined on a single platform. And secondly, access to this platform is available free of charge and with no complicated registration requirements. In addition to traditional teaching techniques, the use of this platform has demonstrated an increase in student participation and has consistently improved their academic performance. Data consist of surveys, which guarantee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psychometric techniques.

전방향 이동 메커니즘 기반의 교육용 로봇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al Robot Platform Based on Omni-directional Mobile Mechanism)

  • 주백석;성영휘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161-1169
    • /
    • 2013
  • In this paper an omni-directional mobile robot is suggested for educational robot platform. Comparing to other robots, a mobile robot can be easily designed and manufactured due to its simple geometric structure. Moreover, since it is required to have low DOF motion on planar space, fabrication of control system is also simple. In this research, omni-directional wheels were adopted to remove the non-holonomic characteristic of conventional wheels and facilitate control system design. Firstly, geometric structure of a Mecanum wheel which is a most frequently used omni-directional wheel was demonstrated. Then, the organization of the mobile platform was suggested in aspects of mechanism manufacturing and electronic hardware design. Finally, a methodology of control system development was introduced for educational purpose. Due to an intuitive motion generating ability, simple hardware composition, and convenient control algorithm applicability, the omni-directional mobile robot suggested i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a promising educational platform.

Opportunities and prospects for personalizing the user interface of the educational platform in accordance with the personality psychotypes

  • Chemerys, Hanna Yu.;Ponomarenko, Olga V.
    • Advances in Computational Design
    • /
    • 제7권2호
    • /
    • pp.139-151
    • /
    • 2022
  • The article is devoted to the actual problem of studying the possibilities of implementing personalization of the user interface in accordance with the personality psychotypes. The psychological aspect of user interface design tools is studied and the correspondence of their application to the manifestations of personality psychotypes is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e distribu-tion of attention of users of these categories on the course page of the educational platform are presented and the distribution of att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focus on educational material is analyzed. Individual features and personal preferences regarding the used design tools are described, namely the use of accent colors in interface design,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les of typographic hierarchy, and so on. In accordance with this, the prospects for implementing personalization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educational platform are described. The results of the study allow us to state the relevance of developing and applying personalization of the user interface of an educational platform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in accordance with the psychological impact of individual design tools, and taking into account certain features of user categories. The research is devoted to the study of user attention concentration using heatmaps, in particular based on eyetreking technology, we will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user attention on the course page of an educational platform Ta redistribution of atten-tion in accordance with certain categories of personality psychotyp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to rearrange the LMS Moodle interface according to the user's psychotype to achieve the best concentration on the training material. The obtained data are the basis for developing effective user interfaces for personalizing educational platform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How to Develop a Metaverse Platform for Educational Purpose: A Focus Group Study

  • Kim, Hee Chul;Kim, Myoeun;Park, Il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253-26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 경험이 있는 초, 중, 고 교사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론을 적용하여 교육용 메타버스 개발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포커스 그룹에 참여한 교사는 총 10명이며, 자료수집은 2022년 1월부터 2월까지 2개월 간 실시하였고, 1차, 2차의 두 차례의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자료는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6개의 주제질문(메타버스 플랫폼 상에서 교육을 하는 것의 필요성, 메타버스를 소프트웨어의 하나로서 교육적인 도구로 사용할 때의 이점, 메타버스를 활용해서 학생들과 함께 진행하기에 적합한 수업,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해서 학생 교육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교육용 메타버스에서 꼭 필요한 기능, 교육용 메타버스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있어 정책적 제언)에 대해 17개의 하부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용 메타버스 구축을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고,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의 제안을 제시하였다.

교육용 AVR 로봇의 자바기반 플랫폼 (Java based Platform for Educational Robots on AVR)

  • 이이섭;김성훈
    • 지능정보연구
    • /
    • 제15권3호
    • /
    • pp.17-29
    • /
    • 2009
  • C 언어는 AVR사의 ATmega128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용 로봇 팔의 주 프로그래밍 언어다. C 언어는 교육용 로봇 팔을 제어하고 프로그램 학습하기 원하는 중학교 또는 고등학생들에게는 매우 어렵고 복잡하였다. 더구나, 통합개발환경, 디버딩 및 테스팅 환경도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육용 로봇을 위한 자바 기반의 통합 개발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이 플랫폼은 교육용 로봇 팔을 위한 최신의 초소형 자바 가상 머신(NanoVM), 이클립스 플러그인을 사용한 통합개발환경, 실제 로봇을 연결하지 않아도 테스트 및 디버깅을 할 수 있는 3차원 시뮬레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자바 개발환경은 어린 학생들이 매우 용이한 교육용 로봇 팔 학습환경을 제공하게 되었다.

  • PDF

Best Practices on Educational Service Platform with AI Approach

  • Hong, Je Seong;Park, Bo Kyung;Kwak, Jeil;Kim, R. Young Chul;Son, Hyun Se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4호
    • /
    • pp.40-46
    • /
    • 2019
  • The current education is becoming more extensive with the application of various teaching methods. This is a problem that is so distributed that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find the data and it takes a long time to find the information they need. Currently, various educational services, materials, and instruments are developed and scatter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aise students' awareness of aptitude and career path with customized education tailored to students. Conventional education platforms have very difficult to choose the right materials for students because of the spread of educational programs and institution materials. To solve this, we propose a customized recommendation approach to recommend customized educational service materials and institution for students to teachers, which helps teachers conveniently choose materials suitable for their respective environments. On this new platform, the CNN algorithm provides recommended content for classes and students. For real service on the educational service platform, we implement this system for Jeil edus business. Through this mechanism, we expect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by helping to select the right service.

Opportunities of Organization of Classes in Foreign Languages by Means of Microsoft Teams (in Practice of Teaching Ukrainian as Foreign Language

  • Olha Hrytsenko;Iryna Zozulia;Iryna Kushnir;Tetiana Aleksieienko;Alla Stadni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3호
    • /
    • pp.160-172
    • /
    • 2024
  •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require special resources and tools for online learning. Criteria for choosing educational platforms depend on key elements of an academic subject area. Microsoft Teams (hereafter, MT) educational platform is competitive one because it meets most of the needs that arise during the formation of a secondary linguistic persona. Due to the large number of corporate programs, there are a successful acquisition of language skills and the implementation of all types of oral activities of students. A significant MT advantage is the constant analysis and monitoring of the platform of participants' needs in the educational process by developers. The article highlights M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 attention is drawn to individual programs, which, in the authors' opinion, are the most successful to learn writing, reading, speaking, listening, as well as organize classes that meet needs of modern foreign students.

Suggestions for Developing a Metaverse Platform for Educational Purpose: A Delphi Study

  • Hee Chul, Kim;Iljun, Park;Myoeun,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235-246
    • /
    • 2023
  • 본 연구에서 연구진은 메타버스와 디지털 교육과 관련된 전문가들의 경험과 직관을 바탕으로 델파이조사 방법론을 적용하여 교육용 메타버스 개발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델파이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는 1차, 17명, 2차, 16명이며, 자료수집은 2022년 1월 중에 진행되었고, 1차는 1월 5일에서 1월 10일까지, 2차는 1월 12일부터 1월 17일까지 전자우편으로 발송되고 회송되었다. 면담자료는 개방형 질문이었던 1차 조사에 대해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1차 조사 결과 7개의 질문(미래 교육에 있어서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의 필요성, 메타버스에서 미래 인재에게 필요한 역량을 향상시키는 교육 방법,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교육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교육용 메타버스 플랫폼이 갖춰야 할 기능, 교육용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시 필요한 인프라 및 환경, 학습공간으로서 메타버스의 효율적인 활용 방법, 교육용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진행하면 효율적일 교과 및 교육 콘텐츠)에 대해 120개의 하위 항목이 도출되었다. 2차 조사는 7개 질문에 대한 하위 항목들에 대해 5점 척도의 동의 정도를 표시하여 각 항목에 대한 응답자들의 평균을 구해 7개 영역의 하위요인들의 순위를 매겼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용 메타버스 구축을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고,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의 제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