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objectives

검색결과 1,130건 처리시간 0.028초

수면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들의 불면증에 대한 인식조사 (Survey of Knowledge on Insomnia for Sleep Clinic Clients)

  • 소민아
    • 수면정신생리
    • /
    • 제26권1호
    • /
    • pp.23-32
    • /
    • 2019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장애로 수면클리닉에 내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면클리닉을 방문하게 된 이유, 찾게 된 경로, 수면클리닉을 찾게 되는 가장 흔한 증상이자 독립질환인 불면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여 향후 수면장애의 치료와 환자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2018년 4월부터 10월 사이 6개월 간 국립정신건강센터의 수면클리닉을 방문한 외래환자들 중 만 19세 이상의 초진환자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때, 지적장애, 치매 등 심한 인지기능을 동반한 환자등을 배제하였고, 총 44명(남성 24명, 여성 20명)이 연구에 참석하였다. 설문지는 자체개발한 설문지로 수면클리닉을 방문한 이유, 수면클리닉을 알게 된 경로, 수면클리닉 방문 이전 수면질환의 치료력, 불면증의 인식에 대한 질문, 불면증의 치료에 대한 인식, 불면증의 동반질환(comorbodity)에 대한 지식을 묻는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결 과 : 연구에 참가한 대상자들은 총 44명으로 평균 연령은 $54.11{\pm}16.3$세로 남성은 24명(54.5%), 여성은 20명(45.5%)였으며,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이 전체의 77.3%를 차지했고, 81.8%(36명)가 고졸이상의 학력을 갖추고 있었다. 환자들의 72.7%(32명)가 공존질환을 갖고 있었으며, 22.7%에서 고위험음주를 보였다. 수면클리닉에 내원한 이유는 잠들기 힘들고 중간에 자주 깸, 낮에 피곤하고 졸림, 불규칙한 수면시간, 악몽을 자주 꿈, 코골이와 수면 중 숨막힘 등의 순서였고, 93.2%에서 불면증을 인식하고 있었고, 가족 친지, 방송, 인터넷 등을 통해 본인이 불면증에 대한 지식을 얻게 되었다고 하였다. 불면증의 치료에 대해서는 70.5%가 약물치료를 떠올렸고, 이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과 의료진을 통해 주로 얻고 있었으며 불면증의 비약물학적인 치료방법에 대해 52.3%가 들어본 적이 없다고 하였다. 불면증의 치료선호도를 묻는 질문에 45.5%가 특별한 선호도 없이 의사의 권유대로 따르겠다고 하였고, 불면증의 공존질환 중 우울증, 신체질환, 알코올사용장애을 알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각각 75%, 50%, 38.6%의 응답률을 보였다. 수면제 복용 시 의사의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75%에서 알고 있었지만, 전체 응답자의 68.2%가 수면제 처방에 대해 걱정을 하고 있었고 이들 중 70%가 약물의존에 대해 걱정된다고 하였다. 결 론 : 내원자의 56.8%가 내원전 타의료기관에서 수면장애로 치료를 받고 왔음에도 불구하고, 불면증의 치료, 특히 비약물학적인 치료에 대한 잘 알고 있지 못했으며, 본인의 수면제 복용여부와 상관없이 수면제에 대해서는 약물의존에 대한 걱정을 많이 하고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불면증과 공존질환으로서의 알코올 사용문제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었다. 향후 일선 일차의료담당자의 불면증치료에 대한 이해증진 및 표준화된 불면증치료안의 개발이 시급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알코올 사용장애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가 초기 면담에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19세 남성에서 그레이브스병의 다면적 군인성검사 결과 (Result of Multiphasic Military Personality Inventory Among Grave's Disease in 19-Year-Old Men)

  • 김종현;이종국;서정석;김주현;오근;김태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30권2호
    • /
    • pp.196-202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19세 남자에서 그레이브스병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다면적 인성검사인 군인성검사(Military Personality Inventory, MPI) 결과를 통해 정량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우리는 2008년 2월부터 2010년 1월까지 병무청으로 군 신체검사를 받으러 방문한 19세 남자 중 다른 내외과 및 정신건강의학과 질환이 없는 건강한 대상자들 592명과 그레이브스병으로 확진된 대상자들 148명의 MPI 결과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 과 인구학적 특징에서 대상자들은 19세 남자로 나이와 성별이 동일하였으며, 교육수준, 사회경제적 상태, 부모관계, BMI 모두에서 그레이브스병 환자군과 정상대상자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χ2=0.089, p=0.766; χ2=5.090, p=0.278; χ2=5.988, p=0.112; t=-0.635, p=0.526). 다면적 MPI 결과에서 타당도 척도에서는 긍정왜곡(fakinggood) 하위 척도 점수가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t=3.507, p<0.001), 부정왜곡(faking-bad) 하위척도 점수와 희귀도(infrequency) 하위 척도 점수는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700, p=0.090; t=-0.519, p=0.604). 신경증 척도에서는 불안(anxiety), 우울(depression), 신체화(somatization),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하위척도 점수가 모두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t=-3.323, p<0.001; t=-4.210, p<0.001; t=-6.202 p<0.001; t=-2.872, p<0.01). 정신증 척도에서는 조현병 및 편집증 하위 척도 점수 모두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158, p=0.874; t=-0.846, p=0.398). 결 론 MPI 결과로 미루어 볼 때, 19세 남자에서 그레이브스병 환자는 정상대상자보다 불안 및 우울 수준이 더 높았으며, 신체적 염려 또는 증상을 더욱 호소하였고, 내향성이나 충동성과 같은 성격장애 성향이 더욱 나타났다.

비치매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대뇌 아밀로이드 병리 예측을 위한 정량화 뇌파 지표: 예비연구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m Markers for Predicting Cerebral Amyloid Pathology in Non-Demented Older Individuals With Depression: A Preliminary Study)

  • 박선영;채수현;박진식;이동영;박지은
    • 수면정신생리
    • /
    • 제28권2호
    • /
    • pp.78-85
    • /
    • 2021
  • 목 적 : 노년기 우울증 환자에서 우울증상이 알츠하이머병의 전구 증상으로 나타났는지를 감별하는 것은 중요한 임상적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화 뇌파(quantitative EEG) 지표가 노년기 우울증 환자의 알츠하이머병 병리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기능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치매로 진단 받지 않은 55세 이상의 우울증 환자 63명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여성 76.2%; 평균 연령 ± 표준편차 73.7 ± 6.87세). 연구 대상자들은 [18F] florbetabenPET 결과에 따라 아밀로이드 양성(Aβ+, n = 32)과 음성으로(Aβ-, n = 31) 분류하였다. 뇌파는 7분 간의 눈을 감은 상태(eye-closed, EC)와 3분 간의 눈을 뜬 상태(eye-open, EO)로 촬영하였으며,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스펙트럼 분석을 시행하였다. 선행연구 결과에 따라 안구 개폐 알파파 반응성 지표(EC-to-EO alpha reactivity index)가 노년기 우울증 환자의 아밀로이드 침착을 예측할 수 있는 신경생리학적 마커가 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알파 밴드 파워에서 아밀로이드 침착 여부(Aβ+ vs. Aβ-), 안구 개폐 조건(EC vs. EO), 지형학적 요인(laterality, polarity) 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고 사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Aβ+군과 Aβ-군에서 각 주파수 밴드의 평균 파워 스펙트럼 밀도 중 EO phase의 알파 밴드 파워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다(F = 6.258, p = 0.015). 알파 밴드에서의 Group (Aβ+ vs. Aβ-) × Condition (EC vs. EO) × Laterality (Left, midline, or right) 3-way interaction이 연령, 성별, 교육 연수, 전반적 인지 기능, 약물 사용, MRI상 백질 고신호강도를 보정한 뒤에도 유의하였다(F = 3.720, p = 0.030). 하지만 대뇌 관심영역 별로 아밀로이드 침착에 따른 알파파 반응성을 비교한 사후 분석에서는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노년기 우울증 환자에서 EO phase의 알파 밴드 파워 증가가 대뇌 아밀로이드 침착과 관련이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했던 안구개폐 알파파 반응성 지표는 알츠하이머병 병리를 예측하지는 못했다. 보다 많은 대상자를 포함한 추후 연구로 해당 결과를 재검증할 필요가 있다.

고혈압·당뇨병 진단자의 영양표시 활용과 질환관리교육의 연관성: 2018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한 횡단연구 (The association between nutrition label utilization and disease management education among hypertension or diabetes diagnosed in Korea using 2018 Community Health Survey: a cross-sectional study)

  • 진미란;김자연;윤규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8-47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xperience of disease management education and the use of nutrition label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s of people diagnosed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living in the community. Methods: Among the participants from the Community Health Survey (2018), 74,283 individuals diagnosed with hypertension or diabet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population. According to gender, this study evaluated nutrition label use by the experience of disease management education, individu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 Finally,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ssociation between disease management education and nutrition labels was calculated using the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Results: Males (24.5%) experienced more disease management education than females (22.6%). In addition, younger age, higher education level, and higher equalized personal income experienced more disease management education (P < 0.001). The educational experience rate was higher in the male subjects who did not smoke or were involved in high-risk alcohol consumption (P < 0.001). In addition, the rate of disease management education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both men and women who exercised by walking (P < 0.001). The use of nutrition labels was higher in females (9.9%) than males (5.8%), and both males and fema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young age, high education, high income, and professional and office positions (P < 0.001). The utilization rate of nutrition labels was high in non-smoking male subjects and high-risk-drinking female subjects. In addition, the utilization rate of nutrition labe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s and females who exercised by walking and those who experienced disease management education (P < 0.001). After adjusting for individu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and disease management education, the use of nutrition labels was high among females (OR 3.19, 95% CI 2.85-3.58), high income (Q4; OR 1.62, 95% CI 1.41-1.87, Q5; OR 1.58, 95% CI 1.37-1.84) and highly educated (high school; OR 2.87, 95% CI 2.62-3.14, above college; OR 5.60, 95% CI 5.02-6.23) while it was low in the elderly (OR 0.43, 95% CI 0.40-0.47), and economically inactive (OR 0.86, 95% CI 0.76-0.96). The use of nutrition labels was high in non-smokers (OR 1.29, 95% CI 1.13-1.48), nonhigh-risk drinkers (OR 1.22, 95% CI 1.08-1.38), and subjects who exercised walking (OR 1.44, 95% CI 1.34-1.54).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rate of nutrition labels according to obesity, and the utilization rate of nutrition labe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ho had experienced disease education (OR 1.34, 95% CI 1.24-1.44). Conclusions: Education on the use of nutrition labels, which contributes to food selection for healthy eating, might be a tool for dietary management. Moreover, the utilization rate can be a good indicator for predicting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practicing the guide for disease management. Improving the utilization rate of nutrition labels through disease management education can be a useful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who need healthy eating habits for disease management and preventing complications, particularly those diagnosed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임상 치과위생사의 치매 환자 치과 진료 시 주의 사항에 관한 지식측정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Tool to Measure Knowledge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on Precautions for Dental Treatment of Dementia Patients)

  • 김나현;문소정;노희진;한선영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79-89
    • /
    • 2023
  • 연구 배경 및 목적: 치매 유병률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치매와 구강 건강의 관련성에 대한 선행 연구들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임상 치과위생사는 적절한 치과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문적인 역량이 필요하며, 치과위생사의 지식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임상 치과위생사의 치매 환자 치과 진료 시 고려사항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예비문항을 구성하여 전문가 검증, 예비조사, 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조사는 임상 경력이 1년 이상인 치과위생사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타당도 분석,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여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문항별 정답률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수집된 자료 분석 결과, 총 40개의 예비문항 중 18문항이 삭제되어 총 6개 요인, 22문항이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문항의 Cronbach's α값은 0.791로 나타났다. 하위 항목 별 문항 수는 '치매 환자의 치과 진료 시 주의사항' 5문항, 치매 환자의 약물 부작용' 4문항, 치매 환자의 구강 관리 방법' 4문항, '치매 환자와의 의사소통' 4문항, '치매 환자의 심리적 반응' 3문항, '치매 환자 안내' 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정답률이 가장 높았던 문항은 '치매 환자 안내' 항목의 2번 문항이 98.6%, 정답률이 가장 낮았던 문항은 '치매 환자의 심리적 반응' 항목의 2번 문항이 5.9%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도구는 향후 임상 치과위생사와 치매 관련 후속 연구의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보수교육,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의료기관 내 업무 지침 개발의 기초 자료로 기여하고자 한다.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방사선(학)과 현장실습 의무화에 따른 인식 조사 (Investigation on the Perception of Mandatory Clinical Practice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Following the Amendment of the Medical Technologists Act)

  • 이정무;이용기;안성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93-300
    • /
    • 2024
  • 2023년 10월 31일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의 개정에 따라 방사선사 면허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현장실습과목을 필수로 이수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의료기관 현장실습의 실태를 조사하여 개정된 의료기사법을 알리고, 현장실습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2023년 3월부터 4월까지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지는 국내 포털사이트인 N사의 폼을 통해 받았으며, 응답자는 120명이었다. 현장실습 학생의 교육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68.3%인 82명이었다.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방사선사면허를 취득하기 위해 현장실습이 의무화된 사실을 알고 있는 응답자는 58%로 나타났다.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제9조 무면허자의 업무 금지 등에 따라 대학 등에서 취득하려는 면허에 상응하는 교육과정을 이수하기 위하여 실습 중에 있는 사람의 실습에 필요한 경우는 해당 의료기사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응답자는 50%로 나타났다. 현재 현장 실습 시 어떤 교육을 하는지 묻는 질문에 참관, 환자 안내 및 환자 자세 유지와 이동 외에 방사선을 발생시키는 행위를 하게 한다는 응답자는 6%로 나타났다. 면허 취득을 위한 현장실습이 의무화됨에 따라 앞으로의 교육 방향에 묻는 질문에 77%의 응답자가 현행보다 더 많은 것을 교육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현장실습의 적절한 전체 시간을 묻는 질문에는 12주 480시간이 35%, 8주 320시간이 33%, 16주 640시간이 27%로 나타났다. 현행 현장실습은 각종 규제에 따라 부실한 교육여건이며, 학생들의 만족도 또한 낮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이 개정됨에 따라 방사선사 면허를 취득하기 위해 현장실습이 의무화되었으며, 현장실습의 교육여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원자력안전법과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을 준수하며, 표준화된 실습 목표와 평가 시스템 도입, 수련 병원 지정과 교육 전담 방사선사 지정, 확대된 실습 기간과 모의실습을 도입하여 현장실습 교육의 내실화가 필요하다.

가족발달단계에 따른 간호요구영역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Area of Nursing Need by the Family Developmental Stage)

  • 최부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3-59
    • /
    • 1977
  • The Community Health Service considers the family as a service unit and places the emphasis of its service on the health problems and the nursing needs of the family rather than the individual. From the conceptual point of view that tile community health service is both health maintenance and health promotion of the family, the community health nurse should have a knowledge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family and be responsible for the comprehensive support of normal family development. The community health nurse often is in a position to make a real contribution to normal family develop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eas of nursing need and family development, the following objectives were established 1. To discove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 by the stage of family development. 2. To discover specific nursing needs in relation to the family developmental stage, and to determine the intensity of the nursing needs and the ability of the family to cope with these needs. 3. To discover overall family health nursing problems in relation to the family developmental stage and determine the intensity of the nursing need and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family. Definitions : The family developmental stages as classified by Dually were used stage 1. Married couples(without children) stage 2. Childbearing Families (oldest child birth to 30 months of age) stage 3. Families with preschool children (oldest child 2½-to 6 years) stage 4. Families with schoolchildren (oldest child 6 to 13 years). stage 5. Families with teenagers (oldest child 13 to 20 years) stage 6. Families as launching centers (first child gone to last child′s leaving home). stage 7. Middle- aged parents (empty nest to retirement) stage 8. Aging family member (retirement to death of both spouses) The areas of nursing need were defined as those used in the study, "A Comprehensive Study about Health and Nursing Need and a Social Diagram of the Community", by tile Nursing research Institute and Center for population. and Family Planning, July 1974. The study population defiled and selected were 260 nuclear families ill two myron of Kang Hwa Island. Percent, mean value and F- test were utilized in til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tudy result. Findings :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opulation by tile family developmental stage ; 1)The study population was distributed by the family developmental stage as follows : stage 1 : 3 families stage 2 : 13 families stage 3 : 24 families stage 4 : 41 families stage 5 : 50 families stage 6 : 106 families stage 7 : 13 families stage 8 : 10 families 2) Most families had 4 or 5 members except for those in stage, 1, 7, and 8. 3) The parents′ present age was older in the higher developmental stage and their age at marriage was also younger in the higher developmental stages. 4) The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was primarily less than elementary school irrespective of the developmental stage. 5) More than half of parents′ occupations were listed as laborers irrespective of the developmental stage, 6) More than half of the parents were atheists irrespective of the developmental stage. 7) The higher the developmental stage(from stage 2 to stage 6 ), the wider the distribution of children′s ages. 8) More than half of the families were of middle or lower socio-economic level. 2. Problems in specific areas of nursing need by family developmental stage, the intensity of nursing need and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family : 1) As a whole, many problems, irrespective of the developmental stage, occurred in tile areas of Housing and Sanitation, Eating Patterns, Housekeeping, Preventive Measures and Dental care. Problems occurring ill particular stages included the following ; stage 1 : Prevention of Accident stage 2 : Preventive Vaccination, Family Planning. stage 3 : Preventive Vaccination, Maternal Health, Family Planning, Health of Infant and Preschooler. stage 4, 5 : Preventive Vaccination, Family Planning, Health of School Children. stage 6 : Preventive Vaccination, Health of School Children. 2) The intensity of the nursing need in the area of Acute and Chronic Diseases was generally of moderate degree or above irrespective of the developmental stages except for stage 1. Other areas of need listed as moderate or above were found in the following stages: stage 1 : Maternal Health stage 3 . Horsing and Sanitation, Prevention of Accident. stage 4 . Housing and Sanitation. stage 5 : Housing and Sanitation, Diagnostic and Medical Care. stage 6 : Diagnostic and Medical care stage 7 : Diagnostic and Medical Care, Housekeeping. stage 8 : Housing and Sanitation, Prevention of Accident, Diagnostic and Medical Care, Dental Care, Eating Patterns, Housekeeping. 3) Areas of need with moderate problem solving ability or less were as follows : stage 1 : Diagnostic and Medical Care, Maternal Health. stage 2 : Prevention of Accident, Acute and Chronic Disease, Dental Care. stage 3 : Housing and Sanitation, Acute and Chronic Disease, Diagnostic and Medical Care, Preventive Measure, Dental Care, Maternal Health, Health of Infant and preschooler, Eating Patterns. stage 4 : Housing and Sanitation, Prevention of Accident, Diagnostic and Medical Care, Preventive Measure, Dental Care, Maternal Health, Health of New Born, Health of Infant and Preschooler, Health of school Children, Eating Patterns, Housekeeping. stage 5 . Housing and Sanitation, Prevention of Accident, Acute and Chronic Disease, Diagnostic and Medical Care, Preventive Measure, Dental Care, Preventive Vaccination, Maternal Health, Eating Patterns. stage 7, 8 : Housing and Sanitation, Prevention of Accident, Acute and Chronic Disease, Diagnostic and Medical Care, Preventive Measures, Dental Care, Preventive Vaccination, Eating Patterns , Housekeeping. Problem occurrence, the degree of nursing need and the degree of problem solving ability 1 nursing need areas for the family as a whole were as follows : 1) The higher the stages(except stage 1 ), the lower the rate of problem occurrence. 2) The higher the stage becomes, the lower the intensity of the nursing need becomes. 3) The higher the stages (except stages 7 and 8), the higher. the problem solving ability. Conclusions ; 1) When the nursing care plan for the family is drawn up, depending upon the stage of family development, higher priority should be give to nursing need areas ① at which problems were shown to occur ② where the nursing need is shown to be above moderate degree and ③ where the problem solving ability was shown to be of moderate degree. 2) The priority of the nursing service should be Placed ① not on those families in the high developmental stage but on those families in the low developmental stage ② and on those areas of need shown in stages 7 and 8 where the degree nursing need was high and the ability to cope low.

  • PDF

도서관조직의 기술혁신 및 행정혁신에 관한 조직상황론적 연구 (A Study on the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Innovation of Library Organization in the Perspective of the Contingency Theory)

  • 홍현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343-388
    • /
    • 1993
  • The ability of any organization to innovate itself in a rapid change of environment means the existence of the organization. Innovative activity is achieved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organization. the characteristics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various attributes in organization. In the present study. all the existing approaches to the innovative nature of organization were synthetically compared to each other and evaluated: then. for a more rational approach. a research model was built and suggested by establishing the inclusive variables of the innovative nature of library organization and categorizing the types of such nature. Additionally. an empirical. analytical study on such a model was done. That is. paying regard to the fact that innovation has basically a close relation with the circumstantial factors of organization. synthetic, circumstantial relations were clarified. considering th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In the study. the innovation of library organization was seen in two parts i.e .. the feasible degree of technical innovation and the feasible degree of administrative innovation. Regarding the types of innovative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feasible degree of innovation, four types such as a stationary type. technic-oriented type, organization-oriented type. and technical-socio systematic type were classified. There were nine independent variables-i.e., the scale of organization. available resources of the organization, formalization, differentiation, specialization. decentralization, recognizant degree of the technical attribute. degree of response to the change of technical environment, and professional activities. There were three subordinate variables - i.e., technical innovation, administrative innovation. and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 Through establishment of such variables, the factors which might influence the innovation of library organization were understood, and with the types of the innovative implementation of library organization being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easible degree of innovation. the characteristics of library organization were reviewed in the light of each type. Also. the performance of library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innovative implementation of library organization was analyzed.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types of innovative implementation according to circumstantial variables and the performance of library organization were clarified. In order to clarify the adequacy of the research model in the methodology of empiric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72 university libraries and 38 special libraries. and for a hypothetical test of the research model. an analysis of correlations,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One Way ANOVA were utilized. The following are the major results or findings from the study 1) It appeared there is a trend that the bigger the scale of organization and available resources are, the more active the professional activity of the managerial class is, and the higher the recognizant degree of technical environment (recognizant degree of technical attributes and the degree of response t9 the change of technical environment) is, the higher the feasible degree of innovation becomes. 2) It appeared that among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feasible degree of technical innovation, the order from the variable influencing most was first, the recognizant degree of technical innovation: second, the available resources of organization: and third, professional activity. Regarding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feasible degree of administrative innovation from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t appeared they were the available resources of organization, the differentiation of organization. and the degree of response to the change of technical environment. 3)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managerial class is, the more active the professional activity becomes. It seemed there is a trend that the group of library managers whose experience as a librarian was at the middle level(three years to six years of experience) was more active in research activity than the group of library managers whose experience as a librarian was at a higher level(more than ten years). Also, it appeared there is a trend that the lower the age of library managers is, the higher the recognizant degree of technical attributes becomes. and the group of library managers whose experience as a librarian was at the middle level (three years to six years of experience) recognized more affirmatively the technical aspect than the group of library managers whose experience as a librarian was at a higher level(more than 10 years). Also, it appeared that, when the activity of the professional association and research activity are active, the recognizant degree of technology becomes higher, and as a result. it influences the innovative nature of organization(the feasible degree of technical innovation and the feasible degree of administrative innovation). 4)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library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innovative implementation of library organization. it was indicated there is a trend that the larger the available resources of library organization, the higher the organic nature of organization such as differentiation. decentralization, etc., and the higher the level of the operation of system development, the more the type of the innovative implementation of library organization becomes the technical-socio systematic type which is higher both in the practical degrees of technical innovation and administrative innovation. 5)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types of innovative implementation and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 it appeared that the order from the highest performance of organization is the technical-socio systematic type, then the technic-oriented type, the organization­oriented type, and finally the stationary type which is lowest in such performance. That is, it demonstrated that, since the performance of library organization is highest in the library of the technical-socio systematic type while it is lowest in the library whose practical degrees in both technical innovation and administrative innovation are low, the performance of library organization differs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types of innovative implementation of library organization. The present study has extracted the factors influencing innovation, classified systematically the types of innovative implementation, and inferred the synthetical, circumstantial correlations between the types and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 and empirically inspected those factors. However, due to the present study's restrictive matters and the limit of the research design, results from the study should be more prudently interpreted. Also, the present study, as an investigative study of the types of innovative implementation, with few preceding studies, requires more complete hypothetical infer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 other words, if more systematical studies are given to understanding the relations, it will devote the suggestion and demonstration of a more useful theory.

  • PDF

여성 탈모증의 정신의학적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Psychiatric Characteristics of the Alopecia Areata in Female)

  • 이길홍;나철;이영식;이창훈;노병인;홍창권
    • 정신신체의학
    • /
    • 제8권1호
    • /
    • pp.31-45
    • /
    • 2000
  • 연구목적 : 여성 및 남성 탈모중의 개인적 특성이나 탈모양상, 정신의학적특성, 동반 신체질환 및 치료 방법에 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여성 탈모증의 치료 및 예방 지침을 수립하기 위해 연구를 시도 하였다. 방법 : 1998년 1월부터 12월까지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피부과에 내원하여 정신과로 의뢰된 여성 탈모증 환자 51명을 연구집단으로, 남성 탈모증환자 42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남녀별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9.0V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 처리를 하였고, 집단간의 차이는 교차 분석 및 변량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1) 여성일수록 남성에 비해 경제 수준이나 교육 수준이 낮고, 하류 직종에 종사하며, 부친이 무직자가 많고, 형제 자매 수가 많으며, 여자형제만 있는 비율이 높다. 2) 여성일수록 피부과 내원빈도가 많고, 최근 두정부나 전두부 탈모가 많으며, 여성가족 중에 탈모 경험자가 많은 반면에 남성 가족중에는 탈모자가 적고, 후두부 탈모가 적으며, 손톱의 변화는 적다. 3) 여성일수록 가정내 갈등이나 경제적 변화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가정내 갈등이나 내성적 성격으로 인해 갈등을 겪는 반면 직장문제나 건강 변화 등 생활 변동을 겪거나, 작업 수행 능력의 부진으로 인한 갈등은 적고 직장 적응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비율도 낮다. 4) 여성일수록 우울증이나 전환장애가 많고, 불안 증상들이나 우울 증상들을 흔히 호소하며, 불안수준이 높은 반면 신체화증상이나 강박증상은 덜 호소하며, 불안장애는 적다. 5) 여성일수록 남성에 비해 내향화 성향이나 허구 성향 억압 성향 여성화 성향이 높다. 6) 여성일수록 관절염이나 비뇨생식계장애가 많은 반면 위장관장애나 지루성피부염은 적다. 7) 여성일수록 etizolam이나 tretinoin은 많이 사용하는 반면 향정신성 의약품은 적게 사용하며, 특히 clotiazepam이나 prednicarbonate를 적게 사용한다. 결론 : 여성 탈모증 환자는 남성 환자에 비해 우울증이 많고, 불안 및 우울 증상을 흔히 호소하며, 가정 문제로 인해 발병하고, 내향화 성향이나 허구 성향, 억압 성향, 여성화 성향이 높다. 이 결과는 여성 환자가 남성 환자에 비해 더 심각한 정신병리를 보여 준다는 것을 의미하고, 여성 탈모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정신과적 개업이 필요함을 말해 주고 있다. 따라서 피부과 의사들은 병발하는 정신장애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정신과와 피부과가 공동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

  • PDF

학교급식 식재료별 시장가격 조사 실태 분석 (Analysis of Surveys to Determine the Real Prices of Ingredients used in School Foodservice)

  • 이서현;이민아;유재윤;김상효;김수연;이호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8-199
    • /
    • 2021
  • 본 연구는 현재 영양교사·영양사들의 식재료 가격 조사방법에 대한 실태 및 향후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모집단인 전국 11,818개교에서 비례층화 표본방법으로 약 10%의 학교를 추출하였다. 총 1,158개교에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그 중 회수된 439부(회수율 37.9%)는 SPSS(ver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현재 시장가격 조사 방법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식재료는 공산품(3.26점), 지역산 식재료(3.33점), 수산물(3.34점), 과일류(3.37점), 채소 및 서류(3.38점)로 나타났고, 이 중 공산품을 제외하고는 지역산 식재료를 포함하여 농산물로 대부분 구성되어있다. 식재료 시장가격 조사 시 공산품 7.94시간, 채소 및 서류 6.94시간, 친환경 식재료 6.25시간, 지역산 식재료 6.24시간, 과일류 6.16시간, 수산물 5.75시간 순으로 시간이 소요되며, 이는 식재료 시장가격 조사에 만족도가 낮은 식재료 종류와 중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학교에서 직접 가격 조사를 시행하는 빈도가 높은 식재료의 경우 공산품 227개교(52.9%), 과일류 168개교(38.5%), 특용작물 165개교(37.8%), 수산물 164개교(38.1%), 채소 및 서류 160개교(36.8%), 난류 144개교(33.3%), 절임가공품 150개교(37.9%)로 나타났다. 더불어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로 구분하여 현재 실시하고 있는 식재료 시장가격 조사 방법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는 식량작물, 채소 및 서류, 친환경 식재료, 지역산 식재료의 경우 학교급식지원센터에서 구성한 TFT에서 조사한 자료 사용에 대해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중·고등학교의 경우 인근 학교와 공동조사하거나 학교에서 직접 조사하여 활용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원하는 식재료 시장가격 조사 방법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의 경우 식량작물, 채소 및 서류, 특용작물, 과일류, 난류, 수산물, 친환경 식재료, 지역산 식재료의 경우 학교급식지원센터에서 구성한 TFT에서 조사한 자료 사용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물, 공산품, 절임가공품은 교육청에서 외부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제공하는 조사자료 사용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중·고등학교의 경우 모든 식재료 품목에서 교육(지원)청에서 구성한 TFT에서 조사한 자료 사용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교에서는 직접 식재료 시장가격을 조사하기보다는 공신력 있는 외부 기관이나 같은 교육(지원)청 내의 영양교사·영양사와의 협력을 통해 식재료 시장가격 조사에 투입되는 시간이나 비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도 교육청이나 교육지원청에서 구성하여 일괄 조사하거나 공인된 자료를 바탕으로 식재료 시장가격을 조사 및 분석, 외부 전문기관에 의뢰 등의 방법 개선이 필요하며, 각 지역의 학교급식지원센터와 같이 일괄적으로 식재료를 공급하는 곳에서 외부와 가격 비교가 어려운 식재료 품목만이라도 시장가격 공개 혹은 공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즉, 실제 학교급식에 납품되는 규격, 식재료 납품 단가 등에 대한 비교자료가 존재하지 않는 친환경 및 지역산 식재료의 경우 가격에 대한 평가가 불가능한 상황임을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시·도교육청에서 조사한 결과 혹은 학교급식지역센터에서 제공하는 가격정보를 바탕으로 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향후에는 홈페이지를 통해 학교급식에서 사용하는 식재료의 품목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더불어 정보의 질 유지를 위하여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주관하여 운영하거나 위탁하여 운영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학교급식 식재료 시장조사수집에 대한 현주소를 보여줄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물이 될 것이며, 향후 학교급식 식재료 가격 수집 및 공개방법에 대한 정책마련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