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Robots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5초

Comparison of Cultural Acceptability for Educational Robots between Europe and Korea

  • Choi, Jong-Hong;Lee, Jong-Yun;Han, Jeong-Hye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4권3호
    • /
    • pp.97-102
    • /
    • 2008
  • Europeans are much more rigid in their thinking on robots and especially have a negative view on robots as peers since they regard robots as labor machines. Recently, Korea invented several educational robots as peer tutors. Therefore, study was need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cultural acceptability for educational robots between Korea and Europe (Spain). We found that Europe seems to be much more rigid in its thinking on robots and especially has a negative view on educational robots. Korean parents have a strong tendency to see robots as 'the friend of children,' while on the other hand, European parents tend to see educational robots as 'machines or electronics'. Meanwhile, the expectation of children on educational robots showing identification content was higher in Europe than in Korea since European children are familiar with costume parties. This result implied that we may find a Korean market for educational robots earlier than a European market, but European children will be eager to play with educational robots even though their parents have a negative view of them.

교육용 로봇 활용 경험이 유아의 로봇 이미지 및 관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Robot Experience on Children's Robot Image and Relationship Recognition)

  • 이경옥;이병호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70-7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young children recognize the image of robots, and how the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and robots based on school experience. 20 children from kindergarten A had no direct experience with educational robots, whereas 20 children from kindergarten B had experience in using educational robots in their classroom. Total 40 children from age group 5 clas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collected data using interview and drawing tes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ng children recognized robots as having both the character of a machine and a human. But children with previous robot experience provided description of robots as a machine-tool. Both groups were not able to explain the structure of robots in details. Second, participating children understood that they can develop a range of social relationships with robots, including simple help to family replacement. There were mixed views on robots among the children with previous experience, but children with no experience described robots as taking the role of peers or family members. These findings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obots and related program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 Comprehensive Review on r-Learning: Authentic r-Learning Beyond the Fad of New Educational Technology

  • Jung, Sung Eun;Han, Jeonghy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2호
    • /
    • pp.28-37
    • /
    • 2020
  •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 previous research on r-Learning. By reviewing 843 previous studies about r-Learning published from 2004 to 2015, this study investigated 1) the trend of research on r-Learning over time, 2)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ed students in r-Learning, 3) the educational activities implemented for r-Learning, and 4) the types of educational robots used for r-Learning. The study found that the research on r-Learning has rapidly and steadily increased and the types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educational robots has been diversified. Relying on the findings of this review, this study suggests 1) ensuring growth in both the quality and the quantity of research on r-Learning, 2) broadening the target student population of r-Learning beyond the age-limited boundaries, 3) enhancing educational activities of r-Learning, and 4) recognizing the necessity for systematic and clear concepts of types of educational robots.

교구로봇을 활용한 활동이 유아의 논리-수학적 지식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vities using Hands-on Robots on Logic-Mathematical Knowledge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 김상언;김상희;장지은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87-296
    • /
    • 2017
  • Robots are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new instructional media, and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robots have been increase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ducational activities using hands-on robots on logic-mathematical knowledge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43, and they were all five-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id activities with hands-on robots and general free activities, respectively. Results using ANCONA have shown that the activities with hands-on robots positively affected logic-mathematical knowledge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se meaningful results have shown the possibi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use as the effectiveness of hands-on robots has come out.

교육 환경 내 소셜 로봇의 도입과 역할 제안 (A proposal for the roles of social robots introduced in educational environments)

  • 신호선;이강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861-870
    • /
    • 2017
  • 본 논문은 R-learning의 연장선에서 교육 환경 내의 소셜 로봇 도입과 함께 소셜 로봇의 역할에 대해 제안한다. 소셜 로봇은 개체 특히, 인간과의 소통과 상호작용을 목적으로 하는 로봇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교육 환경에서 활용되었던 로봇의 역할은 물론, 소셜 로봇의 목적에 걸맞게 교육 환경 구성원과의 상호작용과 소통을 수행하는 역할을 제안한다. 이에 대한 설명을 돕기 위해 소셜 로봇 jibo의 SDK를 활용하여 간략한 가상 시나리오를 구현하여 예시로 보인다. 시나리오는 교육적 환경에서 이용자와의 가벼운 상호작용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며, jibo SDK에서 jibo의 외적 반응을 제어하는 animation 파트와 내적인 반응을 제어하는 behaviors 파트를 활용하여 제작되었다. 교육 환경 내의 투입된 소셜 로봇은 구성원과의 상호작용 및 소통과 접목된 여러 기술들을 기반으로 환경 내의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집한다. 결과적으로 이를 통해 교육 환경에 대한 데이터와 정보를 제공받아 교육환경 내의 문제점의 도출, 환경 자체의 발전 및 새로운 교육 환경의 설립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새로운 시대의 교육에서 AI 교육 로봇의 응용 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 (Meta-analysis of the Application Effect of AI Educational Robots in Teaching in the New Period)

  • 추이지엔동;송승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2-54
    • /
    • 2021
  • 인공 지능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로봇 교육과 그 역량 강화에 대한 교육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적용되고 적용되었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 : 학생 교육 및 교육에서 AI 교육 로봇의 응용 효과를 체계적으로 평가; 본 연구의 방법 : 컴퓨터를 사용하여 "Web of Science", "CNKI", "ERIC", "IEEE"와 같은 검색 도구에서 관련 교육을 검색하십시오. 로봇 티칭과 전통적인 티칭의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검색 시간은 2000 년 1 월부터 2020 년 1 월까지입니다. 포괄적인 MetaAnalysis 2.0을 메타 분석에 사용했습니다. 본 연구 결과 : 31 개의 유효한 연구 문헌에 대한 정량 분석과 메타 분석이 AI 교육 로봇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분석 결과 AI 교육 로봇이 학생 학습 효과에 미치는 효과는 0.465임 이는 교육용 로봇이 학생의 학습 효과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나타냅니다. 이 연구의 결론 : 학생 교육 및 교육에서 AI 교육 로봇의 적용 효과는 전통적인 교육 방법보다 우수하며 학생 학습을보다 효과적으로 홍보 할 수 있습니다.

  • PDF

r-Learning에서의 로봇보조학습 (Robot-Assisted Learning in r-Learning)

  • 한정혜;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97-508
    • /
    • 2009
  • 최근 지능형 교육서비스로봇을 이용한 교육적 효과가 입증되면서, 유치원에 상용화가 시작되었으며, 2010년에는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 영어수업을 위한 기술 개발과 필드 적용 연구가 진행되어 로봇보조학습, 즉 서비스로봇에 의한 r-Learning 패러다임의 본격적인 도래를 예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로봇의 개념과 종류를 정의하고,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서비스 로봇에 의한 로봇보조학습으로서의 r-Learning의 특성을 살펴보고, u-Learning과의 차별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로봇보조학습의 콘텐츠와 서비스에 대해 정의하였으며, 로봇보조학습 서비스 모델과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고 관람 진화적인 측면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로봇보조학습 서비스 시장을 위하여 교육 및 연구기관, 정부기관, 로봇산업체가 준비해야할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 PDF

코딩 학습용 로봇 제어를 위한 관찰 기반 움직임 제어 (An Observation-based Movement Control for Educational Coding Robots)

  • 박경복;조성현;서범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31-142
    • /
    • 2016
  • 소프트웨어 교육이 초중등 정규 교과목으로 편재됨에 따라 코딩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코딩 교구 시장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로봇용 코딩 교구 시장은 로봇의 부정확한 움직임 제어 때문에 코딩교육의 본질을 벗어나 장난감으로서의 기능에만 충실한 경우가 많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6개의 라인센서의 관찰 정보를 바탕으로 로봇의 전진 이동, 회전 이동을 보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방안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보드 게임과 유사한 코딩 학습용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코딩을 통해 로봇을 제어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을 활용하여 로봇의 실제 움직임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에 따르면 다양한 명령어를 수행한 결과 거리측면에서는 최대 1.57cm, 각도측면에서는 2.38도의 오차를 보고하고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을 활용하면 향후 코딩교구 시장에서의 로봇의 활용도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OID센서로 주행하는 교육용 로봇의 주행 개선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riving of Educational Robots with OID Sensors)

  • 송현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549-557
    • /
    • 2021
  • 본 연구는 교육용 로봇 중 한 종류인 스마트로봇을 대상으로 기존의 OID 센서 환경을 이용하되 주행의 문제점을 프로그램으로 처리하는 것을 제안 하고자 한다. 주행 정보를 가지고 있는 지도환경, 위치인식, 경로계획, 장애물 회피 및 경로 재설정을 중심으로 주행 테스트 환경을 구축했으며 평균적인 최종 오류 률이 아니라 오류가 증가하는 시점을 재보정의 순간으로 잡아야 한다는 가정을 통해 실험을 진행했다. 그 과정을 통해 선행실험에 비해 안정적인 주행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가 현재 판매되는 저가형 센서를 장착한 교육용 로봇들의 주행 성능을 올릴 수 있는 개발방법이 될 것이라 본다.

교구로봇 호환성을 위한 체결구 부품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ing Key Fastening Parts for Compatibility of Teaching-Aids-Robots)

  • 문전일;류영선;안진웅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0-17
    • /
    • 2011
  • This paper deals with researching and designing the fastening parts to be used in order to assemble various Teaching Aids Robots (or Hands-on Robots) with originally incompatible parts supplied by different manufacturers. The suggested fastening parts provide the compatibility among Teaching Aids Robots even though the educational robot customers use incompatible parts from different companies. The designed fastening parts are classified into four set groups such as frame set, sliding-bar set, connector set, and set of chuck and rivet/bolt. Each set of the fastening parts reflects the needs collected from the users, and then some portion of new idea has been added to implement the needs. In this paper, the examples of the Teaching Aids Robots which are assembled with both commercial parts and the designed parts are presented in order to evaluate the compatibility and usability of the suggested fastening parts. As a result, both compatibility and usability of the fastening parts suggested in this paper were proved. The designed fastening parts have been distributed to more than 100 elementary schools nationw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