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Effects

검색결과 2,657건 처리시간 0.028초

초저출산은 지속될 것인가? (Is Lowest-Low Fertility going to Continue in Korea?)

  • 정성호
    • 한국인구학
    • /
    • 제33권2호
    • /
    • pp.113-136
    • /
    • 2010
  • 초저출산에 관한 논의는 장래 인구추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초저출산 추세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이 가능하다. 첫째, 초저출산 경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인가 혹은 가까운 장래에 사라질 일시적인 현상인가 하는 질문이다. 둘째, 현재의 초저출산은 가장 낮은 수준에 이르렀는지 혹은 앞으로도 더욱 감소할 것인지에 관한 질문이다. 셋째, 초저출산 현상은 세계적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는지 혹은 남부 및 동부 유럽과 같은 지역에 한정되어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다. 이러한 질문들과 연계된 이슈들은 장래의 인구학적 연구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앞에서 제기한 질문들에 대한 답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초저출산 추세는 일시적인 추세가 아니라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혼인연령과 출산력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이 쉽게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 역시 초저출산이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한다. 둘째, 초저출산의 수준에 관한 것으로 앞으로 출산수준이 더 낮아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최근 초저출산을 가져온 다양한 요인들이 개선되지 않거나 초저출산 추이를 막기 위한 정책이 미흡하면 현재보다 더 낮은 출산 수준이 나타날 가능성은 높기 때문이다. 셋째, 유럽의 경우와 다르게 한국, 타이완, 홍콩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초저출산이 지속되고 있는 이유는 아마도 자녀양육 및 교육에 대한 부담이 너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높은 교육비 부담과 육아부담을 줄이는 정책적 고려 없이 출산율이 회복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난망 하다는 지적에 주목해야 한다.

류마티스 관절염환자의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기능 (Function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최순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3-89
    • /
    • 1996
  • This study has been done for the purpose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s attributable to an overall beneficial effect of support(direct effect) or to a process of support protecting persons from adverse effects of stressors such as life events, pain or physical disability (buffering effect). The sample consisted of 214 patients who were identified as the rheumatoid arthriti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Depression Scale(CES-D),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Life Events Questionnaire, AIMS Pain Scale, and Physical Disability Scale. The data were analysed by the use of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1st hypothesis, "The higher the life events degree, the higher the depression degree" was supported(r=.49, P=.0001). 2. The 2nd hypothesis, "The higher the pain degree, the higher the depression degree" was supported(r=.44, P=.0001). 3. The 3rd hypothesis, "The higher the physical disability degree, the higher the depression degree" was supported (r=.46, P=.0001). 4. The 4th hypothesis,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degree, the lower the depression degree" was supported(F=84.52, P=.0001). 5. The 5th hypothesis, "There will be differ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s of life events and depression according to social support degree" was rejected (F=.29, P=.5928). 6. The 6th hypothesis, "There will be differ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s of pain and depression according to social support degree" was supported (F=3.19, P=.0755). 7. The 7th hypothesis, "There will be differ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s of physical disability and depression according to social support degree" was supported(F=5.69, P=.018). 8. The predictive variables for depression were the degrees for social support, life events, pain, and physical disability. 9. The depression degree showed a invers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degree (r=-.56, p=.0001). The social support degree showed a inverse correlation with the degrees of life events(r=-.22, p=.0007), pain(r=-.18, p=.0069) and physical disability(r=-.15, p=.0293). 10. The depression degre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sex (t=2.26, p=.025), educational level(r=.189, P=.006) and the number of treatment method (r=.201, P=.003).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had the direct effect on depression and the buffering effect in each relationship between degrees of pain or physical disabili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So the researcher thinks that it is effective that nurses should provide these patients with social support to reduce depression in cases of having severe pain or physical disability.

  • PDF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대한 연구 (A Study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y as a Language Intervention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Language Delayed Infants.)

  • 서의정;김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09-118
    • /
    • 2016
  • 본 연구는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대해 알아보고 현장에서의 효율적인 교수학습 및 환경구성을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E아동발달센터에 재원 중인 만3세 유아 3명(남아 2명, 여아 1명)을 대상으로 각 연령 별 발달을 고려한 주제를 각각 선정하여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를 실행하였다. 언어중재는 1주에 1회 50분씩 총 25회에 거쳐 실시하였고, 어휘는 요리동사 및 명사가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은 그림 어휘력검사(PPVT-R),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RLA) 및 표현언어(ELA) 발달 검사(PRES)를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를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에게 실시한 결과 어휘력, 수용언어, 표현언어, 통합언어 모두 정상언어발달수준에 도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만3세 유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활동임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요리활동은 유아의 능동적인 참여와 흥미를 유발 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경험을 통해 언어능력을 신장 시킬 수 있다고 본다.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n individualized nutrition counseling program matched with a transtheoretical model for overweight and obese females in Thailand

  • Karintrakul, Sasipha;Angkatavanich, Jongjit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4호
    • /
    • pp.319-326
    • /
    • 2017
  • BACKGROUND/OBJECTIVE: Effective weight reduction remains a challenge throughout the world as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its consequences are increasing.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n individualized nutrition counseling program (IC) matched with a transtheoretical model (TTM) for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SUBJECTS/METHODS: Fifty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aged 19-60 years with a body mass index ${\geq}23kg/m^2$ were enrolled in the weight reduction study. They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Intervention group received an IC matched with a TTM; control group received an educational handbook. Body weight (BW), body fat (BF), waist circumference (WC), waist to height ratio (WHtR), stages of change (SOC), processes of change (POC), food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PA)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at 4, 8, and 12 weeks after program initiation in both groups. All data were analyzed by intention-to-treat, using SPSS software for hypothesis testing. RESULTS: Forty-five female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12-week trial at Ramkhamhaeng Hospital, Bangkok, Thailand.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weight loss ($1.98{\pm}1.75kg$; 3% loss of initial weight) in the intervention group at 12 weeks, compared to a $0.17{\pm}1.67kg$ loss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in BF mass ($-1.68{\pm}1.78$, $-0.04{\pm}1.62kg$); percentage BF ($-1.54{\pm}2.11$, $0.08{\pm}2.05$); WC ($-5.35{\pm}3.84$, $0.13{\pm}3.23cm$); WHtR ($-0.0336{\pm}0.02$, $-0.0004{\pm}0.02$), and energy consumption ($-405.09{\pm}431.31$, $-74.92{\pm}499.54kcal/day$) i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Intragroup SOC was improved in both groups. The POC for the weight management action (WMA) proc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POC scores increasing by $16.00{\pm}11.73$ and $7.74{\pm}14.97$ in the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s, respectively. PA level did not change in either group. CONCLUSIONS: The IC matched with a TTM resulted in reductions in BW, BF, and WC, thus reducing likely health risks by decreasing energy intake and inducing positive behavior changes while enhancing the WMA process.

청소년을 위한 정신건강 개입 : 사회불안을 중심으로 한 학교-기반 프로그램 (Mental Health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 A School-Based Program to Address Social Anxiety)

  • 허은혜;남지애;고부성;김정은;이창화;최경숙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8-98
    • /
    • 2018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chool-based mental health intervention. The success of which was indexed by its effects on the social anxiety symptoms of the enrolled adolescents. Methods : This program for promoting mental health among adolescents in the community was adopted by three middle schools that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The program included screening for emotional problems related to social anxiety, depression, suicid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ase management was provided for groups considered high-risk for depression, suicide, 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gnitive-behavior therapy was provided for those at high-risk of developing social anxiety. Additionally,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a "loving life" module, and mental health promotional campaigns were also included. In total, 1,100 middle school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Twenty-five students in the high-risk group for social anxiety participated in a cognitive-behavior therapy program, comprising eight sessions, and conducted by two clinical psychologists. Results : Following the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suicide awareness among students increased and coping strategies were improved. In addition, the loving life program was associated with positive self-perceptions by many students. Furthermore, social anxiety symptom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e cognitive-behavior therapy program. After the therapy, not only did social anxiety symptoms improve,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 : A school-based mental health intervention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in three middle schools and improved the mental health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Therefore, this intervention could be widely implemented to promote positive mental health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미국 다문화 특수학급의 학부모 및 전문가의 의사소통, IEP, 교수전략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s and Professionals Communication, IEP, Teaching Strategies in the Multicultural Special Classes)

  • 김현욱;김정민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1-22
    • /
    • 2017
  • 본 연구는 미국의 다문화장애학생 교육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와 학부모 및 전문가의 의사소통이 개별화 교육계획(IEP)과 교수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관련 변인들을 탐색하고, 이들 변인 사이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2015~2016년에 걸쳐 미국의 초 중 고 특수교사 406명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AMOS 21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IEP와 교수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간의 상관계수는 전체적으로 -.044에서 .489로 높은 유의수준을 나타났으며, 특히 교수전략과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전문가의 의사소통보다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489)를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은 개별화 교육계획과 교수전략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고, 전문가와의 의사소통은 교수전략에만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다문화 장애학생에 대한 개별화 교육계획의 수립은 학부모와의 원만한 의사소통을 통해 보다 실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교수전략은 전문가 및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증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장차 한국에서도 적용되어야 할 다문화 특수교육에서, 다문화 장애학생의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자녀에 대한 관심과 의견이 IEP와 교수전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관련 지원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역코스로 회귀하였다.

부모-자녀관계가 아동의 대인관계 및 정신건강을 매개로 학교생활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와 양부모의 다집단 분석- (The Effect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on School Life Happiness, mediated by Childre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Mental Health -Multi-Group Analysis on single-parent and two-parent famillies-)

  • 김현숙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5호
    • /
    • pp.113-141
    • /
    • 2016
  • 본 연구는 부모-자녀관계와 학교생활 행복의 관계에서 자녀의 대인관계와 정신건강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이러한 구조모형 속에서 한부모 자녀와 양부모 자녀는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자료(2차년)를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6,643명(한부모 756명, 양부모 5,887명)이다. 연구방법은 AMOS 18.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자녀는 양부모 자녀보다 대인관계, 정신건강, 학교생활 행복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관계와 학교생활 행복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와 정신건강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총효과를 통해 아동의 학교생활 행복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살펴본 결과 대인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부모 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 연구모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The Convergent effect of Nurses' Image and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 조은주;박정훈;임경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329-337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사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B시 소재 K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학생 117명의 설문을 수집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정체감 정도의 차이는 학년과 학과선택 동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간호사이미지 및 전공만족도와 진로정체감의 상관관계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수 학생간의 관계만족으로 나타났고, 간호사이미지는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수 학생간의 관계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이나 교육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교수 학생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및 진로지도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 study on work-family compatibility of female wage workers with underage children

  • Kang, Myung-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71-181
    • /
    • 2020
  • 본 연구는 미성년 자녀를 둔 임금근로 여성의 일과 가정의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실증 연구이다. 분석 자료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여성가족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7차 웨이브의 1,1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사회적 지원(가정 내 지원, 모성보호 지원, 보육 및 교육서비스)'과 '일자리 특성', '인구사회학적 변인', '남편의 특성'이 '일과 가정의 양립' 및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남편의 직장생활지지, 기업 내의 성차별, 여성의 교육연수는 일과 가정의 양립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기업 내의 성차별, 보육 및 교육시설 이용도, 미성년 자녀수, 남편 연령, 남편의 돌봄 도움만족도, 남편의 직장생활지지는 일과 가정의 갈등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일과 가정의 양립을 강화하는 방향이 장기적인 정책 방향이라면, 단기적으로는 갈등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의 보완 및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미성년 자녀를 둔 임금근로 여성들의 모성보호와 일과 가정의 양립을 강화시키기 위한 객관적이고 학술적인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동안 적용한 SBAR 보고교육이 의사소통명 확성, 의사소통만족도, 보고자신감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BAR Report Education on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Satisfaction, Reporting Confid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 정애화;김지영;문미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129-1142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동안 적용한 SBAR 보고교육이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 만족도, 보고자신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이며 2개 대학교에서 임상실습을 6주 이상 완료한 3학년을 편의 추출하였다. 대상자 수는 SBAR 보고교육을 받은 103명과 교육을 받지 않은 113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등으로 분석하였다. 의사소통명확성과 의사소통능력은 양의 상관관계(r=.52, p<.001)가 있었고, 보고자신감은 의사소통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r=.53, p<.001)가 있으며, 의사소통능력은 보고자신감과 양의 상관관계(r=.46, p<.001)가 있었다. 의사소통능력은 의사소통명확성(𝛽=.29, p<.001), 의사소통만족도(𝛽=.43, p<.001), 보고자신감(𝛽=.15, p=.009)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49.0%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에게 임상실습 중 실무능력을 파악하여 보고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교육적 제도와 교수방법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