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Homepage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31초

아바타가 학급 홈페이지 몰입 및 초등학생의 사이버 자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vatar on the Immersion of Elementary Class Homepage and the Students Cyber-Self)

  • 김성원;정인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473-482
    • /
    • 2005
  • 학급 홈페이지는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이버 공간의 부정적 측면을 어느 정도 자연스럽게 해소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연습의 장으로, 교사와 동료 학생, 부모님과의 의사교환의 장으로, 학습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업적 온라인 커뮤니티에 비해 몰입 요소가 부족하여 쉽게 식상해 하곤 한다. 따라서 학급 홈페이지의 구축 목적을 충분히 도달하기 위해서는 몰입 요소가 필요하며, 이러한 몰입 요소로 아바타를 활용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바타가 학급 홈페이지 몰입 및 초등학생의 사이버 자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학급 홈페이지의 구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몰입 요소로서 아바타가 충분히 작용할 수 있다는 것과 아바타의 활용이 초등학생들의 긍정적 사이버 자아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웹 접근성 지침에 의한 교육용 홈페이지의 적용 방안 및 비교 분석 (An Application Scheme and Comparison for the Education Homepage By the Web Accessability Guidelines)

  • 정덕길;이종훈;노영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142-1147
    • /
    • 2008
  • 최근 인터넷 웹 콘텐츠의 접근성에 대한 표준화의 준수와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정부와 공공기관 그리고 기업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형 인터넷 웹 접근성 지침에 대하여 살펴보고, 웹 접근성 평가 도구인 KADO-WAH를 활용하여 교육 관련 홈페이지를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라서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평가 결과 나타난 오류와 경고 항목을 평가보고서에서 요구하는 방향으로 수정하여 교육용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그리고 KADO-WAH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교육 관련 기관의 홈페이지를 평가하고 이들 홈페이지의 웹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비교 분석한다.

학교와 가정 사이의 의사소통을 강화한 모바일 학급 홈페이지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Class Homepage for Reinforcing Communication between School and Home)

  • 홍연호;전우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7-37
    • /
    • 2005
  • 최근 무선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든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무선인터넷 기술이 발달함으로써 우리 생활에서 휴대폰을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초등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은 아직까지 미비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무선인터넷 기술을 초등교육 현장에 적용하며 학부모를 대상으로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모바일 학급 홈페이지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모바일 학급 홈페이지의 특징은 첫째, 유 무선 홈페이지의 연동으로 학부모들은 쉽게 접할 수 있는 정보기기를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제한받지 않고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유선과 모바일 홈페이지에서는 공지사항과 알림장 확인이 가능하고 자료실, 게시판은 유선 홈페이지에서만 운영하였다. 둘째, 모바일 홈페이지는 작은 화면과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 텍스트 위주로 핵심 정보를 전달하였다. 셋째, 학생 개인과 관련된 정보는 컴퓨터와 핸드폰을 이용하여 학부모에게 문자 서비스로 제공하였다.

  • PDF

학급 홈페이지를 활용한 사이버 상담실 구축 및 운영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Cyber Counseling Service System using Class Homepage)

  • 허홍무;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27-137
    • /
    • 2005
  • 사이버 상담실에 대한 다수의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이버 상담실 운영의 필요성과 장점으로 인해 사이버 상담실을 운영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사이버 상담실은 장점만 있는 것이 아니고 익명성으로 인한 단회적 접근, 관계 형성의 어려움 등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갖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상담실 운영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사이버 상담실 운영 방안을 연구해 보고자 학급 홈페이지를 활용한 사이버 상담실을 구축하고 운영하였다. 그 결과, 학급 홈페이지를 통한 사이버 상담실 운영은 다양한 상담 방법을 제공하여 아동과 교사, 학부모의 상담 욕구를 충족시켜 주었고, 사이트온 기능을 이용하여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유발할 수 있었으며, 학급 홈페이지의 관심을 끌만한 메뉴 구성은 아동과 학부모를 사이버 상담실까지 유도하는데 효과적이었고, 이메일 상담보다는 비밀게시판과 상담사례 제공이 오히려 더 선호하는 상담도구였다. 또한 상담 아동에 대한 사전 정보 습득, 계속적인 관찰이 가능한 환경 등은 상담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하여서 기존 상담실의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었다.

  • PDF

지식공유기법을 활용한 학급 홈페이지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lassroom Homepage Using Wiki)

  • 김유성;유인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3-22
    • /
    • 2006
  • 학생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와 자원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정보를 선별하고, 지식으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남에게 전달하는 등 복합적인 지적능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학생들이 접하는 대부분의 학교, 학급 홈페이지는 정보만을 제공할 뿐, 학생들이 정보를 지식으로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 미흡하다. 이는 학습자들이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비율을 낮추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정보를 이해하고 해석하여 지식으로 변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식공유기법을 활용한 학급 홈페이지를 개발하였다. 이 홈페이지는 학생들이 지식공유를 할 수 있도록 위키식 지식공유기법과 질문답변식 지식공유기법을 사용하였다. 실험 적용 결과, 학생들이 습득한 정보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능력이 높아졌으며, 암묵지를 형식지로 바꾸는 능력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을 공유 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였으며, 자연스럽게 홈페이지 접속율도 높아졌다.

  • PDF

인터넷 웹기반 가상강의 홈페이지 자동개설 툴킷의 구현

  • 곽재홍;김정헌;최재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372-378
    • /
    • 1999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automatically implementing a Multi user server education system and homepage via web browser from toolkit embedded Multi user server unix server Perl programming language and c language was used to make this toolkit. With using window based web browsers, the user can make they own classroom homepag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ingle user server version and Multi user server version of this toolkit. With use of ftp, the Multi user server version of this toolkit can make homepage to other unix server workstation

  • PDF

가상강의 홈페이지 자동 개설 툴킷의 제작과 활용 (Toolkit manufacture for automatically implementing a Remote Education System and Homepage)

  • 최재원;김정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99-103
    • /
    • 1999
  •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을 할 수 있는 인터넷상의 가상 강의실이 인터넷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현재 많이 개설되고 있다. 그러나 가상강의 홈페이지를 개인이 개설하려면 여러 가지 어려운 기술적인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본 가상강의 홈페이지 자동 개설 툴킷은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 입력만으로 자동으로 가상 강의실과 홈페이지가 개설되는 toolkit으로 perl과 c 언어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 PDF

올바른 외식지도를 위한 청소년용 영양교육 사이트(Health14.net) 개발 (Development of the Computer-assist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f Eating-out Guidance for Teenagers)

  • 배은영;이경혜;류은순;허은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62-476
    • /
    • 2007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nutrition education internet program for correcting the eating-out behaviorial problems of youth. A surve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ating-out behavior patterns of youth by questionnaires.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survey results, and evaluated by teenagers. The results of the developed homepage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www.health14.net) consist of '${\times}$ Health (Teenager, My Health, Healthy life, Beautiful life)', '+ Nutrition (To find slow foods, Fast foods campaign, Selecting fast foods, The best menu for eating-out, Recipes for health, Golden bell nutrition quiz)', '${\div}$ Information (Diet mini-homepage, Q & A, My knowhow, Game, Community)' and 'Basic Menu (home, Log in, Information and news, Mini-homepage, Site map, Free bulletin board)'. It can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for dietary behaviorial changes in school. Also teachers and parents could get information on eating-out menus. Through this site, we anticipate contributing to nutritional health promotion by correcting the eating-out habits of youth.

e-PBL에 의한 '생태와 환경' 수업 사례 ('Ecology & Environment' Learning Case by e-PBL)

  • 이명순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9권2호
    • /
    • pp.108-121
    • /
    • 2006
  • Nowadays environmental education is getting important. So, it is necessary to teach for students to realize the protection environment. Self-direct homepage was developed for 'Ecology & environment'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homepage was made for sharing searched data and can be interactive each other on the internet. Therefore, in this study, environmental teaming was planned and practiced for high school 'Ecology & environment' class by e-PBL. Self-directed teaming, collaborative teaming and performance assessment are emphasized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PBL is efficient learning model for them. This study designed for a teaching and teaming method and strategies using PBL based upon the theories and practices. This study will also develop an e-learning. As a result, it is indicated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PBL has the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that the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collaboration teaming Is observed by reflect journal and presentation of students. e-PBL is a teaming model for learning-centered that adapted many school and subject. Therefore e-PBL makes full use of be 'Ecology & environment' clas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DF

식품첨가물 Risk Communication 전략 모형 개발 및 교육용 홈페이지 구축 (Development of Risk Communication Strategy and Educational Homepage on Food Additives)

  • 김상미;김정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40-25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risk communication (RC) strategy and educational web-site on food additives for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parents to improve their perception on food additives and dietary life. First of all, a survey was conducted from 1,200 elementary children and their parents to diagnose the perception and information needs on food additives. The survey revealed that most children and their parents did not have enough knowledge on food additives and demanded the safety information on food additives. Second, previous researches on food communication were analyzed to develop a risk communication model, and it was directly applied in this study. Third, a web site (www.foodnara.go.kr/foodaddy) was developed to upload the education materials along with up-to-date information and classroom activities for teachers on food additives. Fourth, the developed homepage was evaluated by applying to about 100 children and parents each, and majority of them showed high levels of understanding (children 85.7%, parents 79%) and satisfaction (children 77.2%, parents 64%), and the effect of getting over the prejudice against food additives was observed. The RC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any food risk communication, and the content and materials in this web site including booklets, animations, and quiz could be used effectively to promote the communication on food additive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advertise the web site to be utilized by various consumer levels and to update the contents continuously by developing consumer-friendly communication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