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Experience

검색결과 7,293건 처리시간 0.037초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치과위생사의 지식과 인식도 및 실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Hygienist'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 최예진;강현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16-42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위생사들의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지식, 인식도 및 실천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치과위생사의 개인정보보호에 관련된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의료기관에서 개인정보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2014년 11월 7일부터 2015년 6월 30일까지 연구의 목적 및 취지 등에 대해 설명한 후 동의를 구한 뒤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부산, 경남 소재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10부가 자료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10년 이상 근무경력자는 실천정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5), 실장 이상의 직위에서 지식이 높고(p<.01), 실천정도(p<.05)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10~20명의 근무자가 근무하는 병원(p<.05)에서 인식정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지식, 인식도 및 실천도의 상관관계에서 지식이 높으면 인식도와 실천도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1). 개인정보보호의 지식, 인식도가 치과위생사의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지식(.231)과 인식도(.212)는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개인정보보호의 실천도를 높이려면 지식의 함양과 인식의 전환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치과위생사 대상의 교육이 절실하다고 생각된다.

환경영향을 저감한 신형 조력발전기술 적용성 검토 (Applicability of a new tidal power system with reduced environmental impact)

  • 박영현;윤대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12-117
    • /
    • 2017
  • 최근 10 여 년간 신재생 에너지 개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한국의 서해안은 전 세계에서 조력발전이 가장 유리한 지역 중 하나이다. 방조제 방식의 조력발전은 오랜 기간 동안 설치 및 운영을 거쳐 조력발전을 대표하는 방식이지만, 여러 환경영향을 이유로 향후 조력발전 사업 추진이 지연되거나 중단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조제 방식이 가지는 환경영향을 최소화한 신형 조력발전 기술을 서해안 조력발전 후보지에 적용하고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신형 조력발전 기술은 Dynamic Tidal Power (DTP)로 불린다. 신형 조력발전 기술의 검증은 실험실이나 현장에서는 불가능하므로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신형 조력발전 기술은 해안으로부터 수십 km의 둑을 설치한 후, 둑의 양측에서 회절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차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게 된다. 이론상으로는 조차의 2배에 가까운 발전을 할 수 있어, 조차가 작은 지역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방조제 방식과 달리 바닷물을 가둘 필요가 없어 환경영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서해안의 경우 조위차가 크고, 대도시가 인접하고 있어 적합한 후보지로 생각된다.

간호사의 직장 내 집단약자 괴롭힘,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the Workplace Bullying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sion of Nurse)

  • 박미숙;오청욱;한혜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66-173
    • /
    • 2018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장 내 집단약자 괴롭힘,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충청북도의 종합병원에서 간호사 1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16년 11월 1일부터 12월 25일까지 자가 보고식의 구조화된 설문지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을 이용하여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직장 내 집단약자 괴롭힘은 1.46점(4점 만점), 사회적 지지는 3.55점(5점 만점), 이직의도는 3.30점(5점 만점)이었다. 상관관계에서 이직의도와 직장 내 집단약자 괴롭힘(r=.218, p=.012)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이직의도와 사회적 지지(r=-.363, p<.001)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beta}=.-.268$, p<.009), 임상경력(${\beta}=.706$, p<.001), 직장 내 집단약자 괴롭힘(${\beta}=.183$, p<.03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직장 내 집단약자 괴롭힘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직장 내 집단약자 괴롭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할 필요가 있다.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 대인돌봄행위와 생명의료 윤리의식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ty,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 and Biomedical Ethics in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 김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10-418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 대인돌봄행위와 생명의료 윤리의식 정도를 파악하고, 세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와 충청도 소재 3개 대학에 재학 중이며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학과 3~4학년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10일부터 10월 1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 대인돌봄행위, 생명의료 윤리의식은 평균 112.23점, 3.95점, 2.03점으로 나타났다. 인권감수성은 전공 만족도(t=3.320. p=.001), 임상 실습 만족도(t=2.557, p=.012), 실습 동료와의 관계(t=4.234, p=.00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인돌봄행위는 전공 만족도(t=3.423. p=.001), 임상실습 만족도(t=4.364, p=.000), 실습 동료와의 관계(t=3.708,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생명의료 윤리의식은 전공 만족도(t=-2.404, p=.01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인권감수성은 생명의료 윤리의식(r=.27, p<.01)과, 대인돌봄행위는 생명의료 윤리의식(r=.17, p<.05)과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인권감수성을 강화하고, 대인돌봄행위 및 생명의료 윤리의식을 강화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과수재배지역의 생산유통체계와 내생적 영농조직의 역할 - 청도군 눌미리 복숭아 재배 커뮤니티의 작목반을 사례로 - (Production-Distribution System in a Fruit-Growing Farming Community and the Role of a Community-Based Endogenous Farming Organization : the Case of Nulmi-Ri, Chungdo-Kun, Kyongbuk Province)

  • 우종현;박순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17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업을 둘러싼 최악의 사회경제적 환경 속에서도 생산유통상의 기술혁신으로 나름대로 경쟁력을 강화/유지하고 있는 국지적 영농지역에 주목하여 사례지역의 생산유통체계 특성 및 기술혁신과 그 과정에서 내생적 영농조직의 역할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앞으로 지식기반사회에 있어서 지역농업정책에 대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례지역인 눌미리 복숭아 재배 커뮤니티가 타 지역과의 차별화를 통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영농조직을 기반으로 한 생산유통체계상의 기술혁신에서 찾을 수 있다. 생산 그 자체는 철저하게 농가단위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개별 농가는 경쟁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생산유통과정에서 농가단위로 채택/체화된 명시적/암묵적 지식이 내생적 영농조직 구성원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집단학습의 결과, 커뮤니티 단위의 기술혁신 창출-차별화/경쟁력 확보-개별 농가 소득중대-조합원간의 신뢰 강화에 기초한 영농조직의 활성화라는 순순환 고리가 형성됨으로서 경쟁력은 강화/유지될 수 있었다. 앞으로 지식기반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농업정책은 과거의 개별 농가나 행정구역을 단위로 한 한시적인 금융이나 하드웨어 중심의 지원에서 과감하게 탈피하여, 이노베이터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농촌사회에 뿌리내려진 내생적 조직을 활성화하여 구성원간 네트워크의 강화로 집단학습과 실행을 통하여 기술혁신을 지속적으로 창출할 수 있는 지역혁신시스템의 사회제도적 기반을 조성/강화하는 방향으로 수립되고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외국인 담론 극복하기: 식모와 조선족 입주 가사노동자의 계급적 위치성과 이중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Overcoming the Discourse of Foreignness: A Study on Class Positionality and Dual Identity of Korean Housemaids and Korean-Chinese Domestic Workers)

  • 박소영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85-201
    • /
    • 2015
  • 본 연구는 식모와 조선족 가사노동자가 한국인 고용주와의 관계에 있어 유사한 계급적 위치성을 지니며 이중적인 정체성을 형성함에 주목한다. 서울에 거주하는 27명의 조선족 가사노동자와 고용주, 식모 고용주와의 인터뷰를 토대로, 본 논의는 내국인-외국인의 이분법적 담론에서 벗어나 단순히 외국인성(foreignness)이 아닌 여성 노동자가 가진 계급적 열악함이 고용주와의 관계 형성에 핵심 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식모와 조선족 여성은 자신이 살던 지역사회를 떠나 새로운 사회로 공간을 재배치함으로써 스스로의 노동가치를 향상시키는 생존 전략을 취해 왔다. 그들은 시골 출신, 저소득, 낮은 수준의 교육 등 여성 노동 역사 상에서 유사한 노동 지위를 지녔으며 이주 후에도 자신의 정체성이 소속문화, '그곳'에 얽매이고 평가되는 초지역적 정박(tranlocal anchoring)을 겪는다. 또한 한국인 고용주는 식모와 조선족 가사 노동자의 도덕성과 지적 능력을 그들이 가진 계층 차이에 근거해 평가한다. 이러한 일련의 낙인 찍기 과정은 고용주가 가사노동자를 위험에 처한 본인에게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존재인 동시에 애정과 보호를 받아야 할 이중적인 존재로 인식하도록 만든다. 고용주들은 그들이 도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요리나 언어를 가르치는 등 문화적으로 교육하고 장기적인 생애 계획을 조언해주기도 한다.

  • PDF

임플란트 완성 환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 요인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successful dental implants)

  • 박정현;엄상화;권현숙;조갑숙;허승주;이소영;유병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717-727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urposed to estimate the level of oral health quality of lif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related factors and oral health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uccessful dental implants. Methods : Thi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2009 to March 2010 with 126 patients confirmed successful dental implants in Busan. Th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related factors were estimated with OHIP-14 and 8 oral health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ver 9.1) program. Results : The score of oral health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uccessful dental implants was $12.25{\pm}7.82$. The scores of subscale of the oral health quality of life were $1.24{\pm}1.35$ in social disability, $1.60{\pm}1.37$ in handicap, $1.60{\pm}1.44$ in psychological disability, $1.70{\pm}1.38$ in functional limitation, $1.81{\pm}1.35$ in physical disability, $2.14{\pm}1.46$ in physical pain, $2.17{\pm}1.46$ in psychological discomfort, respectively. The related factors of oral health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uccessful dental implants were absence of other type prosthesis and experience of tooth brushing education. Conclusions : Th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uccessful dental implants was relatively good condition. Social supports and chances for high quality denture and tooth brushing educations are needed to improv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dental implants.

치과병·의원 내원환자의 구강건강관리 및 진료특성별 구강위생용품 사용실태 비교 (Comparison study of oral health care and dental treatments about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s among the patients)

  • 이형숙;김영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9-160
    • /
    • 2008
  •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for patients who visited dental clinic in Daegu and kyungpook area. The oral health care, dental treatments about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s were obtained through self-administering questionnaires from 1 to 30, August, 2006.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percent of using dental floss was 34.2%, followed by interproximal brush was 33.9%, mouthrinse was 33.5%, electric toothbrush was 19.6%, orthodontic brush was 10.6%, and tongue cleaner was 10.2%. 2. Poor to perceive oral health was 36.4% in the patients who perceived oral hygiene device,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Moderate to perceive oral health was 40.8% in the patients who using oral hygiene device, and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3. In the patients who 3 or 4 times toothbrushing a day, the average percent of perceived oral hygiene device was 67.7%, and the average percent of using oral hygiene device was 59.8% (p<0.05). In the patients who had experience of toothbrush education, the average percent of perceived oral hygiene device was 81.8%, and the average percent of using oral hygiene device was 58.1% (p<0.05). 4. The average percent of perceived oral hygiene device was 67.9% in dental implant treated patient, and was 69.0% in patients with cold teeth (p<0.05). The average percent of using oral hygiene device was 64.2% in prosthesis treated patient, and was 83.3% in patients with cold teeth (p<0.05). The average percent of non-using oral hygiene device was 67.6% in orthodontic treated patient (p<0.05). 5. In patient with periodontal disease, the average percent of using interproximal brush was 44.3%, followed by dental floss was 35.4%, mouthrinse was 27.8%, and electric toothbrush was 21.5%. In prosthesis treated patient, the average percent of using interproximal brush was 31.6%, followed by dental floss was 28.9%, and mouthrinse was 23.7%. In orthodontic treated patient, the average percent of using orthodontic brush was 82.4%, followed by interproximal brush was 64.7%, and mouthrinse was 47.1%. In dental implant treated patient, the average percent of using interproximal brush was 50.0%, followed by mouthrinse was 46.4%, and dental floss was 25.0%.

  • PDF

유아를 위한 공학중심 융합인재교육(E-STEAM)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STEAM Programs based on Engineering for Young Children)

  • 이수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11-22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적 설계과정을 강조하는 공학중심 융합인재(E-STEAM)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를 유아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E-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STEAM과 공학교육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웹사이트를 참고하여 활동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활동은 전문가와의 협의 과정을 거쳐 최종 활동으로 선정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K유치원의 만 5세 유아 50명(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5명)이었다. 실험집단은 7주 동안 E-STEAM활동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과학 활동에 참여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전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에서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 집단은 전체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E-STEAM활동 경험이 유아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건설현장 용접직종별 용접흄 및 금속류 노출 실태 (Welding Fume and Metals Exposure Assessment among Construction Welders)

  • 박현희;박해동;장재길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7-158
    • /
    • 2016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essment of exposure to welding fume and heavy metals among construction welders. Methods: Activity-specific personal air samplings(n=206) were carried out at construction sites of three apartment, two office buildings, and two plant buildings using PVC(poly vinyl chloride) filters with personal air samplers. The concentration of fumes and heavy metals were evaluated for five different types of construction welding jobs: general building pipefitter, chemical plant pipefitter, boiler maker, ironworker, metal finishing welder. Results: The concentration of welding fumes was highest among general building pipefitters($4.753mg/m^3$) followed by ironworkers($3.765mg/m^3$), boilermakers($1.384mg/m^3$), metal finishing welders($0.783mg/m^3$), chemical pipefitters($0.710mg/m^3$).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welding methods, the concentration of welding fumes was highest with the $CO_2$ welding method($2.08mg/m^3$) followed by SMAW(shield metal arc welding, $1.54mg/m^3$) and TIG(tungsten inert gas, $0.70mg/m^3$).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workplace, the concentration of welding fumes was highest in underground workplaces($1.97mg/m^3$) followed by outdoor($0.93mg/m^3$) and indoor(wall opening as $0.87mg/m^3$). Specifically comparing the workplaces of general building welders, the concentration of welding fumes was highest in underground workplaces($7.75mg/m^3$) followed by indoor(wall opening as $2.15mg/m^3$).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construction welders experience a risk of expose to welding hazards at a level exceeding the exposure limits. In particular, for high-risk welding jobs such as general building pipefitters and ironworkers, underground welding work and $CO_2$ welding operations require special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regarding the use of air supply and exhaust equipment and spec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fume mask are necessary.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construction work monitoring systems, health planning and management pract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