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STEAM Programs based on Engineering for Young Children

유아를 위한 공학중심 융합인재교육(E-STEAM)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이수기 (전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9.09.02
  • Accepted : 2019.10.01
  • Published : 2019.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STEAM program emphasizing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and apply them to young children to examine their effects on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order to develop the E-STEAM program, activities were organiz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websites related to STEAM and engineering education. The organized activities were selected as final activities after consulting with expert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50 subjects(experimental group: 25, control group:25) participated in K kindergarten in G city.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the E-STEAM activities during 7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took part in the traditional science activities. The procedur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a pre-study, a pre-test, the treatment, and a post-test schedu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in total problem-solving ability.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in total communication ab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xperience of E-STEAM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can be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young children'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적 설계과정을 강조하는 공학중심 융합인재(E-STEAM)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를 유아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E-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STEAM과 공학교육에 관련된 선행연구와 웹사이트를 참고하여 활동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활동은 전문가와의 협의 과정을 거쳐 최종 활동으로 선정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K유치원의 만 5세 유아 50명(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5명)이었다. 실험집단은 7주 동안 E-STEAM활동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과학 활동에 참여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연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전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에서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 집단은 전체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E-STEAM활동 경험이 유아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문대영, "초등학생의 공학에 대한 태도 및 공학 문제해결에 대한 사례연구: STEM 통합 접근 교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22권, 제4호, pp.51-66, 2009.
  2. A. Stone-MacDonald, K. Wendell, A. Douglass, and M. L. Love, Engaging young engineers, Baltimore, MD: Paul H. Brooks Publishing Co., 2015.
  3. 이영은, 이효녕, "공학적 설계와 과학탐구 기반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과학, 수학, 기술에 대한 흥미, 자기 효능감 및 진로 선택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제18권, 제3호, pp.513-540, 2014.
  4. J. Ku, S. Kim, H. Lee, S. Cho, and H. Park,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sessment: An analysis of PISA 2015 Results, (Research Report RRE 2016-2-2), Seoul: KICE, 2016.
  5. 한신, 김형범, "초등학생을 위한 활동중심 STEAM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자외선'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6호, pp.513-523,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6.513
  6.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적 과학기술인재대국을 위한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11-15), 교육과학기술부, 2011.
  7. 김세미, "초중등학생들을 위한 디자인 사고 기반의 융합교육 프로그램,"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6권, 제1호, pp.20-26, 2018.
  8. J. D. Chesloff, "STEM Education Must Star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ek, Vol.32, pp.32-27, 2013. available on the web at: https://www.edweek.org/ew/articles/2013/03/06/23chesloff.h32.html
  9. S. Moomaw, Teaching STEM in the early years: Activities for integrating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MN: Redleaf Press, 2013.
  10. J. M. Sneideman, "Engaging children in STEM education early!," 2013. available on the web at :http://naturalstart.org/feature-stories/engaging-children-stem-education-early
  11. L. Kats, "STEM in early years," Early Childhood Research and Practice, Vol.12, No.2, 2010. available on the web at: http://ecrp.illinois.edu/beyond/seed/katz.html
  12. E. Spaepan, Early STEM matters: Providing high-quality STEM experiences for all young learners, A policy report by the early childhood STEM Working Group, 2017. available on the web at: http://d3lwefg3pyezlb.cloudfront.net/docs/Early_STEM_Matters_FINAL.pdf
  13. 이연승, "누리과정에서 STEAM 교육의 방향," 유아교육연구, 제34권, 제1호, pp.327-341, 2014.
  14. 조형숙, 김민정, 남기원, "음률활동 중심의 STEAM 교육이 유아의 문제해결력 창의적 인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제18권, 제2호, pp.421-445, 2014.
  15. M. Sanders,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The Technology Teacher, December / January, pp.20-37, 2009.
  16. 홍혜경,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유아공학교육의 적용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제37권, 제4호, pp.157-183, 2017.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4.007
  17. L. Katehi, G. Pearson, and M. Feder, "The Status and Nature of K-12 Engineering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Bridge on K-12 Engineering Education, Vol.39, No.3, pp.5-10, 2009. available on the web at: https://www.nae.edu/19582/Bridge/16145/16161.aspx
  18. S. A. Christenson and J. James, "Building bridges to understanding in a preschool classroom: A Morning in the block center," Young Children, Vol.70, No.1, pp.26-31, 2015.
  19. D. Evangelou, "Guest Editorial: Child developmental perspective in engineering education," Early Childhood Research and Practice, Vol.12, No.2, 2010. available on the web at: http://ecrp.illinois.edu/v12n2/editorial.html
  20. K. W. Lindeman, and E. M. Anderson, "Using blocks to develop 21st century skills," Young Children, Vol.70, No.1, pp.36-43, 2015.
  21. B. V. Van Meeteren and B. Zan, "Revealing the work of young engine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Research and Practice, Vol.12, No.2, 2010. available on the web at: http://ecrp.uiuc.edu/beyond/seed/zan.html
  22. T. Wynn and J. Harris, "Toward a STEM + arts curriculum: Creating the teacher team," Art Education, Vol.65, No.5, pp.42-47, 2013. https://doi.org/10.1080/00043125.2012.11519191
  23. S. S. Guzey, G. Roehrig, K. Tank, T. Moore, and H. H. Wang, "A high-quality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f grades 3-6 for implementing Engineering into classroom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Vol.114, No.3, pp.139-149, 2014. https://doi.org/10.1111/ssm.12061
  24. C. P. Lachapelle and C. M. Cunningham, "Engineering is elementary: Children's changing understandings of science and engineering,"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Annual, Honolulu, HI: Conference & Exposition, 2007.
  25. National Research Council, Engineering in K-12 education: Understanding the status and improving the prospect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y Press, 2009.
  26. 김남연, 김명정, "예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제17권, 제3호, pp.107-130, 2013.
  27. 노선희, STEAM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8. 김민정, 조형숙, 김대욱, "국내 초등학교 STEAM 교육연구 현황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에서의 방향 탐색," 유아교육연구, 제34권, 제4호, pp.139-161, 2014.
  29. 김형재, 송민서, 홍순옥,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 유아과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1권, 제1호. pp.613-640, 2016.
  30. 이수기, 윤은경, "STEAM(융합인재교육)활동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5호, pp.746-759,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746
  31. 조여울, 미술활동 중심의 STEAM(융합인재)교육이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2. 박은성, 미술.과학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3. 유윤정, 융합 인재교육(STEAM)에 기반 한 조형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움직이는 조형활동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4. 김남희, STEAM교육 접근에 의한 발명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5. 김보영, 산책을 통한 STEAM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6. 이은정, 바깥놀이 기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창의적 신체표현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광주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37. 강경희, 과학중심 유아 STEAM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38. J. R. Lehman, "Preservice problem solving," Science and Children, Jan. 20, No.4, pp.30-31, 1992.
  39. 엄은나,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구성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40. 윤은경,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41. 양서영, 동화를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또래간 의사소통능력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42. Boston Children's Museum, STEM Sprouts teaching guide.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 math teaching guide, 2013. available on the web at: http://www.bostonchildrensmuseum.org/sites/default/files/pdfs/STEMGuide.pdf
  43. C. Heroman, Making and tinkering with STEM:Solving design challenges with young children, Washington, D.C.:NAEYC, 2017.
  44.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 경기: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2012.
  45. 성풍현, 공학이란 무엇인가, 살림Friends, 2013
  46. 조경미, 메이커교육(Maker Education)에 기반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47. 허영웅, 공학설계과정 개발 및 공학기술 교과 '전기.전자와 정보통신 공학' 단원에서 이 과정이 적용된 체험활동 과제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48. 전미영, 재활용품을 활용한 STEAM 교육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인성,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49. A. S. Bustamante, D. B. Greenfield, and I. Nayfeld, "Early childhood science and engineering: Engaging platforms for fostering domain-general learning skills," Education Sciences, Vol.8, No.3, p.144, 2018. https://pdfs.semanticscholar.org/cc04/77b880c 4b59439f17d60a83b04108dbc3988.pdf https://doi.org/10.3390/educsci8030144
  50. H. Lee, H. Kwon, K. Park, and H. O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ive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model based on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ol.34, No.2, pp.63-78,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063
  51. 강주원, 남윤경, "영재 학생들의 공학 설계 기반 통합적 STEM 연구 활동이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 및 공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37권, 제4호, pp.719-730, 2017.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4.719
  52. 이정윤, 장신호,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디자인기반 학습이 초등학생의 의사소통 과정, 전자석 개념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1호, pp.1103-1124, 2016.
  53. 박애리나, STEAM프로그램이 초등영재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54. 김혜란, 최선영, "초등학교 환경과 에너지 교육을 위한 STEAM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3학년을 중심으로," 생물교육, 제44권, 제3호, pp.514-522, 2016.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3.514
  55. 김현수, 정혜영, "유아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유아교육연구, 제37권, 제5호, pp.33-55, 2017.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5.002
  56.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pp.149-171,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