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system Conservation

검색결과 681건 처리시간 0.028초

The study of mountain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 Lee, Sung-Gie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7-162
    • /
    • 2003
  • Boeun-gun is hard to develop, because of large numbers of mountains and vast distribution of limited development districts. However it is easy to access from the entire country, and there are large conservation area such as national park and dams. Short-term plans such as attraction of tourists can be established using these advantages. Long-term plans can be planed with stable establishment of continuous considerations and supports. These supports will be rewarded while it demands some time and costs. Private owned mountains can be converted from negligence upkeep of property to utilization of mountains with basic consideration of mountain conservation. This may contribute the essential function of mountain.

Nature-based Tourism in Small Islands Adjacent to Jakarta City, Indonesia: A case study from Seribu Islands

  • Hakim, Luchman;Hong, Sun-Kee;Kim, Jae-Eun;Nakagoshi, Nobukazu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1-46
    • /
    • 2007
  • In this paper, the nature-based tourism is described as one of the tool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in small islands. The study was carried out at Ayer, Bidadari and Onrust Islands of Kepulauan Seribu chains at Jakarta Bay, Indonesia. While the historical records show that previous uses of such islands have started at sixteen century, tourism uses was started at the beginning of 1970s. Among nature-based tourism destination in Kepulauan Seribu chains, these islands are the famous destinations and received a lot of tourists. Tourism growth at these islands has stimulated development of numerous tourism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to meet visitor satisfaction. It is observed in this study that island's site-plan destination design has contributed to the successful and sustainability of tourism in small island. The key success lies on the successful integ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ree substantial perspectives into practices, namely economic, ecosystem and social perspectives. First, in order to enhance economic benefits, a site-plan design allowing floating cottages establishment to extent room availability, to build strong images as tropical paradise islands, and to enhance tourist satisfaction with the objectives of improving income and sustaining tourist loyalty to the destination. This design is also reducing land risk from tourism impact and it becomes the significant key of second perspective, the ecosystem perspective. Moreover, the ecosystem perspective has been implemented through native vegetation preservation that led island's wildlife conservation and became potential tourism attraction. The design also develops effective mechanism to manage and regulate visitor flows by establishing visitor track corridors. In implementation, such corridor plays an important role to reduce tourist density in single places and therefore become instrument to reduce severe visitor impact to wildlife, vegetation and heritages of islands. Third, the social aspect of development allowing heritages to conserve and furthermore serve numerous benefits for education, socio-political, culture, and historical studies. Through this study, it is clear that the success of these islands to continuous tourism growth lies on the island's vision to integrate economic, ecosystem and social perspectives on tourism development.

  • PDF

야생화분매개곤충 분포 모형을 활용한 과수원 수분 서비스 위험도 평가 (A Risk Assessment of Orchard Pollination Services using a Species Distribution Model for Wild Pollinators)

  • 고인수;최혜영;권혁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29-41
    • /
    • 2020
  • Wild pollinators provide important pollination services for crops. However, their geographical ranges and impact on pollination services have not been fully explored within the scope of Korean agricultural lan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patial supply-demand mismatches across orchard fields in the context of assessing pollination service risk. We first used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and a species distribution model (MaxEnt) to develop the geographic range of each of 32 wild pollinators belonging to three families (Diptera, Hymenoptera, and Lepidoptera). We then summed the modeled presence probability of each species to obtain a measure of spatially explicit pollinator richness. This modeled richness, defined as pollination supply, was compared with the summed area of orchard fields at the municipal boundary level to identify areas with supply-demand mismatches. The study found that Lepidoptera showed the highest species richness (8.3±1.5), followed by Hymenoptera (4.3±0.8) and Diptera (3.5±0.8) species. Median orchard area was 1.5 ㎢ (range of 0-176.7 ㎢) among 250 municipal regions in South Korea. The municipal region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ertiles) of low, middle, and high pollination supply and demand according to, respectivley, average polliator richness and orhard area. Finally, we found that 55 municipal regions (accounting for 49% of national orchard land) potentially faced high risk of pollination deficits, 81 regions (48% of national orchard land) faced intermediate risk, and 63 regions faced low risk (3% of national orchard land).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significant mismatch between pollination supply and demand and developed risk assessment map will guide our future efforts on pollinator habitat conservation and monitoring to conserve crop pollination services.

Marxan을 이용한 도시하천의 보전지역 설정 및 생태적 관리방안 연구 - 서울시 중랑천을 대상으로 - (A Study on Zoning and Management of Conservation Area and Ecological Management Plan on Urban Stream Using Marxan - A Case of Jungrangcheon(Stream) in Seoul -)

  • 윤호근;한봉호;곽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16-27
    • /
    • 2020
  •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심 하천 중 국가하천인 중랑천을 대상으로 보전지역 설정 프로그램인 Marxan with zones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하천 내 보전지역 설정 및 생태적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Marxan with zones 프로그램 적용은 유역권(planning unit) 설정, 맵핑지표(mapping index) 적용, 반복적인 분석을 위한 수치보정, 분석을 통한 시나리오 별 최적안 작성, 시나리오 별 민감도 분석, 시나리오 중 최적안 검토 및 선정 단계로 진행하였다. 중랑천 내 보전지역 설정 결과, 기존에 보전지역으로 지정 및 관리하고 있는 중랑천 상류 야생생물보호구역을 포함한 다수의 유역권과 중랑천 하류의 철새보호구역을 포함한 유역권이 핵심보전지역으로 설정되었다. 상류는 중랑천을 중심으로 수락산과 도봉산 등 산림이 인접하여 다수의 야생조류가 관찰되었다. 하류는 한강 합수부, 청계천 합수부 등 하천생태계가 인접하여 하천을 따라 이동하는 철새 도래지이다. 따라서 중랑천 상류와 하류는 유역권 내 도봉산, 수락산, 응봉산 등 산림생태계, 도심 내 녹지, 청계천 합수부, 한강 합수부 등 다양한 생태계와 연결되어 있어 보전지역 설정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보전지역 검증 시 Marxan with zones 프로그램을 통한 기존 보전지역 설정 및 평가를 검증하였고, 프로그램을 통해 핵심보전지역으로 도출된 유역권을 생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하천 내 관리방안과 유역권 관리방안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환경친화적인 도로건설을 위한 생물서식처 보전가치 평가 및 지도화 (Drawing of Habitat Assessment Map and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for Environmental Friendly Road Construction)

  • 강호근;박미란;박태권;김흥래;이상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611-618
    • /
    • 2009
  • 도로건설은 생물서식지를 단절시키고 고립시키는 등 생태환경 훼손이 우려되고 있으며, 도로건설에 따른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생물서식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종합적인 평가기법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생태계의 자연성뿐만 아니라 동물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기능을 고려한 보전가치평가기법을 적용하여 이를 도면화 할 수 있는 서식처평가지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서식처보전가치평가에 적용한 평가 항목은 크게 자연성, 희귀성, 기능성 항목의 3가지 항목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세부평가항목을 구성하였다. GIS를 이용하여 평가기준에 따라 중요도에 대한 수치지도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나타난 수치지도는 단순히 동물과 식물의 종 조성이나 분포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서식처 보전을 위한 종합적인 생태계 평가기법이 가능함을 보여주었고, 이를 통하여 생태계 파괴 및 생물 서식처 단절을 최소화 한 환경친화적인 도로건설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시 탄천 생태계 보전지역의 환경생태특성을 고려한 생태적 관리계획 (Ecological Management Plan Based on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Tancheon Ecosystem Conservation Area in Seoul)

  • 한봉호;김종엽;홍석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84-101
    • /
    • 2004
  • This study presents an ecological management plan for wildbird habitat conservation, an nature-friendly enhancement of bio-diversity using the riverside of the Tancheon Ecosystem Conservation Area in Seoul by analyzing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analyzing actual vegetation, vegetation type was classified into 34 types. Humulus japonicus association covers an area of 441,568.6㎡(31.44%),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ssociation covers an area of 89,690.1㎡(6.39%). Sandy plain as valuable wildbird habitat covers an area of 89,965.9㎡(6.4%). 125 taxa including 34 families, 93 genera, 107 species, and 18 varieties were recorded and the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were 41 taxa at the survey site. Total naturalized index(NI) and urbanized index(UI) were recorded as 32.8%, and 15.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herb plants association structure by surveying 8 belt-transects, the humid native plants was dominant in the partially adjacent revetment edge and damp riverside. On the other hand, naturalized plants was so extensively dominant that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n ecological management plan. The observed wildbirds belonged to 50 species, 6,118 individuals, and 7 restricted species by law, which were Accipiter gentilis, Falco tinnunculus, Buteo hemilasius, and Buteo buteo. Oriolus chinensis,Hirundo rustica, and Alcedo atthis. The ecological administration plan for Tancheon Ecosystem Conservation Area as follows: in ecological land-use planning, the conservation area(695,518.5㎡) has native woody and herb vegetation and sandy plain with water as an wildbird habitat. The restoration area(653,702.7㎡) has a naturalized plants distribution are with artificial revetment. The nature-friendly Riverside Area(55,414.9㎡) was an easily approached area with damaged riverside vegetation, and a safe area to wildbird habitat. In riverside restoration planning, the artificial riverside should be restored to its natural riverside vegetation, and the artificial embankment should be restored with edge shrubs for wildbird habitat or revegetated for natural riverside landscape. For naturalized plants management planning, we selected naturalized plant species to be weeded out, and suggested an application method for ecological management.

산림 생태계 서비스를 고려한 산림 보전가치 평가 - 가평군을 대상으로 - (Assessment on the Forest Conservation Value Considering Forest Ecosystem Services - The case of Gapyung-gun -)

  • 김예화;정승규;정슬기;이동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5호
    • /
    • pp.420-431
    • /
    • 2015
  • 최근 생물다양성, 기후변화 등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산림 생태계의 보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산림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생태계 서비스를 고려한 산림 보전가치평가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산림생태계는 생물다양성 유지, 기후조절, 물 조절 등에서 생태적 가치를 나타 내며 평가를 위한 지표로 선정하였다. 생물다양성 유지는 생물의 보전을 위한 서식지의 구조적인 특성과 생물종의 분포 특징을 같이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기후조절은 탄소흡수량으로 계산하였고 물 조절은 물저장량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평군 산림의 50.1%가 보전가치가 높은 산림으로 나타났고, 국내 산림의 보전가치가 평가되고 있는 국내 환경지도와 비교한 결과 유사한 분포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가평군에 특화된 도면이나 평가 방법은 전국 산림의 보전가치 평가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생태경제수치모형에 의한 생물다양성 보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by the Ecological Economic Numerical Model)

  • 김병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629-637
    • /
    • 2022
  • 생태계의 무분별한 남획과 서식지의 파괴 등으로 생물다양성의 고갈 위험에 처해 있다. 가난한 토착지역에서 농업 생산 증대를 위한 집중적인 비료나 관계 시설 개발로 토양을 황폐하게 한다. 이제 생물다양성 보존은 세계 인류 공존의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Post-2020 GBF 선언이후 토착농업지대의 농업 개발에 관한 모든 거버넌스는 생물다양성 보존 대책으로 지지되고 촉진되어야 한다. 생태계 개발과 생물다양성 손실을 줄이고자 하는 절충방안은 공공 거버넌스 정책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생태계 보존에서 상충되는 경제 및 생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존 제어 피드백 해석에 사용되는 생존도 커널을 도입하고, 생존도 커널에 의한 생태경제학적 관점에서 생물다양성 보존에 관한 수학적 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생태계의 모든 종은 상호의존적이기에 균형이 깨지면 생물다양성이 고갈하게 되고 이는 비가역적 변화로 결국 멸종으로 치닫게 된다. 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조화를 위하여 모든 생물종들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창의적 거버넌스 등 많은 정책적인 배려를 필요로 한다. 보조금 지급이나 세금 우대 정책은 생물다양성 보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생물다양성이 감소하는 상태에서 생물종의 회복은 그 경제적인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생물다양성은 토착지역 생산자들이 그들의 독특한 전통 지식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지역 관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지역 정체성을 제고하고, 인류의 생존과 번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황해 연안습지 생태계 보전을 위한 초국경협력 방향 - 갯벌의 세계자연유산 등재를 중심으로 - (Pan-Yellow Sea Cooper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Ecosystems in Coastal Wetlands of Yellow Sea - Focusing on the World Natural Heritage of coastal wetland-)

  • 최현아;한동욱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3-219
    • /
    • 2023
  • 기후변화 위기상황에서 습지 생태계의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기능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탄소흡수원으로서 갯벌의 생태계 서비스가 중요시되고 있다. 현재 황해지역 갯벌 중 남한과 중국의 경우 UNESCO 세계자연유산 2단계 등재를 위한 준비를 하고 있으며, 향후 황해지역 갯벌을 통한 남북한 및 중국의 초국경협력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동성 조류 서식지, 휴식지, 중간기착지로서 황해지역 갯벌의 중요성과 보전, 관리, 남북한 및 중국의 협력체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NESCO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남한의 서남해안 갯벌과 중국의 옌청자연보호구, 잠정목록에 등재된 북한의 문덕 습지보호구를 포함한 황해지역 갯벌을 중심으로 남북한 및 중국의 생태계 보전 협력 여건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동성 조류 서식지, 휴식지, 중간기착지로서 황해지역 갯벌의 중요성과 황해 연안습지 주요 특징, 북한과의 협력여건 등을 분석하여 황해 연안습지의 초국경보전지역 등재를 위한 생태계 보전 협력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 habitat on the coastal sand dune ecosystem

  • Lee, Jeom-Sook;Jeon, Ji-Young;Ihm, Byung-Sun;Myeong, Hyeon-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3호
    • /
    • pp.167-175
    • /
    • 2012
  • Coastal sand dune systems are particularly fragile and threaten the environment. However, these systems provide fundamental ecosystem services to the nearby urban areas, acting, for example, as protective buffers against erosion. In this paper, we attempt to classify the biotope types of coastal sand dune ecosystems and select an index for the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value. The types of biotopes are categorized based on the vegetation map; floras are examined in order to research the effects of hinterlands on coastal sand dunes. In addition, a naturalization rate and an urbanization index for each biotope type in hinterlands are analyzed. In the ecosystem of coastal sand dunes, the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ation rate shows a higher value in sand dunes with areas of road, residential, and idle land in farm villages, rice fields, and fields. On the contrary, a lower value in the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ation rate is present when typical biotope types, such as sand dune vegetation and natural Pinus thunbergii forests, are widely distributed. Based on these results,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ation rate should be used as critical indices for the assessment of the ecosystem of costal sand du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