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nomic View

검색결과 1,141건 처리시간 0.029초

국내 벤처기업의 성장요인 분석 (Growth Factors for Small Innovative Firms in Korea)

  • 정진하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27권1호
    • /
    • pp.123-156
    • /
    • 2005
  • 최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가 중요한 경제 현안으로 대두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중소기업의 혁신을 주도해나가야 할 벤처기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또한 본격적인 벤처기업 지원정책이 시행된 지 10년 가까운 시간이 흐르면서 벤처생태계는 전략과제를 추론해볼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진화과정을 경험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할 때 지금이 벤처생태계가 안고 있는 과제 및 벤처기업 지원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점검할 적절한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인식하에 향후 벤처기업 지원정책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으로 벤처기업의 성장요인에 관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연구개발집약도가 높은 기업, 업력이 낮은 기업, 규모가 큰 기업, 정책자금 활용도가 높은 기업, 수도권에 위치한 기업의 경우 성장이 빠르게 나타난다. 벤처기업에 관한 국내 통계자료의 축적이 아직 미흡하고 통계자료의 신뢰도가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는 분석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향후 벤처기업정책 입안에 대한 연구의 기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통계자료의 체계적 축적이 필요하며, 보다 심도 있는 연구들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PDF

김정은 체제에서의 북한 의생활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Clothing Culture of North Korea under the Regime of Jong Un Kim)

  • 최현숙
    • 복식
    • /
    • 제66권6호
    • /
    • pp.122-134
    • /
    • 2016
  • With the advent of the new political regime of Jong Un Kim, North Korea is undergoing many changes, with its main motivation being economic growth.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nges in clothing in North Korea under the new political climate. The research conducted a review on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y. For literature review, books and papers from studies related to North Korea have been reviewed. For the empirical part, interviews with diverse class of North Korean refugees including Hanawon, videos on TV, 1,100 pictures and related articles from newspapers and Internet have been collected.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subtle changes in North Korean fashion started prior to the Jong Un Kim's regime, but has become full-blown since Kim's assumption of power. This proves that the country is not yet independent from its political sit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ppearance of Ri Sol-ju has liberalized the fashion concept of North Korean women, and the popularity of her trademark style has actually contributed to a more amicable image for Kim. Second, the "Hallyu" style has spread to North Korea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has started new trends. Third, the diversification of fashion styles has been greatly accel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market, resulting from the economic revitalization policy. Last of all, Jong Un Kim's direct orders concerning fashion have resulted in some significant changes. The sophisticated uniforms of flight attendants and the development of luxury cosmetics being prime examples. As studies on this subject are extremely rar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o identify the changes on the clothing culture under Jong Un Kim's regime, and to present an expanded view, as the two countries work towards an united Korea.

화강암 기원 잔적토양에서 염료추적자의 침투 유형에 관한 연구 (A Dye Tracer Study of Infiltration Pattern in a Residual Soil Developed from Granite)

  • 전철민;김재곤;이진수;김탁현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4호
    • /
    • pp.383-389
    • /
    • 2004
  • 지표 및 심토환경에서 물과 용액의 유동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을 저감하고 방지하거나 기 오염 지역을 조사하고 정화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비형광, 비독성의 식용색소인 청색1호(Brilliant Blue FCF, $C_{37}H_{34}N_{2}Na_{2}O_{9}S_{3}$)를 염료 추적자로 이용하여 화강암에서 발달된 잔적토양에서의 침투 유형 및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디지털 촬영된 수직 및 수평 착색영상은 지형정보 영상처리 프로그램인 ER Mapper, Version6.2를 이용하여 염료착색범위(dye coverage)로 전환되었다. 균질기반유동(homogeneous matrix flow)은 미약 입상 구조를 보이는 A 층위에서 발생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세립조직인 A층위와 조립조직인 C층위의 경계에서는 선침투류(先浸透流, fingering)의 특징을 보여주었다. 모암인 화강암 조직의 기원인 거정질 광맥(pegmatitic vein)과 식물 뿌리는 C 층위에서 선택적 유동(preferential flow)을 유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언양(彦陽) 및 울산지역(蔚山地域) 화강암질암류(花崗岩質岩類)의 암석화학적(岩石化學的) 연구(硏究) (Petrochemistry of granitic rocks from the Eonyang and the Ulsan area)

  • 이윤종
    • 자원환경지질
    • /
    • 제13권2호
    • /
    • pp.69-79
    • /
    • 1980
  • Granitic rocks, from the Eonyang and the northwestern part of Ulsan area, were mainly studied from the petrochemical point of view. From field work, microscopic observation and the result of K-Ar ages, these granitic rocks are divided into six rock types of a, b, c, d, e and e', of which modal composition are given. Type a, c, e and e' are mainly granodiorite, type b is adamellite, and type d is granodiorite, adamellite and others (porphyritic rock, porphyry and felsitic rocks). Bulk chemical analyses of 22 samples of the granitic rocks are given. The petrographical and pe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rocks are discussed briefly. In the petrochemical compositions with their characteristic variation trends of several oxides and norm Or-Ab-An triangular diagram, type a, b and c show some similarity to that of San-yo granite of Japan and younger granite of Ogcheon geosynclinal zone, and then, type e and e', to San-in granite of Japan. But, some of granitic rock samples of type d are similar to San-yo granite and the others of type d to San-in granite because this type is composed of porphyritic rock, porphyry and felsitic rocks. According to the result of K-Ar ages (1976, Lee et al.) of rock samples from type a, b and care Cretaceous, on the otherwise, type d, e and e', are Tertiary granitic rocks. Judging from these evidences, granitic rocks in the area are correlated to the Cretaceous and Tertiary granitic rocks in the, southwestern Japan, that is, type a, band c are correlated to San-yo granite, and type d, e and e' to San-in granite.

  • PDF

항공 수요예측 및 고객 수하물 컨베이어 확장 모형 연구 : 인천공항을 중심으로 (Air Passenger Demand Forecasting and Baggage Carousel Expansion: Application to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 윤성욱;정석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01-409
    • /
    • 2014
  • 본 연구는 시설 확장비용과 승객들의 지체시간 감소에 따른 편익을 고려한 항공의 핵심 시설 확장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시계열 예측방법으로 널리 알려진 ARIMA model를 활용하여 계절 및 주기를 갖는 항공피크 수요를 예측한다. 승객이 공항에 도착한 후에 공항 내에서의 승객들의 흐름과 지체를 고려하여 실제 지체 편익을 추정하기 위해 이산사건 시뮬레이션 모형을 설계한다. 비용과 편익 간의 상충관계를 통해 우리는 컨베이어의 경제적 확장 대수를 결정한다. 인천공항의 사례를 활용한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실험 결과는 본 접근방법이 계절에 따른 승객의 도착 유형과 공항 내의 동적인 흐름을 반영한 시설의 확장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인다.

Gender,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Work, and the Changing Pattern of Employment-Related Inequality in Poor Self-Rated Health, 1995-2006 in South Korea

  • Kim, Il-Ho;Khang, Young-Ho;Cho, Sung-Il;Chun, Hee-Ran;Muntaner, Carles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4권1호
    • /
    • pp.22-31
    • /
    • 2011
  • Objectives: We examined gender differential changes in employment-related health inequalities according to occupational position (professional/nonprofessional) in South Korea during the last decade. Methods: Data were taken from four rounds of Social Statistical Surveys of South Korea (1995, 1999, 2003, and 2006) from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The total study population was 55435 male and 33913 female employees aged 25-64. Employment arrangements were divided into permanent, fixed-term, and daily employment. Results: After stratification according to occupational position (professional/nonprofessional) and gender, different patterns in employment - related health inequalities were observed. In the professional group, the gaps in absolute and relative employment inequalities for poor self-rated health were more likely to widen following Korea's 1997 economic downturn. In the nonprofessional group, during the study period, graded patterns of employment-related health inequalities were continuously observed in both genders. Absolute health inequalities by employment status, however, decreased among men but increased among women. In addition, a remarkable increase in relative health inequalities was found among female temporary and daily employees (p = 0.009, < 0.001, respectively), but only among male daily employees (p = 0.001). Relative employment-related health inequalities had clearly widened for female daily workers between 2003 and 2006 (p = 0.047). The 1997 Korean economic downturn, in particular, seemingly stimulated a widening gap in employment health inequalities. Conclusions: Our study revealed that whereas absolute health inequalities in relation to employment status increased in the professional group, relative employment-related health inequalities increased in the nonprofessional group, especially among women. In view of the high concentration of female nonstandard employees, further monitoring of inequality should consider gender specific patterns according to employee's occupational and employment status.

미국 산업구조의 변화가 고령 남성의 고용에 미친 영향: 1880~1940 (Changing Industrial Structure and Employment of Older Males in the United States: 1880~1940)

  • 이철희
    • 노동경제논집
    • /
    • 제26권3호
    • /
    • pp.1-28
    • /
    • 2003
  • 본 논문은 고령 노동자에 대한 퇴직의 압력이 직종별로 어떻게 달랐으며 그러한 차이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산업화 시기 미국 고령남성의 고용상의 지위 변화를 분석하였다. 직종에 따른 퇴직확률을 비교한 회귀분석 결과는 경제적 지위와 근로조건이 우월한 직종에 고용되어 있던 고령 노동자들의 퇴직확률이 더 낮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 결과는 이미 20세기 초부터 은퇴 행위가 기본적으로 자발적인 것이었다는 최근의 견해를 반박하는 것이다. 장기실업의 상대적인 비율에 기초하여 측정한 노령화에 따른 노동시장에서의 불이익은 숙련공, 조립공, 판매직 등의 직업군에서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농민과 관리 및 전문직 종사자는 고령화에 따른 고용상의 불리함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 1880년에서 1940년 사이에 발생한 직업구조의 변화 패턴을 살펴보면, 산업화와 함께 노년기의 퇴직압력이 상대적으로 강했던 산업들의 비중이 커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한국 대통령의 해양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xt Mining Analysis of Presidential Maritime Concept in KOREA)

  • 김성국;이태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9-54
    • /
    • 2020
  • 대통령 중심제의 정치체제에서는 대통령의 언어가 국가정책의 형성과 의사결정 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통령의 이념과 중심가치에 따라 정책우선순위가 결정되고 그 우선순위에 따라 다양한 정책이 수립되고 집행된다. 그래서 대통령의 연설문을 내용분석하는 연구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대통령의 연설문은 언어 자료이기 때문에 비정형이면서 비구조화 된 텍스트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기계학습과 딥러닝의 방법을 통해 빅데이터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6년부터 24년간에 걸쳐 "바다의 날" 기념식의 대통령 연설문을 확보하여 텍스트마이닝 방법의 일종인 토픽모델링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역대 대통령은 모두 자신의 국정운영 방향에 부합되는 해양관을 가지고 연설문을 발표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해양의 고유가치인 해양-산업-자원 토픽은 훼손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역대 대통령이 모두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과학도시의 생성과 발전: 대덕연구단지의 경우 (The Making of a Science Town: The Case of Daedeok, Korea)

  • 김호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3-95
    • /
    • 2009
  • 본 논문은 기존 문헌의 광범위한 검토 및 비교분석을 통해 대덕연구단지의 조성과정을 살펴보고 그간 도출된 성과에 대해 고찰한다. 대덕단지는 국가적 연구개발 노력을 특정 지역에 집중하여 전국의 산업 전반에 기초 과학기술을 제공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구상되었다. 대덕은 정부 주도로 건설된 새로운 과학도시의 상징으로서, 향상된 연구환경을 제공하고 벤처기업의 창업을 활성화하며 산학연 네트워크를 창출하는 등 상당한 수준의 성공을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전반적으로 지식기반경제의 도래를 앞당기는 긍정적 역할을 수행했음이 인정되나, 대덕단지의 활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규 업체의 설립, 해외 마케팅, 자금조달, 보다 긴밀한 네트워크 구축 등에 있어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벤처기업의 판로 및 자금원으로 기능할 수 있는 대기업들을 해당 지역에 보다 적극적으로 유치해야 할 것이다.

  • PDF

고정오염원에서 발생하는 SO2 배출량 저감을 위한 효율적인 환경정책수단의 연구 (Research of Efficient Environmental Policy Instruments for the Reduction of SO2-Emissions from Stationary Sources)

  • 이영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9-347
    • /
    • 2004
  • This paper asks the question: what choice of environmental policy instruments is efficient to reduce sulfur dioxide from stationary sources\ulcorner: In Korea, command and control has been a common way of controlling $SO_2-emissions.$ When compared to the non-incentive environmental policy instrument such as command and control, economic incentive environmental policy instrument has been the advantage of making polluter himself flexibly deals with in marginal abatement cost to develop environmental technology in the long view. Therefore,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incentive environmental policy instrument was studied in this research to realize the countermeasure for controlling of $SO_2-emissions.$ As a result, enforcement of the countermeasure such as flue gas desulfurizer by command and control would be suitable because power generation is performed by the public or for the public in source of air pollution and thus, economic principle is not applied to the polluter. In the source of industrial pollution, enforcement of fuel tax is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countermeasure for the use of low sulfur oil in terms of the flexibility of demand for the price in the long tenn. For the permissible air pollution standards applicable to all air pollutant emitting facilities, enforcement of incentive environmental policy such as bubble, off-set, banking policy or tradeable emission penn its would be ideal in long terms according 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number and scale of air pollutant emitting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