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logical philosophy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2초

동양 전통 생태사상의 현대적 전환을위한 비판적 고찰 - 유학의 생태사상을 중심으로 - (Critical Review on Modern Change of Ecological Thought in Oriental Tradition)

  • 한성구;지준호
    • 한국철학논집
    • /
    • 제36호
    • /
    • pp.235-258
    • /
    • 2013
  • 기존의 생태철학에서, 환경 위기의 원인이 인간과 자연의 분리에 있으므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인간과 자연의 친화가 필요하다고 한다. 우리는 동양사상이야말로 그런 합일성의 전형이라고 주장해 왔다. 실제로 동양의 전통문화 중에는 생태적 의의를 갖고 있는 사상적 내용이 적지 않게 들어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그것이 얼마만큼의 활력과 의미를 갖고 있는지는 말하기 쉽지 않다. 다른 한 편으로 우리가 환경파괴의 주범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서양의 사상이 생각만큼 반생태적인 내용을 담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우리는 좀 더 근본적인 곳에서부터 문제를 제기하고 답을 찾아 나가기 위해 "서양의 자연관은 반생태적인가?"라는 물음과 "동양의 자연관은 생태적인가?"라는 물음을 던지고 이에 대해 다시 검토해 볼 필요성이 있다. 특히 전자의 물음에 대해서는 적지 않은 연구가 있었기 때문에 후자의 물음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다면 동양 생태 사상의 현대적 전환과 실천적 의의를 찾을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생태문제는 이론의 문제라기보다는 실천의 문제이다. 어떻게 실천을 가능하게 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개인과 국가, 기업 모두 어떻게 사는 것이 궁극적으로 가치 있는 삶인지 자각하지 못한다면 생태문제의 해결은 요원하다. 한 사람만의 자각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며 생태문화의 사회적 조성과 교육이 동반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환경 이해 방식과 사상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객관적으로 바라봐야 할 필요성이 생기는 것이다. 동양 전통 문화가 담고 있는 풍부한 생태 사상적 요소의 보편적 가치는 그것이 현대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실현시켜 줄 수 있는 기초가 된다. 그러나 보편적 가치만으로 그것이 현대적 이론으로 전환되어 실천과 연결될 수 있는지는 별도의 문제이다. 앞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생태 사상은 이론 문제이기 이전에 실천문제이다. 아무리 훌륭하고 잘 갖추어진 이론이라 할지라도 실천과 연결될 수 있는 현실적 길을 찾지 못한다면 그것은 아무 쓸모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동양 전통 생태사상이 현대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생태사상의 문제는 이론뿐만 아니라 실천이 병행되어야 하는 것이며,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의 문제이기 때문에 미리 답안을 정해놓고 문제를 검토하는 것이 아닌 오늘날의 입장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문제를 제시하고 답안을 찾으려 할 때 동양 생태사상의 현대적 전환은 어느 정도 가능성을 보게 될 것이다.

생태철학적 사유방식과 산림의 의미 (A way of thinking in Ecological Philosophy and the meaning of Forest)

  • 이재성
    • 철학연구
    • /
    • 제137권
    • /
    • pp.383-407
    • /
    • 2016
  • 오늘날 전 지구적으로 만연해 있는 무지막지한 인간의 폭력은 전체 인류사에서 그리 흔한 일이 아니다. 자율적인 근대적 인간이 이 지구상에 존재해 왔던 시간을 생각해 볼 때 이런 폭력은 하나의 '예외상황'이라 할 수도 있다. 가령 동물을 죽이고 자연 환경을 파괴하는 행태도 인간이 먹고 살기 위해 저지를 수밖에 없는 불가피한 사안이라고 하지만 인간이 태초부터 유대감을 추구하고 자신을 뛰어넘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의미를 찾는 '사회적 동물'이라고 한다면, 인류가 지구상에 사는 다른 동물이나 다른 식물, 그리고 지구 자체에 가하는 믿을 수 없는 강력한 폭력은 도대체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가 이 글에서 주장하려는 것은, 첫째, 이미 막다른 골목에 다다른 서구의 현대 과학기술문명으로는 인류의 미래를 희망할 수 없다는 위기의식이 서구 철학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발견할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를 사유토록 했고 그것은 곧 생태주의와 생태철학으로 나타났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과학기술문명에 지배된 현실과 생태철학적 사유는 마치 물과 기름처럼 겉돌고 있기 때문에 생태철학의 고민은 더욱 깊어지고 계속되어야 하며, 그 결과로서 산림의 생태철학적 의미를 짚음으로써 미래지속적인 인간의 삶의 존재론적 조건을 규명해 보는 것이다.

수학에 대한 은유와 철학적 문제들 (Metaphors for Mathematics and Philosophical Problems)

  • 박창균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47-258
    • /
    • 2017
  • The goal of this essay is to examine metaphors for mathematics and to discuss philosophical problems related to them. Two metaphors for mathematics are well known. One is a tree and the other is a building. The former was proposed by Pasch, and the latter by Hilber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metaphors comes from different philosophies. Pasch's philosophy is a combination of empiricism and deductivism, and Hilbert's is formalism whose final task is to prove the consistency of mathematics. In this essay, I try to combine two metaphors from the standpoint that 'mathematics is a part of the ecosystem of science', because each of them is not good enough to reflect the holistic mathematics. In order to understand mathematics holistically, I suggest the criteria of the desirable philosophy of mathematics. The criteria consists of three categories: philosophy, history, and practice. According to the criteria, I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Pasch's philosophy of mathematics as having more explanatory power than Hilbert's, though formalism is the dominant paradigm of modern mathematics. The reason why Pasch's philosophy is more explanatory is that it contains empirical nature. Modern philosophy of mathematics also tends to emphasize the empirical nature, and the synthesis of forms with contents agrees with the ecological analogy for mathematics.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의 생태학적 해석 - 동계(桐溪) 정온(鄭蘊) 가옥과 전주(全州) 최씨(崔氏) 종택을 중심으로 - (An Ecological Interpretation on Korean Traditional Dwelling Houses and Their Landscape Gardens)

  • 소현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20-130
    • /
    • 2009
  • 본 연구는 생태학에 견줄 수 있는 전통적 관념으로서 생명사상과 전통사상에 착안하여 마련된 '전통경관의 생태학적 해석' 방법론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를 통해서 당시의 관점에 근접함으로써 선조들의 생태학적 사고와 그를 기반으로 한 조영방식을 설명하기에 유용한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생태학적 해석 도구로써 추출한 '본성(本性; 자연의 정체성 고수)' '중절(中節; 절제)' '효율(效率; 경제적 효용)' '상생(相生; 관계 맺기)' '자생(自生; 자연의 원리 취득)' '중화(中和; 인공을 최소화하여 조화)' '방통(旁通; 소통과 순환)' '변통(變通; 가변성과 다양성)'이라는 전통사상의 개념어들은 우리 문화와 경관 속에 함유된 생태학적 개념을 대신한다. 사례연구를 위해서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1827)에 서술된 항목들을 '공간구조' '조경요소' '건축 구조요소'로 구분하여 해석의 대상을 추출하였다. 정온 가옥과 최씨 종택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해석한 결과로 생태학적 조영기법들을 제시하고,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에 대한 생태학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종합하였다. 자연조건과 세밀한 관계 설정 방식을 가지는 풍토건축으로서 첫째, 자연의 형상을 따르는 토지이용방식('본성' '상생' '중화'), 둘째, 자연과 일체감을 이루는 물리적 공간요소('중절' '상생' '중화'), 셋째, 한정된 자연에너지와 자원을 재활용하면서 지속적인 순환체계 유지('효율' '자생' '방통'), 넷째,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자연재료 이용('중절' '효율' '자생'), 다섯째, 미기후를 고려한 평면과 구조 결정('효율' '자생' '변통')으로 정리된다. 이에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은 다른 유형의 전통공간보다 자연 안에서 효율적인 자원 소비 공간을 목표하였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우리식 환경교과 구성을 위한 기초이론 연구 -지역 공동체성과 생활세계의 복원을 중심으로- (A Theoretical Approach to Oriental Ecological Philosophy for Orthodoxy Korean Thought-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Regional Communality and Restoration of People's Real Life-)

  • 김태경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5권2호
    • /
    • pp.30-48
    • /
    • 2002
  • This study is on theoretical foundation for orthodoxy korean style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oriental ecological thought. The main theme is that various kinds of all the ideas related with ecological thought based on oriental thoughts for EE should be focused into Moderation, the core-concept of oriental confuscian thoughts. The Moderation has not meant just a personal enlightenment, as it has known to general people, it can be developed into social status core-consciousness for regulating the natural resource. So we should focus on this conceptual developing mechanism personal enlightenment into social status for our orthodoxy konean style EE. It can be infered from Taoism, Confuscionism Buddism, especially, Anxiety Consciousness (WOOHWAN) for grand-scale anxiety to public society and universal cosmos. And also I drawed Harbermas-philosophy to provide good means for fortifying this research. His communication theory and restoration of real life for public people communication can be connected to oriental thoughts in the aspect of reciprocative response among the community people. So our orthodoxy korean style EE can be erected on the community-based regionality and their public communication through reciprocative response process. We should try to make this surrounding conditions nature-familiar oriental philosophy has provided from ancient times in the aspect all the traditional thought has been eco-deterministic.

  • PDF

상호작용하는 건축공간에서 나타나는 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logical characteristic in Interactive architecture)

  • 고귀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21-128
    • /
    • 2012
  • Interactive space became one of the modern contemporary society design paradigms. For elevating the interactive effect, we need Interactive design development which uses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teractivity. Digital technology is resulted in a change to a society as well as to the life of human and its way of communication. This study is inquiry into the relations and the common characteristics between ecological architecture space and eco-centric environmental philosophy by making a comparative research. This aims to examine type of spatial contexts for perform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or theory by interactive space and case studies for ecological construction elements to design. And the range of case study is limited to interaction space in addition of interactive elements and user interface. And analysis conclusion is show the many type. Five principles that draw at ecological design conceptualization process, whole unity, variety of organic at ecological design conceptualization process, circularity, homeostasis, allness, biological evolution, diversity have involved with concept that presents in ecological esthetics and organic property of ecology-system.

  • PDF

가정철학의 실천적 생활 연계를 위한 연구 (A Study for Connection of Practical Life and Philosophy of Household Management)

  • 서미란;지영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3권2호
    • /
    • pp.91-103
    • /
    • 1999
  • This paper gropes how to connect philosophy of household management(PHM) to real life. PHM is to think and to act for better quality of life, so PHM should contain not only theory but also practice in itself. In that sense, PHM is consist of two parts: one is viewpoints how to deal with home management and the other is practice. This paper presents 5 main viewpoints of PHM. Then, it explains PHM can connect with education of human nature, and ecological value in PHM can connect with practice of life. Also, it proposes a guide for practice.

  • PDF

환경철학의 이해와 생태적 주거의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the Ecological Planning for Housing Developments)

  • 현택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47-159
    • /
    • 1999
  • As we have come to realize the problems caused by the modern civilization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he preservation of nature. Ecological building and urban design come to attract more attention. Therefor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providing the design factors and improving the design methods for the developments of ecological housing complex, harmonious with environment.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We need to turn to new trend-Ecological architecture which enables the co-exitence of nature and human being to come over the presence and face new decades. 2. Ecological architecture is based on energy-saving system and give people a healty and comfortable atmosphere. 3. In the city area, the house development should be undertaken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problem through extremely high ehhiciency and technonogy. 4. We need a new development to preserve natural environment in the suburvan and small or medium city. 5. We have to develope the approach method, which is to maintain the frame of present ecological environment, to be in sympathy with geomorphology, to use the natural material in the rural community.

  • PDF

로랑 보두앵 건축의 공간 특성과 빛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Light presented in the Works of Laurant Beaudouin)

  • 김창성
    • KIEAE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63-70
    • /
    • 2016
  • Purpose: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philosophy of Laurant Beaudouin who is one of Neo Corbusian architects. They were in succession to Le Corbusier's principles of modern architecture, and developed his concept of modern architecture with their own creative architecture, and formed a big achievement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As a representative Neo Corbusian architect, the design concepts and principles of Laurant Beaudouin were analyzed in relation of nature, light and space. Method: Three step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aper; Firstly, investigated significant hi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s a neo corbusian architect in the point of view of plan libre, architectural promenade and light; Secondly, analyzed his architectural philosophy on light, gravity and color, Finally, deducted relation light and space through analysis 5 works of Beaudoui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Laurant Beaudouin has greatly developed of Corbusier's principles and philosophy of modern architecture, and then, created his own originative architectural works by combining nature, light and space and presented architectural promenade with the change of time.

한국 대안교육의 교육철학으로서 비판교육학 논의 (A Discussion on Critical Pedagogy as a Philosophy in Education for Alternative Education in Korea)

  • 허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77-487
    • /
    • 2021
  • 한국의 대안교육은 1990년대 이후 교육운동으로 성장해왔다. 최근에는 혁신학교, 자유학기제, 고교학점제 등 공교육 체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성장해왔다. 2021년에는 교육 기관으로 인정받고 지원받기 위해 제도적 기반도 만들어졌다. 20년간 대안교육운동을 성찰한 결과 후반 10년은 정체된 잃어버린 시간으로 이해하고 있다. 새로운 '대안'에 대한 고민으로 교육철학의 빈곤함도 쟁점으로 부각되었지만 특별한 논의가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이 연구는 그간 진행해온 대안교육의 이념들을 담을 수 있는 교육철학을 제안하고자 논의하였다. 비판교육학은 의식적인 해방을 통해 주체적이고, 자율적이며, 능동적이고, 자주적인 인간 양성이 목표이다. 최근에는 생태환경과 페미니즘에도 관심을 가지고 논의해왔다. 프레이리, 일리치 같은 학자들의 교육철학은 대안교육운동 초기 기초가 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점을 미루어 볼 때 한국의 대안교육운동은 비판교육학을 통해 이해할 수 있으며, 미래 새로운 대안을 위한 교육철학으로 타당함에 대한 가능성을 이 연구는 논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