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klonia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21초

여드름균(Cutibacterium acnes)에 대한 해조류 추출물의 항균효과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dible Seaweeds Extracts Against Cutibacterium acnes)

  • 이명석;임미진;이정민;이대성;김영목;엄성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11-117
    • /
    • 2021
  • The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n alternative therapeutic agent against acne vulgaris, one of the most common skin diseases, to meet the continuing demand for new therapies. Acne vulgaris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acne-causing bacteria such as Cutibacterium acnes.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agents against acne vulgaris, we evaluated the potential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dible seaweeds against C. acnes in Korea. Forty-one edible seaweeds, including the brown, green, and red varieties, were selected for the antibacterial test. In comparison with other seaweeds, 70% ethanolic extracts of brown seaweeds, such as Cladophora wrightiana var. minor, Eisenia bicyclis, Ecklonia cava, Ishige foliacea, Ishige okamurae, Sargassum filicinum, and Sargassum miyabei Yendo, exhibited potential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C. acnes with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ranging between 64 and 128 ㎍/mL. To investigate the active anti-acne agents an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C. acnes, further solvent-fractionation experiments are warranted. The findings imply that brown seaweeds can be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gents against acne vulgaris.

한국 제주 연안의 조하대 해조상 및 군집구조 모니터링(2016-2018) (Monitoring of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Subtidal Zone around Jeju Coasts, Korea (2016-2018))

  • 김보연;한송헌;김정년;고준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691-700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the seasonal variations of subtidal marine algal community structures along four sites in Jejudo Island, Korea, from February 2016 to November 2018. A total of 147 marine 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3 green (8.84%), 26 brown (17.69%), and 108 red algae (73.47%). During the study period,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st in Sagye (116 species) followed by numbers in Sinheung (98 species), Bukchon (90 species) and Sinchang (73 species). Ecklonia cava, Peyssonnelia caulifera, Synarthrophyton chejuense, Corallina aberrans and Corallina crassisima occurred at all study sites and in all seasons. The average annual biomass of marine algal flora was 746.29±88.85 g wet wt./m2 and ranged from 652.25 g/m2 at Sinheung to 979.91 g/m2 at Sagye. The brown alga E. cava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occupying 42.85% (319.80 g/m2) of the total seaweed biomass. Subdominant species were C. crassissima and Undaria pinnatifida, comprising 10.22% (76.29 g/m2) and 9.66% (72.13 g/m2), respectively. A similarity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algal communities, with three distinct groups.

Effects of Natural Extract Mixtur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Seung-Hye Woo;Min Kyung Park;Min-Cheol Kang;Tae-Kyung Kim;Yea-Ji Kim;Dong-Min Shin;Su-Kyung Ku;HeeJin Park;Heeyoung Lee;Jung-Min Sung;Yun-Sang Cho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46-164
    • /
    • 2024
  • Owing to the residual toxicity and adverse health effects of chemical preservative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using natural preservatives in food. Although many natural extracts have been evaluated, research on their antibacterial effects remain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Psidium guajava, Ecklonia cava, and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extracts as natural food preservatives. Further, the effect of mixing these extracts on microbial growth and quality was evaluated during the refrigeration of sausages. Optimal mixing ratio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minimum inhibitory and bactericidal concentrations of each mixed extract against the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and Escherichia coli. D-optimal mixing design optimization tool was further used to obtain an optimum mixing ratio of Formulation 1 (F1).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F1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with similar activities at 0.5% and 1%. The sausages with synthetic or natural preservativ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lipid oxidation than those of the control and grapefruit extract-treated sausages after 4 wk of refrigeration. Total plate counts were observed only i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stored for 3 wk, and no significant effect of ascorbic acid was observed. Compared to the other samples, sausages with added natural extracts showe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initially and after 4 wk. Therefore, similar amounts of grapefruit seed and natural extracts had the same effect on microbiological analysis and lipid rancidity during sausage storage. Hence, this mixture can serve as a potential natural preservative in meat products.

제주 가파도 해역의 조하대 해조상 및 군집구조의 연간 변동 (Annual Variation of Macro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Subtidal Zone at Gapado Island, Jeju, Korea)

  • 김보연;한송헌;이승종;고준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79-87
    • /
    • 2024
  • We seasonally examined marine macroalgal community structures in the subtidal zones at Gapado Island, Jeju, Korea, from February 2013 to November 2019. A total of 164 macro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5 green, 40 brown, and 109 red algae. Species richness ranged from 54-106 species, with the maximum observed in 2013 and the minimum observed in 2015. Cladophora wrightiana var. minor, Ecklonia cava, Amphiroa anceps, Corallina aberrans, Corallina crassisima, Synarthrophyton chejuense, Sonderophycus capensis and Plocamium telfairiae occurred in all seasons. The average annual seaweed biomass was 1,258.22 g wet wt./m2, ranging from 917.51 g/m2 in 2017 to 1,551.95 g/m2 in 2014. E. cava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accounting for 46.57% of the total seaweed biomass. The subdominant species were P. telfairiae and A. anceps, comprising 8.64% (108.75 g/m2) and 6.65% (83.61 g/m2) of the total biomass, respectively.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ubtidal seaweeds were represented by E. cava and P. telfairiae at 5-20 m, A. anceps at 10-20 m, C. aberrans and C. crassisima at 5 m and C. wrightiana var. minor at 10 m. Cluster analysis revealed three distinct groups: group A (2014-2018), group B (2019) and group C (2013), indicat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nual seaweed community.

해조공진단의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및 난소를 절제한 흰쥐의 혈소판 응집과 혈청 내 지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aweed Gongjindan on Estrogen like Activities, Platelet Aggregation and Serum Lipid Levels in Ovariectomized Rats)

  • 전명정;김서연;김보경;천지현;박성환;오은진;이상현;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9호
    • /
    • pp.1155-1162
    • /
    • 2013
  • 갱년기의 여성에는 여러 폐경 증후들이 나타나는데, 특히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한 혈중의 지질 조성의 변화 등으로 골다공증 및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율이 높아지게 된다. Estrogen의 감소는 다양한 생리적 변화를 초래하며 특히 심혈관계 질환을 빠르게 진행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이 뛰어난 갈조류를 선정하여 해조공진단을 제조하였으며, 실험동물인 흰쥐의 난소를 절제하여 인위적으로 갱년기를 유도한 후 해조공진단이 혈소판 응집능 및 혈중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에스트로겐 검출시스템을 사용하여 공진단 및 갈조류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을 검증한 결과, 다시마 및 곰피 열수 추출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다시마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in vitro 실험 결과를 통해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해조공진단을 제조한 후, 갱년기를 유도한 실험동물에 투여하여 혈소판 응집능 및 혈청 내 지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해조공진단 투여로 인해 OVX-CON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의 경우, 해조공진단을 투여한 OVX-GJD군은 OVX-CON군과 비교하여 중성지방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혈청 중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정상군인 SHAM군에 비해 난소를 절제한 OVX-CON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해조공진단을 첨가한 사료 섭취군(OVX-GJD)은 OVX-CO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혈소판 응집 저해능을 검토한 결과에서 OVX-CON군에 비해 OVX-GJD군의 혈소판 응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저해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제조된 해조공진단이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난소절제로 갱년기를 유도한 실험동물에게 이를 섭취시킨 결과 혈중 지질 개선 및 혈소판 응집 저해 효과가 나타나 갱년기 증상 완화에 활용 될 수 있는 소재로 기대된다.

제주도 연안의 해조류 분포 특성을 이용한 생태학적 평가 (Ecological Evaluation Using Seawee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long the Coast of Jeju Island)

  • 조성환;노영석;원승환;김수강;정상목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27-638
    • /
    • 2022
  • 본 연구는 제주도 연안의 해역별 해조류 분포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2018년 5월부터 12월까지 제주도 본섬 4개 정점과 유인도서 2개 정점의 마을어장에서 수행되었다. 해조류는 총 101종으로 녹조류 13종(12.9%), 갈조류 24종(23.8%) 그리고 홍조류 64종(63.4%)이 출현하였다. 계절별로는 5월에 가장 많은 해조류가 출현하고, 10월에 가장 적게 출현하는 전형적인 온대해역의 특징을 나타냈다. 수심별 해조류 출현 종수는 5m와 8m에서는 66종과 65종으로 유사하였으며, 12m에서는 74종으로 최대였다. 해역별로는 도서해역인 우도에서 66종으로 가장 많은 해조류가 출현하였고, 본섬의 동부 표선에서 27종으로 가장 적게 출현하였다. 출현종 가운데 중요도가 높은 해조류는 감태(Ecklonia cava)와 둘레혹산호말(Corallina crassissima)로 각각 21.1%와 20.3%를 나타냈으며, 방황혹산호말(Corallina aberrans) 9.2%, 에페드라게발(Amphiroa ephedraea) 6.2% 그리고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acrocarpum) 4.4%의 중요도를 나타냈다. 해조류 중 산호말류는 평균 11.2종이 출현하였고, 각 해역의 산호말류 중요도는 평균 32.6%로 우도에서 14.7%로 가장 낮았고, 표선에서 가장 높은 41.0%를 차지하였다. 해조류 군락의 생태학적 평가지수(EEI)는 2.1~10.0으로 표선의 5월과 6월 12m에서 가장 낮았고, 그 밖의 다른 해역에서는 평균 7.3이상으로 좋은 상태를 나타냈다. 본 조사에서 설정한 생태등급기준 I 등급은 우도와 추자도의 수심 12m이었으며, II 등급은 사계와 추자도의 수심 5 m와 8 m가 해당되었다. III 등급은 표선과 귀덕2의 수심 5m와 12m, 평대의 수심 5m와 8m가 해당되었으며, IV 등급은 귀덕2의 수심 8m가 해당되었다.

해조(海藻)를 이용한 효모제조(酵母製造)에 관한 연구 (Production of Food and Fodder Yeasts from Seaweed)

  • 조한옥;이종욱;채수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1-107
    • /
    • 1973
  • 비 식용 해조로부터 식용 및 사료용 효모를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해조 탄수화물 자화 능력이 강한 효모 균주 Y-2503, J-4-2 를 해조 퇴적물로부터 분리하였다. 2) 분리된 효모 균주는 galactose, sucrose, glucose 의 발효력은 있었으나 maltose 와 mannit 의 발효력은 없었으며 mannit 를 자화시킬 수 있었다. 3) $1{\sim}2%$ NaCl 농도는 효모 증식에 별 영향이 없었으며 최적 pH 는 $4{\sim}5$ 였다. 4) 해조 분해물에서 pH $4{\sim}5$ 일때 침전물을 제거한 배양액에 있어서는 $(NH_4)_2SO_4$, $NaH_2PO_4$ 의 첨가가 당질의 자화와 효모 수량을 증가시켰다. 5) $Co^{60}$ gamma ray 조사(dose rate : 1 Mrad/hr. BNL shipboard irradiator)는 해조의 탄수화물 및 질소 화합물의 분해를 별로 증가시키지 못하였으나 효모 수량은 상당히 증가되었다. 6) Jar fermentor에서 효모를 배양한 결과 건물 해조에 대하여 $7{\sim}8%$의 건물 효모를 생산할 수 있었다.

  • PDF

사료내 감태 및 감태로부터 추출한 crude lectin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 김성권;유선종;안병기;박근규;이훈택;송창선;허억;강창원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4년도 제21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23-25
    • /
    • 2004
  • 본 실험은 감태와 crude lectin의 사료내 첨가가육계의 생산성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일령 Ross 수평아리 총234수를 공시하여 대조구(-), 대조구(+), 감태 1.0%, crude lectin 0.05 %, 0.1 %, 및 0.3 %로 6처리 3반복, 반복당 13수씩을 총 38일간 실험사료를 급여하였고, ND-IB 혼합 사독백신은 4일령에 피하접종하였다. 사료요구율에 있어서는 crude lectin 0.3 %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ND-IB 사독 혼합백신 접종 3주 후에는 감태와 crude lectin의 첨가구의 ND와 IB 백신 역가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상승하는 경향이나 상승효과가 있었다(P<0.05). 폐사율에 있어서 crude lectin 첨가구들은 살모넬라를 감염시킨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닭에서 IFN-v, IL-2, 및 IL-6의 mRNA는 살모넬라 감염에 의해 높게 발현되었고, 감태와 crude lectin은 IFN-v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감태 1.0 %와 crude lectin 0.05 % 첨가구는 IL-2와 IL-6의 mRNA 농도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경향이나 유의하게 높았다(p<0.05).

  • PDF

35종 해조류 추출물의 병원성 세균 및 Candida sp. 진균에 대한 항균 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35 Seaweed Extract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nd Candida sp.)

  • 김미선;권경진;이민진;안선미;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4-151
    • /
    • 2012
  • 해양생물 유래의 기능성 물질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35종 해조류로부터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여 항생제 내성균주를 포함한 다양한 세균 및 진균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패, 넓패, 알쏭이 모자반 및 야마다 모자반에서 광범위한 세균에 대해 우수한 항세균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4종과 함께 곰피, 대황, 감태 및 톳의 8종에서 Candida albicans 생육억제력을 확인하였다. 이중 패, 넓패, 야마다모자반 추출물은 500 ${\mu}g/mL$ 농도에서 55-93%의 인간적혈구 용혈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8종 해조류의 메탄올 추출물을 n-hexane, ethylacetate, butanol을 이용하여 순차적 용매 분획물과 물 잔류물을 조제하여 다양한 Candida sp.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한 결과, 패 및 넓패로부터 C. albicans 및 항생제 내성 Candida sp.에 대한 신규의 항균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해조류 특히 패, 넓패, 알송이모자반, 야마다모자반이 다양한 세균 및 항생제 내성진균의 제어를 위한 생물자원으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미곡창고 오염균주에 대한 천연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dicinal Herbs and Seaweeds Extracts Against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he Rice Warehouses)

  • 이소영;김진희;김꽃봉우리;송유진;김아람;박선미;한충수;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76-480
    • /
    • 2007
  • 쌀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요인에 의한 품질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미곡창고 내의 환경과 창고 내에 보관되어 있는 나락에서 곰팡이, 세균 및 효모를 분리 동정한 후 주요 오염균에 대한 상백피, 감초, 꽈배기 모자반 및 감태의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미곡창고 내의 환경과 나락에서 분리된 주된 오염균은 Sphingomonas paucimobilis와 Bacillus cereus를 비롯한 여러 Bacillus 속 세균과 불완전균류, Aspergillus spp., Penicillium spp.의 곰팡이 그리고 Candida spp.의 효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균주에 대한 천연추출물의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 상백피, 감초, 꽈배기 모자반 및 감태 모두 미곡창고 오염균주에 대해 항균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꽈배기 모자반, 상백피, 감초는 항진균 활성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상백피의 항균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는데, $0.0025{\sim}0.0075%$농도에서 주요 오염균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내 열성 포자를 형성하는 Bacillus cereus의 생육을 0.0025% 농도에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이들 천연추출물을 미곡창고 내에 처리하거나 나락에 직접 처리할 경우 쌀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