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 Science learning materials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5초

지구과학에서의 가상 현실의 사용에 따른 예비 과학교사의 학습환경 인식 연구: 시험적 적용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in Earth Science with Using Virtual Reality (VR): An Exploratory Case)

  • 신명경;김희수;김종헌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9-27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교양지구과학과목을 수강하는 36명의 예비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가상현실(VR)의 사용을 한 차시에 걸쳐 시도하였다. 수업을 하기 전과 후에 구성주의 학습환경 조사(CLES)를 실시하였다. CLES의 주된 초점은 수업이 학생중심 수업환경을 얼마나 잘 보조하고 지원하는가다. 학생의 자신의 수업환경에 대한 사전 및 사후검사는 여섯가지 하위 영역으로 나뉜다.: 학생적절성, 비판적 시각, 교실통제의 나눔, 학생 간의 타협, 과학적 불확정성, 태도이다. 아울러 가상현실에 대한 미래교사의 인식에 대한 설문지도 실시하였다. 미래의 과학교사들이 가상현실 자료를 교실에서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했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주도의 수업환경을 학생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수업에로의 변화를 도모하는 것과 같은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측면을 제안하여가상현실의 잠재력에 대한 보다 완벽한 이해를 꾀하려 하였다.

중학교 과학에서 탐구자료 활용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Inquiry Instruction Utilizing Materials in Middle School Science)

  • 김상달;김찬기;김희정;주국영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3-71
    • /
    • 2008
  • The purpose for this study is to check if research activities can make positive effects on inquiry instruction utilizing materials when compared to traditional instruction utilizing the textbook. The effects of the class should be measured both in cognitive domain and in affective domain. The cognitive domain was measured by the change in achievements in learning science, and the affective domain was measured by the change in learning attitudes of science. The assumptions to be verifi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hievements in learning science are higher in the learner oriented inquiry instruction utilizing materials than in the learner oriented traditional instruction utilizing the textbook. Second, learning attitudes of science are higher in the learner oriented inquiry instruction utilizing materials than in the learner oriented traditional instruction utilizing the textbook.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In the cognitive domain, achievements in learning science showed significant change(p=.045) measured by verifying the score for the difference among the averages for each sub-scale, in 5% of meaningful probability, and were higher in the inquiry instruction utilizing materials study. In the affective domain, learning attitudes of science showed significant change(p=.019) measured by verifying the score for the difference among the averages for each sub-scale, in 5% of meaningful probability, and were higher in the inquiry instruction utilizing materials study. In learning attitudes of science, 2 items(self-conception of science, attitudes of learning science) out of 3 items(self-conception of science, attitudes of learning science, learning habits of science) showed significant changes (p=.045, p=.001). But the difference(learning-habits of science) was not significant(p=.914).

  • PDF

구석기 유물 유적을 활용한 지구과학 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 방안 (A Development of Earth Science Learning Materials Using Paleolithic Remains and Its Applications)

  • 조규성;이헌종;김정빈;정덕호;신민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9-16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적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기 위해 영산강 유역에서 발굴된 구석기시대 유물 유적을 활용하여 지구과학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구석기 유물 유적을 활용한 학습 자료는 예비 활동 자료, 박물관에서의 활동 자료, 유적지 답사를 위한 활동 자료, 구석기 유물을 제작하는 활동 자료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학습 자료에 대해 과학교사와 학생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설문에 응답한 과학 교사들 10명 중 6명은 유물 유적을 활용한 교수 학습 자료가 탐구력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습 자료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정규 수업이 아닌 동아리 활동, 현장학습, 과제부여 등에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반응하였다. 구석기 유물 유적을 활용한 학습자료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질문 방향이 다양해졌으며 질문하는 횟수도 증가하였다. 유물 유적을 활용한 학습자료는 학생들이 광물과 암석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본 학습 자료는 교사들의 학습 주제 선택의 폭을 넓혀줄 것이라 기대된다.

거꾸로 수업기반 지구과학 수업모델 개발 및 적용 사례 (The Development and Applied Case of Earth Science Class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 문병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1-103
    • /
    • 2017
  • 이 연구는 거꾸로 수업에 기반 한 지구과학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초등 예비 교사의 과학수업에 수업모델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모델은 교실수업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내용과 정보를 사전에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거꾸로 수업에서의 선행과제를 대체하였다. 교실수업에서 '지식'내용은 교수에 의한 강의식 설명으로 20분 동안 학생들에게 수행되었으며, 그 후 학생들은 지식과 관련된 심화탐구문제를 토론 협력을 통해 모둠별로 해결하였다. 탐구문제 해결 후, 모둠원 중 발표자로 선정된 한 학생이 모든 학생들 앞에서 모둠에서 수행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14차시 수업 중에 나타난 학생들의 학습과정과 사전에 제공된 학습 자료의 포트폴리오는 기말고사를 대처한 한 학기의 과정평가로 교수에 의해 운영되었다. 수업에 참여한 많은 학생들은 본 수업 모델이 수업에 대한 집중력, 그리고 토론기술과 사고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결론 적으로 본 수업모델은 지구과학수업에서 적용하는데 매우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창의·인성교육 기반 지구과학 수업모형 제안 (A Suggesting of the Earth Science Lesson Model Based on the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 문병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97-30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earth science lesson model based on the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To conduct this study, the curriculum revision in 2009 was analyzed by the causal mapping method. One after another, the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and earth system education were analyzed by the same method. Through as mentioned above, the key words which have relating concepts each other were picked out. Lastly, the key words were connected and compounded for the earth science lesson model based on the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The model indicates that the earth science lesson based on the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requires the reconstructs of the processing and contents of the lesson. In other words, the teaching/learning must be progressed as corresponding between scientific facts and mental recognition, scientific concepts and compounding thinking skill, scientific laws and reconstructing thinking skill. In contents were reconstructed as relating to knowledge, creativity, characters and guidance couns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earth science lesson model based on the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needs developing and apply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managing discussing and cooperative learning.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n Exemplary Science Teacher's Earth Systems Education Experiences

  • Lee, Hyon-Y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00-520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case study were (1) to explore one experienced teacher's views on Earth Systems Education and (2) to describe and docu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Systems Education (ESE) curriculum provided by an exemplary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 Dr. J. All the essential pieces of evidence were collected from observations, interviews with the experienced teacher and his eighth grade students, informal conversations, document analysis, and field notes. The $NUD^*IST$ for MS Windows was used for an initial data reduction process and to narrow down the focus of an analysis. All transcriptions and written documents were reviewed carefully and repeatedly to find rich evidence through inductive and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ESE provided a conceptual focus and theme for organizing his school curriculum. The curriculum offere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learn relevant local topics and to connect the classroom learning to the real world. The curriculum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students' value and appreciation of Earth systems and concern for the local environment. His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very compatible with recommendations from a constructivist theory. His major teaching methodology and strategies were hands-on learning, authentic activities-based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project-based learning (e.g., mini-projects), and science field trips. With respect to his views about benefits and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ESE, the most important benefit was that the curriculum provided authentic-based, hands-on activities and made connections between students and everyday life experiences. In addition, he believed that it was not difficult to teach using ESE. However, the lack of time devoted to field trips and a lack of suitable resource materials were obstacles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단순화 조건법을 이용한 지질 연대 분야의 학습 자료 개발과 그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Learning Materials of Earth Science Using Simplifying Condition Method)

  • 김종희;정희경;김상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95-507
    • /
    • 2003
  • 본 연구는 정교화이론을 기초로 개발된 단순화 조건법을 적용하여 지구과학 교과의 지질연대 단원에서 지질 단면도 해석에 대한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개발된 자료의 수업에서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단순화 조건법을 적용한 수업과 체제적 과제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 자료를 적용한 수업과의 비교 실험을 실시하고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특성과 과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얻어진 결론으로는, 단순화 조건법을 이용한 수업은 다른 자료를 활용한 수업에 비하여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특성과 학업성취도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단순화 조건법에 따라 개발된 자료를 활용한 수업에서 핵심과제(epitome)의 제시는 학생들에게 새롭고 복잡한 학습과제를 간단하고 의미 있게 하며 이를 기존의 지식들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 결과로 생각된다.

SF 영화를 활용한 과학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Learning Material Including SF Movies)

  • 이용규;국동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748-753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SF(Science Fiction)영화를 활용한 교육용 웹 콘텐츠를 개발하여 과학 수업에 적용함으로서 학습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 중 “지구와 별” 단원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SF영화 3종류, “아마겟돈”, “아폴로13”, “토탈리콜”을 선정하고 영화의 내용 중 과학 하습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WBI용 웹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개발된 학습 자료를 2대 학습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에 적용하고 ‘SF영화를 수업에 활용하는 데 대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와 ‘과학과 관련된 태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업 전보다 수업 후에 ‘SF영화는 과학 교과 내용과 관련된 것이 많고 웹을 이용한 과학 수업이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나(p<0.05), ‘과학과 관련된 태도 변화’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그러나 학생들에게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학습 효과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웹을 이용한 학습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쉽게 과학에 접근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학습방법이라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지구과학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 데이터베이스 개발 (Development of Multimedia Database for Earth Science Learning)

  • 이원국;김여상;김칠영;김종헌;김희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6-12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및 고등학교의 지구과학 내용에 대한 멀티미디어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학습프로그램은 HTML 형식이며 텍스트, 사진, 그림, 동영상 등 다양한 내용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크게 학습 내용, 용어사전, 생활 과학, 탐구 활동, 영상 자료, 형성 평가 등 6가지 데이터베이스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멀티미디어 학습 프로그램을 교사와 학생들에게 적용해본 결과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 프로그램은 현재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인터넷 흠페이지에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 PDF

Jigsaw 협동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ask Commitment through the Jigsaw Cooperative Learning)

  • 이용섭;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7-97
    • /
    • 2015
  •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the effect of class applied Jigsaw cooperative learning to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task commitment. This study has been aimed at 2 class 66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who take "Science and study of teaching materials I" enrolled in B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B city. This study targets to 2009 revision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of changes in earth's surface(3-1), the volcano and earthquakes (4-1), the solar system and the stars (5-1), the motion of the Earth and the Moon (6-1) sections. Clarify the subject of study for implementing a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class applied Jigsaw cooperative learning to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class applied Jigsaw cooperative learning to task commitment? Third, what is awareness of class applied Jigsaw cooperative learning?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lass applied Jigsaw cooperative lear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Second, class applied Jigsaw cooperative lear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ask commitment. Third, in the course of discussion, students got consideration for others with leadership in their discussion was good in the class applied Jigsaw cooperative learning discussion. There was a response that they would like to do the class continu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