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 Science Education

검색결과 2,163건 처리시간 0.021초

'위기의 지구'에 대한 인지프레임 비교: 대학교 신입생들 대상으로 (A Comparison of the Freshmen's Cognitive Frame about the 'Crisis of Earth')

  • 정덕호;최현아;박선옥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7-13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에서의 지구과학 I 이수 여부에 따른 대학교 신입생들의 '위기의 지구'에 대한 인지프레임을 비교하여 이것이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규 교육과정을 거쳐 고등학교를 졸업한 67명에게 위기의 지구에 대해 그림으로 표현하고 그에 대해 설명하도록 했으며, 그림으로부터 각각의 의미 단위를 추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단어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하고 이를 시각화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수 집단과 비이수 집단에서 모두 '위기의 지구'에 대한 인지프레임을 구성할 때, 지구환경을 구성하는 각 영역을 서로 연결시켰으며 상호 영향을 미치면서 변화하는 관계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 모두 위기의 지구에 대한 인지프레임을 구성할 때 인간 활동과 관련지어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이수 집단에서 인지프레임을 구성할 때 교육과정을 충분히 반영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대부분의 학생들이 '위기의 지구'에 대해 지구 외적인 현상보다는 지구 내부의 현상과 강하게 연결시키고 있으므로 지구 내부뿐만 아니라 전 우주적인 관점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위기의 지구 문제 해결에 대한 당위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학교 현장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

An Analysis of Korean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for 20 Years of TIMSS

  • Kwak, Youngs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78-387
    • /
    • 2018
  • In this research, the change of Korean middle-school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s is investigated through analyzing eighth graders' survey data collected over the past 20 years of TIMSS. We extracted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that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on changes of Korean science education, and have been surveyed more than 3 study cycles up to TIMSS 2015. The selected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include school resources and school climate from the school principal's questionnaires, and teacher characteristics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from the teacher's questionnaires. For each context variable, we analyzed its trend over TIMSS cycles, and discussed its implications in light of Korean educational policy and curriculum changes. Based on the results, we recommended several ways that help to improv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n light of lab assistants, computer availability,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middle school Earth science curriculum.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A Case in Korean Earth Science Classrooms

  • Oh, Phil-Seok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17-328
    • /
    • 2005
  • This study is a report of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which has been conducted between a Korean earth science teacher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er. A two-year long action research effort was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teacher’s earth science classrooms in pursuit of constructivist principles of learning. The process of the action research was described with the aim of increasing the awareness of science teachers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ers regarding action research. Quantitative evidence was presented to indic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in creating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in the classrooms. The process and quantitative evidence from the action research permitted a consideration of implications for future efforts to improve science classrooms.

지구과학 수업에서 노래의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반응과 평가 (Pre-service Teacher Trainees의 Reactions to and Evaluations About The Earth Science Teaching Method That Utilizes Songs.)

  • 명전옥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8권2호
    • /
    • pp.131-144
    • /
    • 199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service teacher trainees' reactions to and evaluations about the earth science teaching method that utilizes song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1 university students in teacher training institutes for prim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The researcher used songs which the subjects judged to be reflecting some of the natural phenomena related to the earth science. The teacher trainees were taught some of the earth science concepts with the help of the selected songs. Discussions about the possibilities of the songs as an ai d to science teaching were also encouraged. The teacher trainees demonstrated positive reactions to the teaching method, and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use songs in their future teaching. The method also inspired the trainees to be inquisitive in their everyday life and seek other effective teaching methods.

  • PDF

지구과학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Earth Science Scientists)

  • 김윤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9-168
    • /
    • 2014
  • 본 연구는 90명의 고등학생들(성취도 상 중 하 수준의 각 30명)을 대상으로 GAP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발된 10개의 문항으로 지구과학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고등학생들은 지구과학 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으나, 직업인으로서 지구과학자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하며, 자신의 진로로 연계하여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성취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지구과학 학습의 실패는 지구과학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미래 진로로의 비연계로 이어졌다. 학교교육 현장에서부터 학생들이 지구과학자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직업으로 연계시키려는 노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Analysis of Argumentation Structure in Students' Writ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SSI): Focusing on the Unit of Climate Change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I

  • Yoo, Bhyung-ho;Kwak, Youngsun;Park, Won-Mi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05-414
    • /
    • 2020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evelop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rgumentation through their writings on socio-scientific Issues (SSI) related to the Climate Change Unit in the Earth Science I curriculum. Pre- and post-writing assignments on the two main causes of global warming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addition, an in-depth interview of the focus group was conducted with 7 students who showed a distinct change in the level of argument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16 of 52 students remained at the same argumentation level in pre- and post-writing assignments, and students remaining at Level 2 among five levels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Toulmin's argument pattern (TAP) structure. Using the TAP structure, 29 of 52 students demonstrated increased argumentation levels in the post-writing assignments. The conclusions include that writing lessons on SSI using the TAP in Earth science classes can improve the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argumentative writing, and that the level of students' argumentation can develop with the elaboration of their level of falsification. Also, it is suggested that the science curriculum should increase students' science writing competencies by specifying science writing as one of the goals.

Factors Affecting Earth Science Problem-Solving Performanc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 Study on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 Myeong, Jeon-Ok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0-187
    • /
    • 200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earth science problem-solving performanc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81 students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The instruments of the study were paper-and-pencil test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tests mainly measured the participants'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problem solving abilities were low. Problem-solving performances were affected by the procedural knowledge,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the past earth science performance, self-efficacy, and the prerequisite declarative knowledge. Contrary to our expectation, the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was not found to be related to the problem-solving performances.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rawn, and suggestions are made for further research.

Understanding the Estimation of Circumference of the Earth by of Eratosthenes based on the History of Science, For Earth Science Education

  • Oh, Jun-Young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4-225
    • /
    • 2017
  • 지구크기에 대한 최초의 정확한 측정은 기원전 230년, 헬레니즘의 과학자인, 에라토스테네스 (276-195 B.C.)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역사적으로 수학적 추상화는 유럽의 고대 그리스인의 천재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그 당시에는 상상하기 어려운 태양이 멀리 떨어져 있기에 태양광선이 평행하게 지구에 입사한다는 전제를 요구하는,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기법의 에라토스테네스의 과학적 방법의 성공이었다. 중요한 것은 간단한 수학적 비례식을 성립하기 위해서는 지구가 둥글고, 광선이 지구에 나란하게 들어온다는 가정이 필요하였다. 즉 천상으로부터 지상으로 유클리드 기학학이 연결된다는 내용이다. 그것은 최초로 태양중심을 주장한 아리스타쿠스의 제안을 받아들여야 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관인 우주는 아름답고 우아하다는 사상에 기반을 두어 지구는 구처럼 대칭적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가정들을 현대가 아닌 그 당시 어떻게 정당화 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실험의 미적 관점에서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측정의 중요한 특징은 단순성에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과학 영재 학생의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중요성이 과학 동기에 미치는 영향: 탐색적 연구 (The Impact of Self-Reported Knowledge and Self-perceived Importance about Earth Systems on Science Gifted Students' Science Motivation: An Exploratory Study)

  • 오준영;이현동;이효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80-590
    • /
    • 2015
  • 이 연구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지식, 중요성, 과학 동기 사이에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기존에 수행되지 않았던 내용을 다루는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는 K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등 융합과학반 학생 93명을 대상으로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중요성, 과학 동기를 분석할 수 있는 설문지를 투입하고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중요성이 과학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지구계에 대한 지식은 과학 동기에 상관계수 .656으로 높은 상관을 보여주었다. 반면 지구계에 대한 중요성은 과학 동기와 .387로 다소 낮은 상관이 나왔다. 높은 상관을 보여준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과학 동기의 회귀분석을 통해 그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과학 동기의 총 변화량의 43%를 지구계에 대한 지식이 설명함을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구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과학 영재 학생들의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과학 동기의 유발과 함께 학습 동기와 관련된 다양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