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arth Retaining

Search Result 458,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선정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Model of Retaining Wall Methods Using Support Vector Machines)

  • 김재엽;박우열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18-126
    • /
    • 2006
  • 건축공사가 대형화됨에 따라 대규모 지하공간을 구축하기 위한 흙막이 공사의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따라서 적정한 흙막이공법의 선정은 건축공사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흙막이공법의 설계와 시공이 분리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많은 설계변경이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설계변경은 건설사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공사비와 공기 측면에서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흙막이공법에 대한 의사결정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Support Vector Machine(SVM)을 활용한 흙막이공법 선정모델을 구축하여 제안하였다. SVM은 기본적으로 이원분류를 위한 분류기이기 때문에 이원분류기를 조합한 형태의 다원분류기로 확장하여 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한 SVM 모델을 실제사례에 적용한 결과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SVM 흙막이공법 선정모델은 흙막이공법 선정의 의사결정과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사례기반추론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선정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Model of Retaining Wall Methods Using Case-Based Reasoning)

  • 김재엽;박우열;김광희;김중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5호
    • /
    • pp.76-83
    • /
    • 2004
  • 건축공사가 대형화됨에 따라 대규모의 지하공간을 구축하기 위한 흙막이 공사의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따라서 적정한 흙막이공법의 선정은 건축공사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흙막이공법의 설계와 시공이 분리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많은 설계변경이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설계변경은 건설사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공사비와 공기 측면에서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흙막이공법에 대한 의사결정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례기반추론기법을 활용한 흙막이 공법 선정 모델을 구축하여 제안하고, 이를 실제 시공된 사례를 이용하여 모델을 평가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유사사례와 추천사례에서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흙막이공법의 선정과 같이 의사결정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요소가 많고, 이러한 영향요소를 정량화하기 어려운 분야에서는 본 연구에서 활용된 사례기반추론기법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원심모형실험에 의한 침하자유형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Stability for Settlement Fre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y Centrifuge Model Tests)

  • 안광국;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6호
    • /
    • pp.23-3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보강재의 침하를 허용하는 침하형 보강토 옹벽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원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연결부의 침하를 허용하지 않는 일반형 보강토옹벽에 대한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침하형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모형실험에서 전면판은 알루미늄판을 사용하였으며, 보강재는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하였으며, 뒤채움지반은 화강풍화토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침하자유형 보강토옹벽은 80g의 중력수준에서 완전한 파괴상태에 도달하였으며, 일반형 보강토 옹벽이 69g의 중력수준에서 파괴된 것을 감안하면 침하자유형 보강토 옹벽이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69g에서 침하자유형 보강토옹벽 저면에서의 수직토압이 일반형에 비해 16% 정도 크게 측정되었다.

  • PDF

APPLICATION OF USN TECHNOLOGY FOR MONITORING EARTH RETAINING WALL

  • Sungwoo Moon;Eungi Choi;Injoon Kang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517-520
    • /
    • 2013
  • In construction operation, the temporary structure is used to support designed facilities or to provide work spaces for construction activities. Since the structure is used only during the construction operation, the operation may be given insufficient attention. The contractor is likely to try to save cost on the material and labor cost. This contractor's behavior frequently leads to construction accidents.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from the failure, the operation should be carefully monitored for identifying the effect of dynamics in the surrounding site area. Otherwise, any unexpected adversary effect could result in a very costly construction failure. This study presents the feasibility of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technology in collecting construction data during the construction operation of earth retaining walls. The study is based on the result at the Construction System Integration Laboratory (CSIL) at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A USN-based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monitoring the behavior of the temporary structure of earth retaining wall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ensor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the temporary struc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in increasing the safety during the construction operation of retaining walls.

  • PDF

블록식 보강토 옹벽에서의 시공단계별 보강재 타입에 따른 거동비교 (The Comparative Experiment of Geogrid Reinforcement Types with Construction Stage on Segmental Retaining Walls)

  • 이성혁;이진욱;최찬용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실대형 실험을 통해 블록식 보강토옹벽에서 보강재의 타입에 따른 수평토압, 변위, 보강재의 변형률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강재의 타입에 따라 토압과 변위관계에서 서로 다른 거동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보강토체 내에 배치된 보강재가 연직토압 감소 및 변체변위 억제 효과 등 보강 성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평토압은 보강재의 특성과 변형에 따라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주동토압이나 정지토압보다 크게 발생할 수 있으며, 수평토압과 벽체변위는 서로 상관성이 매우 높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록식 보강토 옹벽에서 보강재의 등고변형률선 분포는 중앙부분에서 가장 큰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주 지역의 지반 특성을 고려한 흙막이벽의 측방토압 적용에 관한 연구 II -어스앵커 공법 시공 사례-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ateral Earth Pressure to Earth Retaining Wall Considering Ground Characteristics in Jeju II - Case of Earth Anchor Construction -)

  • 김도형;이동욱;김승현;고권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85-9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제주 지역에서 어스앵커로 지지된 흙막이벽의 측방토압 적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2개의 현장 시공 사례를 기반으로 수평변위에 대한 계측값과 예측값을 비교하였다.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의 예측은 Rankine 토압, Hong & Yun 측방토압, Terzaghi & Peck 수정측방토압, Tschebotarioff 측방토압을 이용하여 탄소성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A현장에 대한 최대 수평변위의 예측값은 계측값에 비하여 약 10배~12배로 화인되었으며, B현장의 경우에는 예측값이 계측값보다 약 9배~12배로 평가되었다. 즉, 2개 현장 모두 계측값에 비해 예측값에 의한 최대 수평변위가 유사한 증가율을 보였다. 모든 현장 사례에서 계측값에 의한 최대 수평변위는 퇴적층, 연암층 및 클링커층에서 발생하였고, 수평변위 형상은 사다리꼴 형태에 나타냈다. 그리고 예측값에 의한 최대 수평변위는 클링커층 주변에서 발생하였으며, 수평변위 형상은 타원형으로 나타났다. 클링커층이 혼재되어 있는 지반에서 계측값이 예측값과 매우 다른 수평변위 경향을 보이는 원인으로는 클링커층이 암반층과 연속된 지층의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즉, 예측되는 토압 분포와 상당히 다른 경향을 보이는 제주 지역의 토압 분포 특성을 고려하면 과다하게 평가되는 기존의 예측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보다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현실적인 제주 지역의 측방토압에 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옹벽 시설물의 객관적인 상태평가 기준정립 (The Standard Thesis of Objectivity Condition Evaluation for Infrastructure(Retaining Walls))

  • 이종영;신창건;장범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사면안정학술발표회
    • /
    • pp.3.1-11
    • /
    • 2003
  • Recently the problems related to the failur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has become great concern since the damage to the properties and human losses have occurred in the rainy season. However, a detail guideline on safety inspection and appropriate diagnosis o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have not yet proposed and therefore, the inspection process and results are mainly dependant upon the engine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objec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for the condition based on the damage shapes and material types. In this purpose, composing materials of retaining wall are divided Into concrete, gabion, stone and reinforced earth, and then the evaluation items and method a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material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etaining wall.

  • PDF

원형수직구의 흙막이 벽체에 작용하는 주동토압 (Activ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Cylindrical Retaining Wall of a Shaft)

  • 천병식;신영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15-24
    • /
    • 2006
  • 원형 오픈 케이슨과 원형 수직구에 설치된 흙막이 벽에 작용하는 토압은, 벽체의 변위와 응력해방으로 인한 수평 및 연직 아칭효과로 인하여, 평면 변형조건에서의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보다는 작은 토압이 발생한다. 원형벽체에 작용하는 토압분포를 조사하기 위해서, 건조한 모래지반에서 깊이에 따른 벽체변형이 균등한 조건의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벽체 변위, 벽면 마찰, 벽체 형상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모형 실험 장치가 개발되었고, 모형실험을 통하여 원통형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에 대한 다양한 인자의 영향이 분석되었다.

  • PDF

현장모형실험을 통한 AER옹벽의 지주보의 역학적 효과 (Mechanical Effects of Back Supporting Beam of Assembled Earth Retaining Wall on Field Model Tests Results)

  • 김홍선;임종철;최중현;서민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343-355
    • /
    • 2017
  • AER옹벽은 사면안정에 적용하는 억지말뚝을 옹벽에 결합한 구조로서 새롭게 개발되었으며, 종래의 옹벽보다 안정성과 경제성이 크게 향상 되었다. AER옹벽에 적용된 억지말뚝은 지주보로 명명하고, 지주보에 의해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가될 것으로 판단되어 현장모형실험과 3D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현장실험의 결과, L형 옹벽에 비해 토압이 상당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3D 수치해석을 통해 일반적인 L형 옹벽과 AER옹벽을 비교한 결과 최소 29.85%의 수평변위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AER옹벽의 지주보의 뛰어난 역학적 안정성을 통해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EM을 이용한 연암 파쇄대 지반의 흙막이 벽체 거동 분석 (Behavior Analysis Using FEM for Earth Retaining Wall of Soft Rock Fracture Zone)

  • 장기수;박민철;신효희;이송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30-37
    • /
    • 2013
  • 연암 파쇄대는 암반 사면이나 흙막이 공법에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지만, 흙막이 벽체의 안정성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암 파쇄대에 설치된 조건과 연암 파쇄대에 미설치된 조건에 따른 흙막이 벽체의 거동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현장 계측데이터와 흙과 구조물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유한요소법으로 수치해석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흙막이 벽체에 작용하는 수평변위는 현장 계측결과와 파쇄대 조건의 수치해석 결과와는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위 지점 응력분포는 파쇄대 조건에서는 안정측으로 해석되었지만, 파쇄대 미조건에서는 불안정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추후 설계 시 현장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시공에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