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 Pressure

검색결과 1,232건 처리시간 0.026초

수평모래지반에서 측방변형을 받는 사각형 수동 열말뚝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f Rectangular-shaped Passive Row Piles in Horizontal Sand-ground under Lateral Soil Movement by Model Test)

  • 배종순;권민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23-36
    • /
    • 2008
  • 본 연구는 측방변형을 일으키는 수평모래지반에 매설된 사각형 수동열말뚝의 모형실험에 대한 것이다. 말뚝의 형상, 열말뚝의 위치, 말뚝의 간격과 지반변형에 따른 열말뚝의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평응력의 분포양상은 말뚝의 형상과 위치에 따라 삼각형, 사다리꼴, 사각형의 형태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휨모멘트는 B-type의 경우 outer pile이 inner pile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H-type의 경우는 inner pile이 outer pile 보다 크게 나타났다. 수평저항력비$(R_f)$는 말뚝의 형상에 관계없이 열말뚝의 수평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수평저항력의 작용점위치(Y/L)는 지반변위와 수평간격에 따라 큰 변화를 보이지 않으며, H-type이 B-type보다 조금 크게 나타났다.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가설 벽체 인접 구조물의 침하 억제에 관한 연구 (Reduction of Differential Settlements due to Deep Excavation Using the Micro-piling Method)

  • 허인구;황태현;이상령;신종호;권오엽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0호
    • /
    • pp.71-81
    • /
    • 2008
  • 토압, 지하수위 상승, 집중호우, 구조적 결함 등 여러 요인들로 인해 발생한 흙막이 벽체의 변위는 배면지반에 변위를 발생시키고, 과다한 지반의 변위로 인해 발생한 구조물의 부등침하는 구조물의 파손이나 파괴를 일으킨다. 이러한 경우, 벽체와 구조물의 보강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거나, 억제하기 위한 보강대책 중 하나는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벽체의 변위로 인해 발생할 인접구조물의 부등침하를 억제시키기 위해 설치한 마이크로 파일의 보강효과의 경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한 모형실험을 다루고 있다. 실험결과, 마이크로 파일의 설치길이는 2B(B:기초 폭), 간격은 2D(D:파일직경)로 설치하는 경우가 가장 발생한 침하율이 작았다. 또한 이 경우(L=2B, s=2D), 구조물에서 이격거리 0.1B 이내에서 지표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할 때가 침하율이 가장 작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막 분리와 흡착 과정을 통한 해수로부터의 주요 광물 회수: 리뷰 (Recovery of Valuable Minerals from Sea Water by Membrane Separation and Adsorption Process: A Review)

  • 전성수;라즈쿠마 파텔
    • 멤브레인
    • /
    • 제32권1호
    • /
    • pp.13-22
    • /
    • 2022
  • 세계적인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통제할 수 없는 환경 오염을 야기하고 있다. 화석 연료에 대한 수요와 그로 인한 탄소 배출이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로 이어진 것이다. 핵에너지는 청정 에너지를 생산하는 대체 자원이지만 핵연료 채굴은 유해한 화학물질과 관련이 있다. 반면에 막 분리 과정을 통해 바닷물에서 중요 광물을 채굴하는 것은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이다. 분리와 흡착을 통해 해수로부터 주요 광물을 채굴하는 것은 또 다른 효율적인 과정이다. 희토류 원소에서 악티늄족을 회수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고비용의 과정이다. 압력 기반 막 분리 과정은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실현가능한 과정이기도 하다. 본 리뷰에서 다루는 막 공정에는 폴리에테르 설폰,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독신 및 하이브리드 막이 있다. 또한 흡착 공정의 경우, 주로 아미독심 종류의 흡착제가 논의될 것이다.

가스분무로 제조된 NdFeB 합금분말의 강소성변형을 통한 결정립 미세화 및 이방성 제어 (Control of Grain Refinement and Anisotropy of NdFeB Alloy Powder by Severe Plastic Deformation Fabricated by the Gas Atomization Process)

  • 조주영;박상민;자비드 후세인;송명석;김택수
    • 소성∙가공
    • /
    • 제31권3호
    • /
    • pp.124-128
    • /
    • 2022
  • NdFeB magnets have been positioned as the core materials in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FA (factory automation system), robot, motors, and so on based on the highest magnetic properties. To effectively improve the refined microstructure, the plastic deformation has been known as the good alternatives by the recrystallization. However, it has been regarded as being impossible because of the few slip systems in the RE-Fe-B magnets at room temp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ontrol of grain refinement and magnetic anisotropy of NdFeB alloy powder by the severe plastic deformation. The NdFeB magnet powder was fabricated by gas atomization process, and the powder was pre-compacted at high temperature. The pre-compacted billets were deformed by HPT (high pressure torsion), and then the deformed billets were observed microstructure and magnetic properties. After the HPT process at room temperature, the grain size decreased with increasing because of the melted Nd-rich phase, and the anisotropy of Nd2Fe14B phase was formed after the HPT process.

미고결 층상지반에서 터널굴착시 응력재분배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ess Redistribution Mechanism for Tunneling in an Unconsolidated Ground with Inclined Layers)

  • 박시현;안상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C호
    • /
    • pp.53-61
    • /
    • 2006
  • 본 논문은 미고결 층상 지반에서 터널을 굴착함으로써 발생하는 응력 재분배 메커니즘을 모형 실험을 통해 규명한 것이다. 미고결 층상 지반을 모사하기 위해서는, 지반재료 자체만으로 자립이 가능케 하여 모형토조와의 마찰을 배제시킬수 있는 알루미늄 봉과 블록을 이용한 2차원 모형 실험을 실시하였다. 지층이 경사진 모형 지반에 대하여 터널 굴착에 따른 지반 변형과 응력 재분배 현상을 계측기를 통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지반변형에 대해서는, 지표면의 침하형상을 측정하여 굴착에 따른 변형 특성을 살펴보았다. 응력 재분배 현상에 대해서는, 터널 작용 토압과 터널 주변부 작용 토압의 변화를 각각 측정하여 상호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미고결 층상 지반에서 터널 굴착에 따른 지반의 변형 및 응력 재분배 메커니즘에 대한 상세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부직포를 활용한 급경사 녹화보강토공법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Application Possibility of Afforestation Reinforced Soil Steep Slope by Nonwoven Geotextile)

  • 조용성;구호본;이춘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C호
    • /
    • pp.239-245
    • /
    • 2006
  • 선진국 진입의 길목에 있는 우리나라는 급경사면 축조 및 유지관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나, 급경사면 축조를 위해 철근콘크리트 옹벽이나 보강토 옹벽(블럭식, 판넬식) 등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체는 전면형태가 콘크리트 벽체로서 미관의 한계성과 친환경성이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녹화를 병행할 수 있는 식생토체를 형성하고 현장에서 발생된 불량토를 보강재(부직포) 감싸기(wrapping)방법을 적용한 $80^{\circ}$의 급경사 성토체를 현장에서 직접 축조하였으며, 보강성토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수평변위, 침하량 및 법면에서 발생된 토압 등에 대한 계측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보강성토체의 계측 및 시간경과에 따른 법면의 식생활착 등에 대한 조사결과, 향후 녹화가 가능한 급경사 보강토 구조물에 대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2차원 불연속체 해석에 의한 양호한 암반 내의 지하공동 형상비가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검토 (The effect of the shape factor of an underground cavern in good rock conditions on its stability by 2D discontinuum analysis)

  • 유광호;정지성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89-198
    • /
    • 2009
  • 현재 국내 외에서는 유류 지하 비축 공동, 식품 저장 공동 등과 같은 지하구조물 건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지하공동의 안정성을 평가할 때 형상비나 굴착면적을 비롯하여 지하공동이 굴착될 암반의 절리 발달 상태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형상비가 지하공동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안전율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양호한 암반 내에 시공되는 공동의 네 가지의 형상비를 가정하고, 토피고, 측압계수, 절리의 간격, 강도 및 방향을 달리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공동의 안정성은 강도감소기법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에 의해 얻은 안전율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본 논문은 향후 불연속면을 포함한 암반에 시공되는 지하공동 설계 및 안정성 평가에 도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회(Bottom Ash)와 폐타이어를 활용한 성토구조물 거동에 관한 연구 (Behaviour of Embankment using Bottom Ash-Tire Shred Mixture)

  • 이성진;신민호;고태훈;황선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1C호
    • /
    • pp.21-31
    • /
    • 2009
  • 기존의 연구에서 이미 경량성토재료로서 적용된 바 있는 저회(Bottom Ash), 폐타이어-흙 혼합토의 성능을 토대로 하여, 전통적인 성토재료인 흙 대신 저회를 활용하는 새로운 경량성토재료를 제안한 바 있다. 이어서 이 연구에서는 저회-폐타이어 혼합토의 경량성토재료로서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현장다짐시험과 실대형 성토 모형실험을 수행하여 기존의 성토재료인 풍화토만으로 조성된 성토구조물과 저회-폐타이어 혼합토로 조성한 성토구조물에 대한 침하, 토압, 지지력, 진동저감효과 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토압 및 진동은 저감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정동적 하중에 따른 침하거동은 두 재료(풍화토 단면, 저회-폐타이어 혼합재료)에서 유사하게 평가되었다.

Full-scale TBM excavation tests for rock-like materials with different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 Gi-Jun Lee;Hee-Hwan Ryu;Gye-Chun Cho;Tae-Hyuk Kwo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5권5호
    • /
    • pp.487-497
    • /
    • 2023
  • Penetration rate (PR) and penetration depth (Pe) are crucial parameters for estimating the cost and time required in tunnel construction using tunnel boring machines (TBMs).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impact of rock strength on PR and Pe through full-scale experiments. By conducting controlled tests on rock-like specimens,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tributions of various ground parameters and machine-operating conditions to TBM excavation performance. An earth pressure balanced (EPB) TBM with a sectional diameter of 3.54 m was utilized in the experiments. The TBM excavated rocklike specimens with varying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UCS), while the thrust and cutterhead rotational speed were controlled. The results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play between thrust, cutterhead speed, and rock strength (UCS) in determining Pe. In high UCS conditions exceeding 70 MPa, thrust plays a vital role in enhancing Pe as hard rock requires a greater thrust force for excavation. Conversely, in medium-to-low UCS conditions less than 50 MPa, thrust has a weak relationship with Pe, and Pe become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cutterhead rotational speed. Furthermore, a strong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Pe and cutterhead torque with a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0.84. Based on these findings, a predictive model for Pe is proposed, incorporating thrust, TBM diameter, number of disc cutters, and UCS. This model offers a practical tool for estimating Pe in different excavation scenarios. The study presents unprecedented full-scale TBM excavation results, with well-controlled experiments, shedding light on the interplay between rock strength, TBM operational variables, and excavation performance. These insights are valuable for optimizing TBM excavation in grounds with varying strengths and operational conditions.

Petrographic Study of Mn-bearing Gondite (Birimian) of Téra Area in the Leo-Man Shield (West African Craton) in Niger.

  • Hamidou GARBA SALEY;Moussa KONATE;Olugbenga Akindeji OKUNLOLA
    • 자원환경지질
    • /
    • 제57권1호
    • /
    • pp.25-39
    • /
    • 2024
  • The Téra manganese deposit represents the most significant manganese mineralization discovered in Niger up today. The main host rocks of this ore are gondites, which are a garnet and quartz rich metamorphic rocks. The supergene weathering developed an alteration profile on these gondit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ineralogical composition of gondites and associated rocks, in order to highlight the origine of rocks and the manganese enrichment. The methodological approach adopted involved a field study followed by polarizing microscopic analysis using transmitted and reflected lights. Additionally, quantitative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manganese ore minerals present in the gondite and associated rocks, including mica schists, amphibolites, and quartzites. The petrographic study revealed a paragenes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kyanite, staurolites, garnets and plagioclases that are generally poikiloblasts with quartz and opaque minerals inclusions, emphasizing the internal schistosity which is planar, helicitic or microfolded. These features indicate a prograde metamorphism until high-pressure amphibolite facies conditions. These conditions are followed by greenschist facies conditions marked by calcite, epidote, muscovite, chlorite and muscovite assemblage which emphasizes the vertical tectonics. Depending on the alteration process, the manganese ore exhibit a granular texture at the bottom of the gondite hills, transitioning to a colloform texture towards the top, passing through the epigenization and replacement texture. The XRD analysis further revealed that the studied rocks originated from a volcano-sedimentary complex, characterized by alternating marly, arenaceous and pelitic sequences associated with submarine exha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