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arly-Warning-System

Search Result 270,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생태환경분석 및 적지분석: 자연생태계 보전지역 설정 및 평가 모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Land Suitability and Ecological Environment Using GIS Focused on the Evaluation Model for Designating of Natural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 이명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6권2호
    • /
    • pp.61-80
    • /
    • 1997
  • This study tried to propose the guidelines for the ecological preservation zoning in Korea. So som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ere inspected, which were Na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ct, Nature Park Act, Cultural Asset Conservation Act, Forest Act and Urban Planning Act. In these acts, I could find several concepts related to the ecosystem that are described as the protection area. But there aren't detailed and practical characteristics in those concepts. So for making the practical concept of ecosystem preservation, I considered Multiple Use Module, Wildlife habitat model, and Environmental evaluation model. Thorough this step, the process and methodology was established for evaluating and analysing. The potentiality of the GIS system was inspected. So the TM5 scene of the site was acquired and processed by ER-Mapper, Idrisi, Arc/Info and Arcview. And several digitized data were input by scanning and vecterizing. The Erdas format was mostly exchangeable to any program. The site is the Byonsan Peninsula National Park. The forest stand information and topographic data were digitized, types of which are forest year, DBH, density, slope, aspect etc. And also the watershed boundary, roads and paths,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were mapped and analysed. Modelling of preservation suitability found the dispersed patterns for the best suitable zone through all the site. And the development potential areas were checked on downwatershed. This patterns are thought to result from the forest location for the wildlife habitat and the low altitude and no-steep slopes for developing. And Early warning system concept was introduced by overlapping these two patterns on the both potential area. As the conclusions, I proposed that the preservation zone be assigned according to the watershed unit as the main ecosystem zone. This main area should be linked by the eco-corridor through the point type eco-system. Finally, I thought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making the rational and efficient decision making in natural area.

  • PDF

실시간 위협에서 Event 유형의 정형화 설계 및 구현 (Standardization Model and Implementation of Event Type in Real Time Cyber Threat)

  • 이동휘;이동춘;김귀남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67-73
    • /
    • 2006
  • 실시간 사이버위협에서 정형화 방법은 각 보안장비의 이벤트를 실시간 분석하여 인터넷 웜, 바이러스, 해킹 등의 사이버공격에 대한 네트워크 이상 징후를 임계치와 상관관계를 틀 통하여 탐지하고, 동 평가결과의 통계분석을 통해 정형화 방안 기능을 부여하고 실효성 있는 사이버공격대응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본 논문은 우선 위협지표 산출과 동 지표의 합산을 통한 위협평가 및 조기 경보 과정의 패키지화로 만들고, 사이버 위협 지표 계산의 기준을 설정한다. 특히 보안사고 발생 시 각 보안장비의 이벤트와 트래픽 양에 대한 정의 및 데이터베이스 입력 방법을 구체화하여 실시간 대응 및 조기예경보체계의 초석이 가능한 정형화 방안을 제시한다. 분석을 위해 축적한 90일간의 데이터 임계치 설정작업을 통해 보다 정확한 적용 값을 계산한다. 산출한 값을 토대로 정형화가 가능한 보안이벤트 정보를 표준데이터로 적용, 각 보안장비 및 HoneyNet 시스템, 기타 취약정보 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보안이벤트 표준지수를 산출한다.

  • PDF

철도교량 홍수위감시 및 세굴검지 시스템 적용성 고찰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system for monitoring the flood level and the scour at railroad bridge)

  • 박영곤;이진욱;윤희택;김선종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30-535
    • /
    • 2005
  • To monitor the flood level under heavy rainfall and the scour at railroad bridge, the system, which can effectively collect, store and transmit the data,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field.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onitoring for water level and scour depth is well done in view of the recording velocity and the accuracy of data which are measured. 2) This system is based on the web, internet and it is able to collect the realtime data and to analyze the risk. 3) When water level excesses the limit of danger level of a river on which railroad bridge is located, or when scour depth and angle of inclination of pier is increased, the scenario for early warning signal which sends to managers at central traffic control and drivers of trains is automatically made. It is judged that this system secures the safety of railroad and protects lives of train passengers as the warning signal sends to running train in advance at risky situation of railroad bridge under heavy rainfall.

  • PDF

외국환 거래의 자금세탁 혐의도 점수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Scoring models to detect foreign exchange money laundering)

  • 홍성익;문태희;손소영
    • 산업공학
    • /
    • 제18권3호
    • /
    • pp.268-276
    • /
    • 2005
  • In recent years, the money Laundering crimes are increasing by means of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Our study proposes four scoring models to provide early warning of the laundering in foreign exchange transactions for both inward and outward remittances: logistic regression model, decision tree, neural network, and ensemble model which combines the three models. In terms of accuracy of test data, decision tree model is selected for the inward remittance and an ensemble model for the outward remittance. From our study results, the accumulated number of transaction turns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variable. The proposed scoring models deal with the transaction level and is expected to help the bank teller to detect the laundering related transactions in the early stage.

고해상도 상대습도 모의를 위한 농산촌 지역의 수증기압 분석 (An Analysis of Water Vapor Pressure to Simulate the Relative Humidity in Rural and Mountainous Regions)

  • 김수옥;황규홍;홍기영;서희철;방하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9-311
    • /
    • 2020
  • 농산촌 지역 단일 집수역인 전남 구례군 간전면 중대리계곡과 경남 하동 악양면에서 각각 6지점과 14지점의 기상관측자료를 수집하여 복잡지형에서의 수증기압 및 상대습도 분포를 분석하였다. 중대리계곡에서는 2014년 12월 19일부터 2015년 11월 23일까지, 악양계곡에서는 2012년 8월 15일부터 2013년 8월 18일까지 가장 고밀도로 측정한 시기의 매시 기온과 습도(지면 위 1.5m)를 이용,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수증기압 추정방식과 실제 수증기압을 비교하였다. 관측한 수증기압의 해발고도에 따른 기울기는 시간대(0300, 0600, … 2400 LST)에 따라 변동되었고, 야간일수록 위 아래의 수증기압차가 증대되었다. 지형·지표 조건이 다양한 악양계곡 관측 지점에서는 해발고도 외의 요인으로 인한 수증기압 변이가 지점별로 시간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실제에 더 가까운 수증기압 및 상대습도 추정을 위해, 연구 대상지역의 관측자료로 해발고도 편차 당 수증기압 변화를 조정하는 계수를 도출하였다. 상대습도는 포화수증기압 대비 추정된 수증기압으로 모의하였으며, 조기경보시스템에서 사용된 기존 방법보다 도출된 계수를 활용한 추정방식에서 오차가 더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수질오염 감시체계 구축을 위한 수질 데이터의 통계적 예측 가능성 검토 (A Study on the Statistical Predictability of Drinking Water Qualities for Contamination Warning System)

  • 박노석;이영주;채선하;윤석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69-479
    • /
    • 2015
  • This study have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Contamination Warning System(CWS) that is capable of monitoring early natural or intentional water quality accidents, and providing active and quick responses for domestic C_water supply system. In order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data set, pH, turbidity and fre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data were collected and each statistical value(mean, variation, range) was calculated, then the seasonal variability of those we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outliers in the measurement data using a high-pass filter, it could be confirmed that a lot of lower outliers appeared due to data missing. In addition, linear filter model based on autoregressive model(AR(1) and AR(2)) was applied for the state estimation of each water quality data set.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variability of the autocorrelation coeffici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change of window size(6hours~48hours), at least the window size longer than 12hours should be necessary for estimating the state of water quality data satisfactorily.

중소기업 기술 유출에 대한 조기경보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n Early Warning System about Technology Leakage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서봉군;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1호
    • /
    • pp.143-159
    • /
    • 2017
  • 급속한 IT의 발전으로 인해 개인정보뿐만 아니라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핵심 기술 및 정보에 대한 유출 위협이 중요한 이슈로 인식되고 있다. 기업에게 있어서 보유하고 있는 핵심 기술은 기업의 생존 및 지속적으로 경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최근 기술 침해 사례가 많이 일어나고 있는데, 기술 유출은 기업에게 있어서 주가하락 등의 막대한 재무적인 손실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기업의 신뢰에 손상을 입게 되고, 기업의 발전을 지연시키게 되는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대기업에 비해 핵심기술이 기업 내 중요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에 있어서 기술 유출에 대한 대비는 기업의 존립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정보 보안 관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기업 입장에서 조기에 기술 침해 위협에 대해 확인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실증 분석을 수행하고,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기술유출 조기경보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이 보유한 기술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해보고, 통계분석을 통해 검증된 요인들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여러 기법들 중 하나인 Support Vector Machine을 활용하여 기술침해 가능성을 조기에 알려주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술 유출 가능성에 대한 조기 경보 모형을 통해 기업 및 정부 관점에서 기술 유출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섬유격자 센서를 활용한 사면거동 실시간 안전 진단 시스템 (An Experimental Study on Density Tool Calibration)

  • 장기태;정경선;김성환
    • 지구물리
    • /
    • 제8권1호
    • /
    • pp.7-14
    • /
    • 2005
  • Early detection in real-time response of slope movements ensures tremendous saving of lives and repair costs from catastrophic disaster.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onstantly monitor the performance and integrity of slope-stabilizing structures such as Rock bolt, Nail and Pile during or after installation. We developed a novel monitoring system using Fiber Bragg Grating (FBG) sensor. It's advantages are highly sensitivity, small dimension and electro-magnetic immunity. capability of multiplexing, system integrity, remote sensing - these serve real-time health monitoring of the structures. Real-time strain measurement by the signal processing program is shown graphically and it gives a warning sound when the monitored strain state exceeds a given threshold level so that any sign of abnormal disturbance on the spot can be easily perceived.

  • PDF

농촌지역 돌발재해 피해 경감을 위한 USN기반 통합예경보시스템 (ANSIM)의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for Abrupt Natural Disaster using rainfall prediction data and Ubiquitous Sensor Network(USN))

  • 배승종;배원길;배연정;김성필;김수진;서일환;서승원
    • 농촌계획
    • /
    • 제21권3호
    • /
    • pp.171-179
    • /
    • 2015
  •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have been focussed on 1) developing prediction techniques for the flash flood and landslide based on rainfall prediction data in agricultural area and 2) developing an integrated forecasting system for the abrupt disasters using USN based real-time disaster sensing techniques. This study contains following steps to achieve the objective; 1) selecting rainfall prediction data, 2) constructing prediction techniques for flash flood and landslide, 3) developing USN and communication network protocol for detecting the abrupt disaster suitable for rural area, & 4) developing mobile application and SMS based early warning service system for local resident and tourist. Local prediction model (LDAPS, UM1.5km) supported by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as used for the rainfall prediction by considering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 NRCS TR-20 and infinite slope stability analysis model were used to predict flash flood and landslide. There are limitations in terms of communication distance and cost using Zigbee and CDMA which have been used for existing disaster sensors. Rural suitable sensor-network module for water level and tilting gauge and gateway based on proprietary RF network were developed by consideration of low-cost, low-power, and long-distance for communication suitable for rural condition. SMS & mobile application forecasting & alarming system for local resident and tourist was set up for minimizing damage on the critical regions for abrupt disaster. The developed H/W & S/W for integrated abrupt disaster forecasting & alarming system was verified by field application.

집수역 규모 기상위험 경보체계 구축 (Implementation of a Weather Hazard Warning System at a Catchment Scale)

  • 박주현;김성기;신용순;안문일;한용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9-395
    • /
    • 2014
  • 이 단보는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전국적인 현업서비스로 정착시키기 위한 초기단계 기술구현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집수역별 기상특보 서비스는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기존 150개 시군단위 특보발생 여부를 공간통계기법에 의해 810개 집수역 단위의 순차적인 위험도로 표현하였다. 두번째로 집수역별 지발성 재해경보 서비스는 76개 정규기상관측소의 일별 자료를 토대로 810개 집수역의 중장기 경과기상을 주단위로 감시하여 같은 기간의 기후학적 평년기상에 대비한 현 시점의 만성적 재해위험을 상대지수로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조기경보서비스 시범지역인 섬진강 하류유역 내 자원농가에 대해여 재해위험을 필지별로 산출하여 개별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들 세 종류의 정보를 국토교통부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 배경지도 위에 전국 집수역 및 시범지역 내 농장단위 재해위험 레이어로 중첩시켜 준실시간 지도 서비스를 구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