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trauma

검색결과 379건 처리시간 0.03초

소아의 종양성 질환에 동반된 구강합병증 관리 (MANAGEMENT OF ORAL COMPLICATIONS IN THE PEDIATRIC POPULATION WITH CANCER)

  • 김성기;김민정;이동수;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57-167
    • /
    • 2009
  • 소아의 종양성질환은 출생 첫해에 가장 많고, 2-3세경에 두 번째로 많이 나타난다. 소아에서는 급성 백혈병, 임파선암, 뇌종양, 연조직 종양 그리고 신장 종양이 일반적이다. 조기진단과 의학의 발달로 치료결과가 향상되고 치료후 생존율 또한 높아지는 추세이나,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및 조혈모세포 이식 등의 치료과정에 동반되는 전신 및 국소적합병증 또한 심각한 문제로 나타난다. 구강조직은 항암치료의 독성에 특히 예민하고 구강내 병소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소아치과의사는 종양성질환으로 다양한 항암치료를 받는 어린이의 치료 전후에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치과적 문제를 진단하고 예방 및 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소아치과의사를 포함한 치과종사자는 환자의 병력, 치료과정, 건강상태에 따른 합병증을 예방 또는 처치하기 위한 개별적 구강관리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소아에서 종양성질환을 치료중인환자, 특히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및 조혈모세포이식환자에 대한 치료전후의 구강관리에 대하여 알아본다.

  • PDF

Brain abscess in Korean children: A 15-year single center study

  • Lee, Cha-Gon;Kang, Seong-Hun;Kim, Yae-Jean;Shin, Hyung-Jin;Choi, Hyun-Shin;Lee, Jee-Hun;Lee, Mun-Hya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5호
    • /
    • pp.648-652
    • /
    • 2010
  • Purpose: A brain abscess is a serious disease of the central nerve system. We conducted this study to summariz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outcomes of brain abscesses.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pediatric patients diagnosed with brain abscesses from November 1994 to June 2009 was performed at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Results: Twenty-five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On average, 1.67 cases per year were identified and the median age was 4.3 years. The common presenting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fever (18/25, 72%), seizure (12/25, 48%), altered mental status (11/25, 44%), and signs of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9/25, 36%). A total of 14 (56%) patients had underlying illnesse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8/25, 32%) as the most common cause. Predisposing factors were identified in 15 patients (60%). The common predisposing factors were otogenic infection (3/25, 12%) and penetrating head trauma (3/25, 12%). Causative organisms were identified in 64% of patients (16/25). The causative agents were $S$ $intermedius$ (n=3), $S$ $aureus$ (n=3), $S$ $pneumoniae$ (n=1), Group B streptococcus (n=2), $E.$ $coli$ (n=1), $P.$ $aeruginosa$ (n=1), and suspected fungal infection (n=5). Seven patients received medical treatment only while the other 18 patients also required surgical intervention. The overall fatality rate was 16% and 20% of patients had neurologic sequelae. There was no statistical association between outcomes and the factors studied. Conclusion: Although uncommon, a brain abscess is a serious disease. A high level of suspicion is very important for early diagnosis and to prevent serious consequences.

대퇴골두 무혈성괴사의 치료에서 전방 회전 절골술의 조기 추시 결과 (The Early Result of Anterior Rotational Osteotomy in the Treatment of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 김세동;신덕섭;장우석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284-292
    • /
    • 1994
  • 1992년 12월부터 1994년 6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정형외과에 내원한 대퇴골두무혈성 괴사 환자 28명, 31 고관절에 대해 시행한 경전자간 회전 절골술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 환자는 한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44.3세로 삼, 사십대가 대부분이었다. 2. 무혈성 괴사의 원인은 과다한 음주에 의한 것이 18례로 가장 많았고, 괴사의 정도는 Ficat와 Arlet의 분류에 의하면 II a가 16례로 가장 많았다. 3. 절골술 후 고정 방법으로는 screw가 15례, DHS가 16례였고, 고정 방법에 따른 대퇴경간각의 변화로는, screw를 사용한 경우는 술전에 비해 내반고 되는 경향을 보였고, DHS를 사용한 경우는 외반고 되는 경향을 보였다. 4. 술전 대퇴골두 측면 방사선 사진에서 측정한 대퇴골두 전체 관절면에 대한 건전한 관절면의 비는 1/3이하가 8례, 1/3 이상이 23례(74%)이었다. 5. 술후 고관절의 전후면 방사선 사진에서 측정한 비구의 체중 부하면에 대한 전위된 건전한 대퇴골두의 관절면 비는 36% 이상이 24례(78%), 21-35%가 6례, 20% 이하가 1례였다.

  • PDF

요추부 불안정증의 방사선학적 소견 (Lumbar Spinal Instability and Its Radiologic Findings)

  • 양경훈;김남규;김영수;고용;오성훈;오석전;김광명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호
    • /
    • pp.78-86
    • /
    • 2000
  • Objective : Lumbar spinal instability occurs when normal biomechanics support in lumbar vertebrae interrupted. Despite the recent enthusiastic studies, the precise radiological assessment has not been fully established, yet. Therefore, we carefully studied our cases to analyze the radiologic findings in lumbar spinal instability. Patients and Methods : We have put together radiological analysis and assessment based on 38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and treated for lumbar spinal instabilities from June 1994 to December 1998,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and treated for trauma were excluded from study. Results : The outcomes are as follows : 1) Lumbar lordotic curv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unstable group by 23.7,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17.0^{\circ}$). 2) According to the resting x-ray, sagittal plane angulation measured on unstable group was $21.1^{\circ}$, control group $18.0^{\circ}$. Therefore unstable group was noticeably higher(p<0.01). 3) According to the resting x-ray sagittal plane displacement, unstable group had 4.3mm, the comparison had 1.2mm. Therefore measurement from the unstabl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p<0.01). 4) According to stress view, sagittal plane translation was 4.1mm for the unstables and 2.7mm for the comparisons. Therefore unstables were noticeably higher(p<0.01). 5) According to stress view, sagittal plane rotation was $15.1^{\circ}$ at L3-4, $22.0^{\circ}$ at L4-5, $27.9^{\circ}$ at L5S1 for the unstable group and $11.3^{\circ}$, $18.1^{\circ}$, $21.0^{\circ}$ each for the comparison. 6) Facet angle for unstable group, left $29.3^{\circ}-61.5^{\circ}$, right $24.4^{\circ}-63.2^{\circ}$ and the mean for each are $43.1^{\circ}$, $47.2^{\circ}$. The difference between left and right facet angle was $3.5^{\circ}-20.7^{\circ}$ and the mean value $15.3^{\circ}$. Facet angle for the comparisons for the left was $29.3^{\circ}-59.5^{\circ}$, right was in between $25.7^{\circ}-64.5^{\circ}$ range and the each mean are $44.9^{\circ}$ and $47.6^{\circ}$. Also, the difference between left and right facet angle was $4.1^{\circ}-9.3^{\circ}$ and the average was $17.1^{\circ}$. The averag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angle are found not to have statistic necessity for both unstable and stable measurements(p>0.01). 7) 19 patients were found to have vacuum facet phenomenon among unstable group etc. results were collected. Conclusion : According to above results, we attempted to prepare the application to the patient of radiological analysis and assessment for lumbar spinal instability early checkup.

  • PDF

수평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견인: 증례 보고 (ORTHODONTIC TRACTION OF HORIZONTALLY IMPACTED MAXILLARY INCISORS: CASE REPORTS)

  • 김미니;김영재;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57-765
    • /
    • 2008
  • 본 증례는 수평 변위 매복과 치근 만곡을 가진 상악 중절치를 폐쇄 노출법을 이용한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여 영구 전치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하였다. 상악 영구 전치가 수평으로 매복된 경우, 가급적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며, 촉진, 시진, 방사선 사진 등을 이용한 적절한 치료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상악 영구 전치의 매복이 조기에 적절히 치료되지 못하면 정중선의 변위, 인접치의 이동에 의한 맹출 공간의 감소, 치조골 높이의 차이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심미적인 문제를 야기하여 소아 심리 발달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매복치의 치료는 매복치의 형태, 위치, 상태에 따라 다양하나, 주기적 관찰 방법, 상부 연조직과 경조직을 단순히 제거하여 맹출을 유도하는 방법, 외과적 노출 후 매복치를 교정적으로 견인하는 방법, 치아 이식술, 발치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이중 이번 증례에서 시행한 매복치의 교정적 견인은 매복치의 치축이 정상 맹출로와 일치되지 않으며, 주기적인 관찰 후 더 이상의 맹출이 기대되지 않을 때 시행하는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으로 매복의 심도, 치아의 발육단계, 만곡의 부위와 정도, 수술방법과 견인방향 등을 고려하여 치료의 예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 PDF

Single Median Maxillary Central Incisor(SMMCI) 환아의 증례보고 (CASE REPORTS OF SINGLE MEDIAN MAXILLARY CENTRAL INCISOR)

  • 신윤경;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72-678
    • /
    • 2007
  • Single Median Maxillary Central Incisor(SMMCI)는 상악 중절치 형성부전으로 하나의 상악 중절치가 정중앙에 위치하는 치아 발달의 해부학적 이상을 의미한다. 50,000명 중에 1명 꼴로 발생할 정도로 아주 드물며 각종 증후군 및 정중선 이형성을 보이는 발달장애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SMMCI는 다른 이상과 연계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나 상염색체 우성유전인 전전뇌증(holoprosencephaly)의 경미한 발현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전자 상담이 필요하다. 또 특징적인 안모 및 구강 상태를 보이므로 환아의 바람직한 신체적, 정서적 발달을 위해 조기에 교정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증례는 다른 이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 세 명의 SMMCI 환아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비정상 맹출로와 치근 만곡을 지닌 매복 상악영구전치의 자가치아이식 치험례 (SURGICAL REPOSITIONING OF THE DISPLACED IMP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WITH DILACERATED ROOT : CASE REPORT)

  • 이예리;최성철;박재홍;김광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16-522
    • /
    • 2008
  • 매복치의 치료는 그 발생원인, 치아의 발육단계, 매복된 위치 및 맹출 경로, 환자의 협조도 등을 고려하여 치료방법을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맹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전적, 전신적 유발인자가 있다면 이의 치료와 더불어 맹출 유도를 위한 조기치료의 필요성이 있으며, 맹출에 장애를 주는 물리적 요소가 존재한다면 이를 우선적으로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맹출과 관련된 어떠한 요인이나 맹출공간 부족 등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유치 발거 이외에 치아를 외과적으로 노출시킨 후 교정장치를 부착하고 교정력을 이용하는 치아맹출 유도법, 그리고 매복치를 외과적 재위치 또는 이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자가치아이식술을 시행할 경우 치아발육 상태를 고려한 적절한 시기의 선택, 적절한 치조와 형성 및 이식치아의 발거와 식립에 있어 외상의 최소화 등이 성공에 중요한 요소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우측중절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7세 여자 환자에서 CT검사결과 상악우측중절치의 치관부가 전비극에 근접하여 협측으로 위치되어 있으며 치관부에서 만곡이 관찰되었다. 치근은 Nolla's stage 7정도의 발육을 보였으며 이에 자가치아이식을 시행하였다. 주기적인 관찰결과 치근흡수 등의 합병증 없이 양호한 치유양상이 관찰되었다.

  • PDF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 있어서 S100β의 혈중 농도와 뇌손상의 정도 및 예후의 관계 (Relation between Serum S100β and Severity and Prognosis in Traumatic Brain Injury)

  • 김오현;이강현;윤갑준;박경혜;장용수;김현;황성오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0권2호
    • /
    • pp.138-143
    • /
    • 2007
  • Purpose: $S100{\beta}$, a marker of traumatic brain injury (TBI), has been increasingly focused upon during recent years. $S100{\beta}$, is easily measured not only in cerebrospinal fluid (CSF) but also in serum. After TBI, serum S 10019, has been found to be increased at an early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correlations between serum $S100{\beta}$, and neurologic outcome, and severity in traumatic brain injury. Methods: From August 2006 to October 2006, we made a protocol and studied prospectively 42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with TBI. Venous blood samples for $S100{\beta}$, protein were taken within six hours after TBI and vital signs, as well as the Glasgow Coma Scale (GCS), were recorded. The final diagnosis and the severity were evaluated using the Abbreviated Injury Score (AIS), and the prognosis of the patients was evaluated using the Glasgow Outcome Score (GOS). Results: Thirty-eight patients showed a favorable prognosis (discharge, recovery, transfer), and four showed an unfavorable prognosis. Serum $S100{\beta}$, was higher in patients with an unfavorable prognosis than in patients with a favorable prognosi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0.74{\pm}1.50\;{\mu}g/L$ vs $7.62{\pm}6.53\;{\mu}g/L$ P=0.002). A nega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serum $S100{\beta}$, and the Revised Traumatic Score (R2=-0.34, P=0.03), and a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serum $S100{\beta}$, and the Injury Severity Score (R2=0.33, P=0.03). Furthermore,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S100{\beta}$, and the initial GCS and the GCS 24 hours after admission to the ER were negative (R2=-0.62, P<0.001; R2=-0.47, P=0.005). Regarding the GOS, the mean serum concentration of $S100{\beta}$, was $7.62\;{\ss}{\partial}/L$ (SD=${\pm}6.53$) in the expired patients, $1.15\;{\mu}g/L$ in the mildly disable patient, and $0.727\;{\mu}g/L$ (SD=${\pm}0.73$) in the recovered patients. These differenc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Conclusion: In traumatic brain injury, a higher level of serum concentration of $S100{\beta}$, has a poor prognosis for neurologic outcome.

다방성 흉막수 및 노흉 환자에서 비디오 흉강경의 치료 (Video-assisted Thoracoscopy in the Treatment of Multi Loculated Pleural Effusion and Empyema)

  • 김영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60-165
    • /
    • 2004
  • 다방성 흉막수 또는 농흉 환자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배액술과 원인적 질환의 확진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폐쇄성 흉강 삽관술 등의 치료에도 배액되지 않은 농흉이나 다방성 흉막수 환자에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배액술 및 데브리망, 세척술의 효과와 실효성의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4월부터 2002년 7월까지 본원 흉부외과에 흉막수 및 농흉으로 입원한 환자 중 폐쇄성 흉강 삽관술 등으로 적절히 배액되지 않았던 환자 중 발병한지 2주일이 안된 20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실시하여 환자의 상태를 평가한 후 전신 마취하에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배액술 및 데브리망, 조직검사, 세척술을 실시하였다. 결과: 20예의 환자 중 18예에서 성공적인 비디오 흉강경 배액 및 세척술이 실시되었고 2예에서 개흉술을 시행하였다. 남녀 비는 4 : 1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8.9세(17∼72세), 수술 후 평균 흉관 거치 기간은 8.2일(4∼22일), 수술 후 평균 재원 기간은 15.2일(7∼33일)이었다. 원인 질환으로 결핵, 폐렴에 의한 합병증, 외상에 의한 혈흉, 전이성 유방암 등이었다. 수술 후 중대한 합병증은 없었으며 환자들은 증상이 호전되어 외래 통원 치료 및 추적 관찰 중이다. 결론: 기질화 되지 않은 초기의 농흉이나 다방성 흉막수 환자에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배액술, 데브리망은 비교적 안전하고 유용한 시술이라 하겠다.

Correlates of Lymphedema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 Case Control Study in Shiraz, Southern Iran

  • Honarvar, Behnam;Sayar, Negin;Tahmasebi, Sedigheh;Zakeri, Zeinab;Talei, Asra;Rostami, Sara;Khademi, Sahar;Sarvestani, Amene Sabzi;Sekhavati, Eghba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sup3호
    • /
    • pp.81-85
    • /
    • 2016
  • Globally, the burden of breast cancer (BC) continues to increase. BC related lymphedema (BCRL) is currently non curable and as a life time risk it affects at least 25% of BC patients. Knowing more about BCRL and appropriate control of its modifiable risk factors can improve quality of life (QOL) of the affected patients. In this case control study to detect factors, 400 women with BCRL (as the case group) and 283 patients with BC without lymphedema (as the control group) that were referred to Shiraz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affiliated BC clinic center were assessed. The data were analyzed in SPSS. The mean age of the case group was $52.3{\pm}11.0years$ and of the control group was $50.1{\pm}10.9years$. In patients with BCRL, 203(50.7%) had left (Lt) side BC and in non- lymphedema group 151 (53.3%) had Lt side BC. Out of all BCRL patients, 204 (51%) had lymphedema in all parts of their affected upper extremities, 100 (25%) had swelling in the arm and forearm and 23 (5.7%) had edema in both the upper extremity and trunk. Edema, heaviness, concern about changing body image, pain and paresthesia were the most common signs/symptoms among patients with BCRL. In BCRL patients, the difference of circumference between the affected upper limb and non-affected limb was $4.4{\pm}2.5cm$ and the difference in volume displacement was $528.7{\pm}374.4milliliters$. Multiple variable analysis showed that moderate to severe activity (OR; odds ratio =14, 95% CI :2.6-73.3), invasiveness of BC (OR =13.7, 95% CI :7.3-25.6), modified radical mastectomy (OR=4.3, 95% CI :2.3-7.9), BMI =>25 (OR=4.2, 95% CI :2-8.7), radiotherapy (OR=3.9, 95% CI :1.8-8.2), past history of limb damage (OR=1.7, 95% CI :0.9-3.1) and the number of excised lymph nodes (OR=1.06, 95% CI :1.02-1.09)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lymphedema in women with BC. Modifiable risk factors of BCRL such as non-guided moderate to severe physical activity, high BMI and trauma to the limb should be controlled as early as possible in BC patients to prevent development of BCRL and improve QOL of thes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