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larvae

검색결과 437건 처리시간 0.026초

황복, Takifugu obscurus의 초기 발달 동안 성장 및 생존에 있어 먹이와 염분의 효과 (Effect of Food and Salinity on Larval Growth and Survival of the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 강희웅;강덕영;조기채;이진호;박광재;김종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1-22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황복, T. obscurus의 초기발달동안 자치어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먹이 종류와 염분별 영향을 조사하였다. 먹이별 실험에서는 Artemia공급 시기인 부화 25일의 자어를 이용해 Artemia (대조구)와 5가지의 먹이 (실지렁이, 물벼룩, 바지락육질, 배합사료, 곤쟁이)를 30일간 혼합 공급하여 실험구별 성장과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염분별 실험에서는 일령 15일 자어(전장 5.8$\pm$0.4 mm: Stage I), 일령 36일 치어(전장 12.0$\pm$0.2 mm: Stage II) 및 일령 70일 치어(전장 44.5$\pm$0.7mm: Stage III)를 대상으로 4개의 염분 농도구(0, 10, 20 및 30 psu)를 설정하여 성장과 생존을 비교분석하였다. 먹이실험 결과, 성장도는 배합사료, 실지렁이, 물벼룩 공급구들이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생존율은 물벼룩 공급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빠른 성장을 보였던 배합사료와 실지렁이 혼합 공급구는 오히려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염분별 실험에서는 Stage I 경우 성장에 있어 염분별 뚜렷한 차이를 찾아 볼 수 없었으나, 생존율은 10∼20 psu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Stage II의 경우 성장과 생존 모두 10∼20 psu에서 양호하였으며, Stage III에서는 0∼30 psu의 모든 염분 조건에서 정상적인 성장과 생존을 나타내었다.

3종 양식어류의 전기자어기에 미치는 원유 수용성 획분(WSF) 의 영향 (Effects of the Water Soluble Fraction from Kuwait Crude Oil on the Early Larval Stages of Three Cultured Fish Species)

  • 장영진;이갑현;강덕영;진평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9-78
    • /
    • 2000
  • 원유중 수용성 획분(WSF)이 양식 대상종인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참돔(Pagrus major) 및 넙치 (Paralichthys olicaceus)의 전기자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실험구는 0%(대조구), 25%, 50%, 75% 및 100% WSF로 하였고, 이에 따른 자어의 난황 흡수속도, 유영활성, 서장도, 기형률 및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수정란으로부터 부화후 자어까지 지속적으로 WSF에 노출시켰을 때, 전기자어의 난황 흡수 속도는 3어종 모두 대조구에 비해 고농도의 WSF에서 느렸다. 유영빈도와 유영속도는 WSF 농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성장은 대조구에 비해 고농도의WSF에서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고농도의 WSF(50%, 75% 및 100%) 노출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기형률을 나타내었고, 3어종중 참돔의 자어에서 가장 높았다. 전기자어의 생존율은 3어종 모두에서 WSf 농도가 높을수록 낮았다. 부화후의 자어를 WSF에 노출시켰을 때, 유영활성은 3어종 모두에서 SF 농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기형률은 고농도의WSF (50%, 75% 및 100%)에서 높았으며, 3종중 참돔에서 가장 높았다. WSF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생존율도 유의하게 낮아졌다.

  • PDF

첨가제의 종류와 동해방지제의 농도에 따른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D형 유생의 냉동보존 효과 비교

  • 조필규;최윤희;강경호;고강희;고창순;김병학;임한규;최철영;장영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7-82
    • /
    • 2002
  • 피조개 D형 유생을 냉동보존하기 위한 적절한 첨가제 종류와 농도 및 동해방지제로 적용한 ethylene glycol 농도에 대한 냉동보존 효과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생을 0$^{\circ}C$로 설정된 프로그램 냉동기로 옮겨 -1$^{\circ}C$/분의 냉동율로 -12$^{\circ}C$까지 냉동한 후 10분 동안 유지한 상태에서 식빙하고 -35$^{\circ}C$까지 재냉동한 다음, 즉시 액체질소통에 저장하였다. 1.0 M과 2.0 M ethylene glycol을 동해방지제로 사용하여 첨가제별로 D형 유생을 냉동한 결과, 0.5 M sucrose에서 생존율이 각각 50.5 ${\pm}$ 1.3%, 51.9 ${\pm}$ 1.7%로 가장 좋았다. 0.5 M sucrose를 첨가한 ethylene glycol의 농도별 냉동에서는 2.0 M이 생존율 51.9 ${\pm}$ 1.7%로 가장 높았다.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유생을 관찰한 결과, 냉동 전, 후 유생의 외부형태 및 세포내 구조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출산기 모체에게 triiodothyronine (T3) 주사하여 얻은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자어의 성장 및 활성 (Growth and Activities of Larvae Born from the Triiodothyronine-Injected Parturient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강덕영;장영진;허준욱;민병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51-556
    • /
    • 2002
  • 출산기에 임박한 조피볼락 암컷에 20mg/kg체중의 농도로 3,5, 3'-triiodo-L-thyronine $(T_{3}$)를 주사한 뒤, 출산 자어로의 호르몬 전이여부, 자어 성장과 활력을 조사하였다. 출산자어의 갑상선 호르몬을 분석한 결과,출산직후에 $T_{3}$구가 대조구 보다 높은 $T_{3}$농도를 나타냈으나, L-thyroxine $(T_{4}$)의 농도는 대조구와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실험기간 동안 어체내 모든 실험구의 감상선호르몬 농도는 $T_{3}$$T_{4}$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고, 실험구별로는 $T_{3}$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어의 성장률은 대조구에 비하여 T,구에서 높았으며, 출산후 경과일수에 따라 직선적인 전장성장 경향을 나타냈다. 실험종료시 생존율은$ T_{3}$구의 자어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유영활성에서도 $T_{3}$구의 자어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출산직전 $T_{3}$ 모체주사는 외부영양원 섭취개시기의 자어성장 및 생리활성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출산전 모체주사를 통하여 외인성 $T_{3}$가 자어로 전이되며, 전이된 호르몬은 출산후의 자어의 초기 발달기 동안 생리적으로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으로 추측된다.

황보천에 서식하는 꾹저구 Gymnogobius urotaenia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Morphological of Development Eggs, Larvae and Juveniles Gymnogobius urotaenia in Hwangbocheon, Korea)

  • 박재민;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53-26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 유입천인 황보천에 서식하는 꾹저구의 초기생활사를 규명하고 관찰한 결과를 같은 망둑어과 어류들과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2022년과 2023년 5월 2회에 걸쳐 황보천에서 바위 아래 산란된 수정란과 어미를 포획하였다. 산란량은 827~1,540개였고, 난은 장타원형으로 크기는 3.21×1.07 mm 였다. 연구실에서 관찰된 난발생 단계는 16세포기였고, 이후 193시간부터 부화가 시작되었다. 사육 수온 범위는 18.8~19.3 ℃였다. 부화 직후 난황자어는 전장 3.84~4.33 (평균 4.10±0.17, n=30) mm로 난황을 갖고 있었고,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다. 부화 6일째에는 전장 5.32~6.11(평균 5.67±0.25, n=30) mm로 난황을 모두 흡수하여 전기자어기로 이행하였고, 먹이를 섭취하였으며, 꼬리지느러미에 기조가 발달하였다. 부화 후 15일째에는 전장 7.33~8.52(평균 7.81±0.46, n=30) mm로 척색 말단 끝부분이 45 °로 완전히 휘어져 후기자어기로 이행하였고, 몸 전체에는 흑색소포가 발달하였다. 부화 후 38일째에는 전장 22.1~26.1(23.8±1.36, n=30) mm로 지느러미 기조 수는 제1등지느러미 6개, 제2등지느러미 11개, 뒷지느러미 11개, 배지느러미 12개로 모든 지느러미 기조 수가 정수가 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연구 결과 후기자어의 흑색소포는 몸통 절반과 꼬리 쪽 몸 전체 분포하는 점에서 다른 망둑어과 어류 후기자어들과 형태적인 구분이 가능하였다.

낙동강 수계 위천에 서식하는 누치 Hemibarbus labeo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Hemibarbus labeo from Wicheon Stream, Nakdonggang-River)

  • 박재민;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0-19
    • /
    • 2024
  • 이 연구는 낙동강 수계 위천에 서식하는 누치의 초기생활사를 규명하고 근연종과 특징을 비교하였다. 2021년 4월 산란장 4곳에서 채집된 수정란을 대상으로 난발생과 자치어 형태 발달을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점착성을 가진 침성란으로 난 크기는 1.93~2.39 (평균 2.22±0.15, n =30) mm였다. 수온은 22.2~24.1℃에서 부화시간은 109~115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 크기는 7.50~8.80 (평균 7.99±0.46) mm로 입과 항문이 발달하지 않았고 난황을 갖고 있었다. 부화 후 6일째 전기자어는 전장 9.49~10.2 (평균 9.78±0.23, n=30) mm로 먹이를 섭취하였다. 부화 후 10일째 중기자어는 전장 9.97~11.9 (평균 10.7±0.72, n=30) mm로 척추 말단부분 미부봉상골이 휘어지기 시작하였다. 부화 후 20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12.6~15.2 (평균 13.9±0.77, n=30) mm로 미부봉상골이 45°로 완전히 휘어졌다. 부화 후 29일째 치어는 전장 16.9~19.8 (평균 18.1±0.91, n=30) mm로 등지느러미 10개, 뒷지느러미 9개, 배지느러미 7개로 지느러미 기조 수가 정수에 달하였다. 누치는 후기자어 시기 머리부분, 몸 정중앙, 지느러미 위쪽 등 흑색소포 분포 위치가 근연종들과 다르게 나타나 형태적인 특징을 구분할 수 있었다.

기생봉사육용(寄生蜂飼育用) 솔잎혹파리 유충채집(幼蟲採集)에 관(關)한 연구(硏究) (Development of Collection Method of Arboreal Parasite Larvae for the Biological Control against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정상배;김철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3호
    • /
    • pp.334-341
    • /
    • 1997
  • 솔잎혹파리 유충(幼蟲)은 대부분(大部分) 강우시(降雨時)에 낙하(落下)하는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을 이용(利用), 추기(秋期)의 자연낙하기(自然落下期) 동안 피해임지내(被害林地內)의 수관상부(樹冠上部)에 분수장치(噴水裝置)를 설치(設置)하고 강수량별(降水量別), 강수시기별(降水時期別) 및 강수시각별(降水時刻別)로 인공강수(人工降水)를 실시(實施)하여 인공강수(人工降水)가 솔잎혹파리 유충낙하(幼蟲落下)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분석검토(分析檢討),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새로운 천적사육용(天敵飼育用) 솔잎혹파리 유충채집법(幼蟲採集法)을 개발(開發)코자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솔잎혹파리 천적사육용(天敵飼育用) 유충채집법(幼蟲採集法)은 매우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유충채집(幼蟲採集)에 필요(必要)한 적정강수량(適正降水量)은 5.3-9.4mm, 이때에 소요(所要)된 살수량(撒水量) 및 살수시간(撒水時間)은 각각(各各) $8,000-16,000{\ell}$와 180-360분(分) 이었다. 2.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효과적(效果的)인 유충채집시기(幼蟲採集時期)는 중부지방(中部地方) 소나무림(林)의 경우 11월(月) 초순(初旬)부터 중순(中旬)까지 약(約) 20일간(日間)이며 이 기간(期間)에 낙하(落下)한 유충수(幼蟲數)는 전체(全體) 낙하수(落下數)의 93.4%였다. 3. 하루중에 있어서의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유충낙하(幼蟲落下)는 강수시각(降水時刻)에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다. 4.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유충(幼蟲)의 채집시기별(採集時期別) 천적기생율(天敵寄生率)은 11월(月)의 것이 비교적(比較的) 높았으며 12월(月) 채집분(採集分)은 다소 떨어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5.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 유충채집적지(幼蟲採集跡地)의 1년후(年後)의 밀도변동(密度變動)은 채집전(採集前)과 비교(比較)하여 약(約) 34%의 밀도감소효과(密度減少效果)가 있었다. 6. 인공강수(人工降水)에 의(依)한 유충채집방법(幼蟲採集方法)은 현행방법(現行方法)인 충영채집법(蟲癭採集法)에 비(比)하여 약(約) 14-50%의 채집비용(採集費用)(경제적(經濟的)) 절감효과(節減效果)가 있었다.

  • PDF

RAG-1 and IgM Genes, Markers for Early Development of the Immune System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Lee, Jang-Wook;Yang, Hyun;Noh, Jae Koo;Kim, Hyun Chul;Park, Choul-Ji;Park, Jong-Won;Hwang, In Joon;Kim, Sung Yeon;Lee, J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2호
    • /
    • pp.99-106
    • /
    • 2014
  • Fish larvae are immediately exposed to microbes from hatching to maturation of their lymphoid organs, therefore effective innate mechanisms is very important for survival. However, the knowledge of the development of immune system in fish is limited and in demand now. In vertebrates, recombination-activating gene 1 (RAG-1) and immunoglobulin M (IgM) have been considered as very useful markers of the physiological maturity of the immune system.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the both genes was assessed throughout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s of olive flounder larvae (5-55 dph) and used as markers to follow the development of immune system. RAG-1 and IgM mRNA expression was detectable at 5 dph and remained so until 55 dph. These patterns of expression may suggest that the olive flounder start to develop its function around 5 dph. Tissue distribution was found that both genes mRNAs are only expressed in the immune-related organ such as spleen, kidney and gill. The early detection of IgM mRNA led to the investigation of its presence in oocytes. Both RAG-1 and IgM mRNA transcripts were detected in unfertilized oocytes, suggesting that they are maternally transferred. The biological significance of such a phenomenon remains to be investigated.

리테르개멍게 (Halocynthia hilgendorfi ritteri)의 초기 발생 (Early Development of the Ascidian (Halocynthia hilgendorfi ritteti))

  • 최영진;김삼연;이치훈;노섬;이영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98-104
    • /
    • 2004
  • Early development and metamorphosis of the ascidian (Halocynthia hilgendorfi ritteri) were investigated from fertilized egg. The samples were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Yongdam, northwest of Jeju Island in November 2002. H. hilgendorfi ritteri was solitary ascidian and produced spheral eggs with egg size ranging from $0.33\pm0.01\;mm.$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itelline coat are attached many follicle cells. At $21.0\pm0.5^{\circ}C$ of water temperature, first cleavage took place in about 1.5 hrs after fertilization, and gastrulation followed in about 12.5 hrs. The formation of tailbud embryos and free swimming larvae were observed 13.3 hrs and 20.5 hrs after fertilization, respectively. The size of newly hatched tadpole larva was 1.30-1.45 mm, the larva swam for 2 hrs to 14 hrs. At 4 hrs after hatching, the palpi were lost and tail absorption began with an abrupt rupture of the anterior end of the notochord. At 17-18 hrs after hatching, tail completely absorption and remained trunk. The coniform adhesive papilla began protrusion at 30 hrs after hatching. The oral and atrial siphon formed at 6-7 days after settlement. At 17-18 days after settlement, metamorphosed the larvae developed into protoascidian of which the external morphology was similar to their adult.

꼬치동자개(Pseudobagrus brevicorpus)의 생태와 초기 생활사 (Ecology and Early Life History of Endangered Freshwater Fish, Pseudobagrus brevicorpus (Pisces: Bagridae))

  • 강언종;양현;이흥헌;조용철;김응오;임상구;방인철
    • 환경생물
    • /
    • 제25권4호
    • /
    • pp.378-384
    • /
    • 2007
  • 멸종위기에 처한 우리나라 고유 담수어인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의 증식 복원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생태와 초기생활사에 대해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꼬치동자개는 특정 조건에 밀집되어 개체군을 형성하며 서식밀도는 1.25개체 $m^{-2}$이었고, 생산력은 200$\sim$250개 마리$^{-1}$ 낮아 멸종위기 상황을 시사하였다. 산란은 자연산란 유도 결과 수초에 산란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부화한 치어는 군집생활을 한다. 수정난은 약 50시간만에 부화하였으며, 부화 3일 후 난황이 거의 흡수되었고, 부화 8일 후에는 올챙이형으로 군집하며, 30일경에 어미와 같은 형태를 보이는 치어기로 성장하였다. 이러한 산란 생태와 관련하여 멸종위기에 처한 꼬치동자개의 증식 복원과 보존을 위한 방안들을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