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검색결과 750건 처리시간 0.022초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rit on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s

  • Yurim Chae;Sanglim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3호
    • /
    • pp.355-361
    • /
    • 202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rit on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s. The subjects were 363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or childcare centers of South Korea. We used self-reporting survey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 major variables and utilized the SPSS 28.0 Program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Cronbach's alphas were calculated and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question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As results, the higher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rit were, the higher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s wer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rit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teacher-child interactions, which showed that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rit would predict the quality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young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Grit so that they practice excellent interactions with young children in order to support development and learning through play.

발달적으로 적합한 유아교육 실제에 대한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신념과 실제 교수 활동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Concern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 김선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221-234
    • /
    • 199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 to ascertain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relative to th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and (b) to determine the relative differences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and kindergarten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Although interest in obtaining information regarding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for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not new, it has commanded considerable attention recently, reflecting concern about growing fragmentation and discontinuity betwee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rvices. A questionnaire measure of 4-and 5-year-old classroom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based on the guidelines for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hich was consisted of the Teachers' Beliefs Scale(TBS) and the Instructional activities Scale(IAS), was administered to 215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215 kindergarten teachers.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not only between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but also betwee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belief and activities, and between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beliefs and activiti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 center and kindergarten teacher groups on the mean scores of each subscale, revealing that kindergarten group had a greater mean score on both TBS and IAS than child care center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re is a great deal of teaching in either child 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which is not congruent with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Also, the information obtained with the questionnaire has supported the contention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rvices are need to be amalgamated based on th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 PDF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역량에 대한 개념도 연구 (A Concept Map Study on Teacher Competency for ESD(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 이효빈;권연희;안정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3-72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reveal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 competency for ESD using concept mapping and demonstrating its importance. Methods: 16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arge of 3-5 year olds conducted statement writing, and then the importance of selected statements were rated by 16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arge of 3-5 year olds. Selected statements were analyze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Result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eacher competency for ESD in early childhood as concept mapping with two-dimensions and six clusters. The following six clusters were established (1) ethic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SD, (3)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sustainable development curriculum, (4) recognition and practice of environmental issues, (5) realization of valu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6) practical thinking for ESD. And then among the six clusters, the most important cluster was recognized as 'ethic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mong the statements 'having an open mind to understand multiculturalism and the disabled' was considered relatively important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eacher competency for ESD i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of teacher competency scale, and preparation of a teacher education plans for each competency.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 Map on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민보경;이시자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87-208
    • /
    • 2017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유아교사 60명을 대상으로 Novak과 Gowin(1984)이 고안한 개념도를 사용하여 유아교사가 지닌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내용지식 및 그 지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자는 유아교사와의 소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개념도를 작성하도록 요청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에 의해 사용되어진 유아역사교육의 상위개념의 범주는 11개로 확인되었으며, 그 가운데, 교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상위개념은 '생활양식', 그 뒤를 이어 '문화/예술', 위인'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둘째, 특정 상위개념에 포함된 종속개념 수의 평균을 알아본 결과, '생활양식'이 가장 많은 종속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문화/예술, 활동방법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가 알고 있는 유아역사교육 내용 가운데 '생활양식'에 대한 지식의 폭이 가장 넓다는 것을 의미하며, 교수-학습 방법의 지식 폭도 상대적으로 넓은 것으로 확인된다. 하지만 위인의 경우는 상위개념에서 빈번하게 확인되었으나 종속개념에서는 그렇지 않아, 그 지식의 폭이 좁은 것으로 확인된다. 학자들은 교사의 교과내용에 대한 관심과 지식이 높을수록 다양한 교수 방법을 활용하여 확장, 분화하여 가르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유아역사교육에 대해서도 교사의 지식이 깊고 체계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교사 재교육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유아 교사 관련 창의성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위 논문 중심으로 (Analysis of Creativity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 Focusing on Domestic Thesis)

  • 김민정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3권
    • /
    • pp.73-91
    • /
    • 2023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유아 교사 관련 창의성 연구를 분석하여 유아 교사 관련 창의성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를 위해 '유아 교사', '창의성', '창의성 연구동향'을 주제어로 국회도서관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검색된 국내 석·박사학위논문 103편을 선정하였다. 유아 교사 관련 창의성 연구를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 연구대상, 창의성요인의 5가지 준거로 분석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결론 및 제언 : 연구결과, 첫째, 유아 교사 관련 창의성 연구의 시기별 동향은 1991년부터 2022년까지 석사논문 91편(88.3%), 박사논문 12편(11.7%)으로 석사논문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기초연구 20편(19.4%), 실천연구 83편(80.6%)으로 나타났다. 유아 교사 관련 창의성 연구는 실천연구 중심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연구방법별 동향은 양적연구 96편(93.2%), 질적연구 7편(6.8%), 문헌연구 0편(0%)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 교사 관련 창의성 연구는 양적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유아교사 관련 연구 100편(97.1%)과 예비유아교사 관련 연구 3편(2.9%)으로 이루어졌다. 다섯째, 창의성요인별 동향은 교사변인관련 연구 56편(54.4%)과 창의성 교육방법 관련 연구 47편(45.6%)으로 나타났다. 교사변인관련 연구가 창의성교육방법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유아 교사 관련 창의성 연구에서 기독교교육 연구가 부족하여, 향후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ger-Expression and Ego-Resilience on Teaching Efficacy)

  • 강현영;서현아;엄세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93-30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 및 교수효능감을 알아본 후, 각 변인에 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더불어 예비유아교사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312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분노표현, 자아탄력성, 교수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한 후,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노표현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은 낮아지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대한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 전체가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영향요인 탐색을 위한 융합적 접근 (A Convergence Approach to Exploring Factors Affecting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박혜정;이연규;김미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51-459
    • /
    • 2020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현재 재직 중인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여 202명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공감,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에 대한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영향요인은 교육경력, 직무성취도, 공감, 회복탄력성으로 확인되었으며 설명력은 57.2%로 나타났다(F=45.848, p<.001).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회복탄력성(β=.480)이 높을수록, 직무성취도(β=.286)가 높을수록, 교육경력(β=.197)이 많을수록, 공감(β=.141)능력이 높을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해 예비유아교사 시기부터 회복탄력성, 직무성취도, 공감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정규교육과 비정규교육과정을 융합한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이 요구된다.

아동학대에 대한 학부모와 유아교사의 인식 차이 (About Child Abuse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 하정선;김용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89-196
    • /
    • 2019
  • 이 연구는 학부모와 유아교사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자 G 지역 유아교육기관에 소속된 학부모와 유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아동학대(신체, 언어, 정서 및 사고, 방임, 예방대책, 개선방안)에 관한 항목으로 질문하여 얻어진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t검정과 ${\chi}^2$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첫째,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차이는 학부모보다 유아교사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하위내용에 대한 인식은 학부모와 유아교사 모두 방임, 신체, 정서 및 사고, 언어 순이다. 둘째, 예방대책에 대해서는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위내용 중 아동학대 예방교육의 경험유무와 참여세미나 교육에 대해서는 학부모가 더 높게 인식하였고, 아동학대 예방교육의 인지도와 만족도, 아동보호 전문기관의 법적 역할과 기능에 대한 정보 인지도, 아동학대 신고 의무화 및 의무자의 인지도는 유아교사가 더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아동학대 개선방안에 대해서도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위내용 중 아동학대 예방교육 실시와 자료 제공, 대중매체를 통한 아동학대 실태 및 대책 홍보, 대중매체를 활용한 아동학대 예방교육 확대, 아동학대 신고 의무자들의 의무교육에 대해서는 유아교사가 더 높게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부모와 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예방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유아교사의 인성교육 지도역량 요인에 대한 요구도 분석 (Demand Analysis of Factors of Teaching Competency for Character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고은경;전효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7-6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ing competency for character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demands to improve their capacities. 152 kindergarten and child care teachers responded to 30 survey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3 sub-factors(commutative, practical, instrumental) of teaching competency for character education of the teachers, as well as 16 detailed components, designed to check their current competency for character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priority elements that they desired to improve.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Borich request formula,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cross the teacher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ost highly demanded teaching competency by the teachers was using tools interactively for character education. And the teachers, among the sub-elements, requested (a) recording and evaluating character education systematically, (b) using local or national resources, (c) planning member's participation, and (d) performing character education related activities systematically. Secondly, more new teachers demanded instrumental competency and answered the need of parents' participation among the sub-elements, more than the more experienced teachers, respectively. The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promo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for character education.

유아교사의 일터영성 척도(WSSECT)의 타당화 : 행복감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판별력 (Discriminant Analysis of the WSSECT o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 이경화;임정수;정혜영;심은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399-413
    • /
    • 2015
  •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WSSECT (Workplace Spiritual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using discriminant analysi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The data from 504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t-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higher group in workplace spirituality significantly gets more scores of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than the lower group, 2) 4 factors of the WSSECT have discriminant power o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3) 2 factors ('meaning for life' and 'calling for ECE teacher job') of the WSSECT are effective to discriminat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Further statistical works are supplementary needed to validate the WSSECT and to increase its'fea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