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N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4초

Cytochrome P450 and the glycosyltransferase genes are necessary for product release from epipyrone polyketide synthase in Epicoccum nigrum

  • Choi, Eun Ha;Park, Si-Hyung;Kwon, Hyung-Ji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3호
    • /
    • pp.225-236
    • /
    • 2021
  • The epipyrone (EPN) biosynthetic gene cluster of Epicoccum nigrum is composed of epnC, epnB, and epnA, which encode cytochrome P450 oxidase, glycosyltransferase, and highly reducing polyketide synthase, respectively. Gene inactivation mutants for epnA, epnB, and epnC were previously generated, and it was found that all of them were incapable of producing EPN and any of its related compounds. It was also reported that epnB inactivation abolished epnA transcription, generating ΔepnAB. This study shows that the introduction of native epnC readily restored EPN production in ΔepnC, suggesting that epnC is essential for polyketide release from EpnA and implies that EpnC works during the polyketide chain assembly of EpnA. Introduction of epnC promoter-epnA restored EPN production in ΔepnA. The ΔepnB genotype was prepared by introducing the epnA expression vector into ΔepnAB, and it was found that the resulting recombinant strain did not produce any EPN-related compounds. A canonical epnB inactivation strain was also generated by deleting its 5'-end. At the deletion point, an Aspergllus nidulans gpdA promoter was inserted to ensure the transcription of epnA, which is located downstream of epnB. Examination of the metabolite profile of the resulting ΔepnB mutant via LC-mass spectrometry verified that no EPN-related compound was produced in this strain. This substantiates that C-glycosylation by EpnB is a prerequisite for the release of EpnA-tethered product. In conclusion, it is proposed that cytochrome P450 oxidase and glycosyltransferase work in concert with polyketide synthase to generate EPN without the occurrence of any free intermediates.

제주도 연안 해양환경 중 유기린계 농약의 잔류 (Residue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n the Coastal Environment on the Cheju Island)

  • 김정호;오윤근;박병윤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03-507
    • /
    • 1999
  • To study the residue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n the ocean environment on the Cheju island, EPN[O-ethyl-O-4-nitrophenyl phenylphosphonothioate] and monocrotophos [Dimethyl-1-methyl-2-methyl carba-moylvinylphosphate]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are surveyed on coastal environment of Cheju city and Wimi in May and October 1996. The qualified limit detection of EPN and monocrotophos are 0.005ng/mL and 0.006ng/mL in the water by GC-FPD, respectively. The qualified limit detection of EPN and monocrotophos are 0.010ng/g and 0.012ng/g in the solid such as sediment and sea organism by GC-FPD, respectively. EPN and monocrotophos are not detected in seawater and sedimnet. Moreover EPN and monocrotophos are neither detected in seaweed cava (Ecklonia cava), Agar (Gelidium amansii), turban sell(Batillus cornutus) and sea urchin(Anthocidaris Crassispina). EPN, monocrotophos used in the farm on the Cheju island are not residued in the coastal environment in the Cheju island.

  • PDF

EPN의 분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EPN)

  • 이용두;김현희;김창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0호
    • /
    • pp.1103-1108
    • /
    • 2002
  • In order to evaluate the degradation organophosphorus pesticide, EPN, in water environment, the effects of water temp.(10$^{circ}C,\;30^{\circ}C$), pH(3-11) and sunlight on its degradation were investigated during 10 days. The degradation rate of EPN(200 rpm) was faster at higher water temp. and higher pH, i.e., its degradation rate at pH 3, 5, 7, 9, 11 was 57, 63, 66, 69, 75%(1$0^{\circ}C$), and 70, 74, 79, 91, 97%(3$0^{\circ}C$) after 10 days, respectively. The effect of water temp. on its degradation was little in acidic condition, but was rather great in alkaline condition, with time. EPN was degraded fast at the alkaline condition by photolysis. At the condition of pH 11, EPN was degraded fast at the early stage in the first 2 days, but after that the degradation rate was weakened.

제주도 토양에서 EPN의 용탈과 잔류 (Adsorption and residues of EPN in the soil of Cheju Island)

  • 김정호;감상규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9-25
    • /
    • 2000
  • 제주도 토양에서 EPN(O-ethyl-O-4 -nitrophenyl phenylphosphonothioate) 유기인계 농약의 이동을 예측하기 위해서, 제주도의 흑색 화산회토인 남원토양, 농암갈색 화산회토인 애월토양 및 암갈색 비화산회토인 무릉토양에서 EPN의 흡착과 토양칼럼에서 용탈을 검토하였으며, 또한 연안해수와 저니토에서의 EPN 잔류를 조사하였다. 남원토양, 애월토양, 무릉토양의 유기물함량은 각각 19.8%, 6.2%, 2.4%였고, 양이온 치환용량은 각각 24.8 meq/100g, 13.0 meq/100g, 9.5 meq/100g이었다. Freundlich 상수 k는 남원토양, 애월토양, 무릉토양에서 각각 89.4, 26.9, 9.2로 남원토양>애월토양>무릉토양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즉 유기물 함량 및 양이온 치환용량이 매우 높은 토양인 남원토양에서 흡착능이 높았다. Freundlich 상수 1/n은 유기물 함량이 많은 남원토양에서 0.82로 1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유기물함량이 적은 무릉토양에서는 1.07로 1보다 높았다. EPN의 토양 중 용탈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토성별 용탈 경향은 농약의 흡착능이 큰 남원토양이 가장 침출이 적었고, 흡착능이 작은 무릉토양은 상대적으로 크게 일어났다. 한편 EPN은 도두와 위미에서의 해수와 저니토에서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 PDF

제주도 연안 해양환경 중에서 유기인계 농약의 잔류 (Residue of the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n the Coastal Environment on the Cheju island)

  • 김정호;오윤근;김정배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7권4호
    • /
    • pp.341-346
    • /
    • 2002
  • 제주도 연안의 수산물 생산력 향상을 위해서는 연안 해양환경 보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골프장의 농약 오염원이 연안환경과 수산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주도의 농업 오염물질 중 유기인계 농약에 의한 연안해역의 오염을 규명하고자, 1997년 7월과 8월에 남제주도에 위치한 중문골프장에 인접한 색달동과 대포동 근해 해양환경시료에서 monocrotophos와 EPN 유기 인계 농약 잔류를 조사하였다. GC-FPD에 의한 monocrotophos와 EPN의 시료중 최소 검출농도는 동·식물의 고체시료에서는 0.024 ng/g, 0.020 ng/g이었다. 또한 해수에서는 각각 0.012 ng/mL, 0.010 ng/mL이었다. 식물시료인 우뭇가사리와 미역, 동물시료인 소라와 성게에 대한 유기인계 농약의 잔류량 조사 결과 모든 시료에서 monocrotophos와 EPN이 검출되지 않았다. Monocrotophos와 EPN은 색달동과 대포동에서의 해수와 저니토에서도 검출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7월, 8월에서도 동일하였다. 따라서 남제주도 중문골프장 근해 해양 환경 중에서는 monocrotophos와 EPN의 유기인계 농약오염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EPN 저항성 배추좀나방에 대한 IGR계 약제 Bistrifluron의 살충활성과 세 가지 협력제에 의한 살충활성 증진 효과 (Insecticidal Activities and Synergism of Bistrifluron Against EPN-Resistant Strain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epidoptera: Plutellidae))

  • 주유리;양정오;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4-61
    • /
    • 2009
  • EPN-저항성 배추좀나방에 대한 chitin 생합성저해제인 bistrifluron의 발육단계별 살충활성, 성충수명 및 산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에 대한 부화억제율은 추천농도(50 ppm)에서 낮았지만, 부화유충의 치사율이 50-60%를 나타내었고, 두 계통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영기별 살충효과는 감수성 계통과 저항성 계통 모두에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계통간에 차이는 크지 않았다. 번데기에 처리시 우화억제율은 거의 없었으며, 또 성충의 수명과 산란수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성충에 처리했을 때 50 ppm농도에서 성충수명과 산란수는 감소하였지만 두계통간에 차이는 없었다. EPN저항성계통에 대한 bistrifluron과 협력제 piperonyl butoxide(microsomal oxidase inhibitor)와 polyoxin B(chitin synthetase inhibitor)는 각각 137.7배와 73.1배로 높은 협력작용을 나타내었다.

자동화된 LPME(Liquid Phase Microextraction)장치를 이용한 다성분 농약분석 (Multicomponent pesticides analysis by automated liquid phase microextraction)

  • 명승운;정홍래
    • 분석과학
    • /
    • 제18권3호
    • /
    • pp.224-231
    • /
    • 2005
  • 잔류농약 분석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액체-액체 추출법과 액체-고체 추출법의 여러 가지 단점을 극복하고 기존의 낮은 정밀도와 저조한 추출효과를 보완하기위해 자동화된 장치를 이용한 액체상 극미량 추출법(Liquid Phase Microextraction : LPME)을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최적화 조건을 설정하였다. 대상농약은 demeton-S-methyl, diazinon, parathion, fenitrothion, EPN등 5종이었으며 채소 시료 중에서 추출하여 HP 6890 GC/NP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동화된 LPME를 이용한 최적의 추출조건은 pH 3, 염의 농도 $100{\mu}g/mL$이었으며 검량선을 작성하였을 때 $0.2{\sim}10{\mu}g/g$ 범위에서 $R^2=0.9921$ 이상 직선상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5{\mu}g/g$ 농도에서 demeton-S-methyl은 7.7%, diazinon은 9.8%, parathion은 7.8%, fenitrothion는 9.7%, EPN은 8.2%의 상대표준편차를 나타내었고 정확도는 demeton-S-methyl는 12.7%, diazinon는 7.8%, parathion는 10.4%, fenitrothion는 -6.7%, EPN은 -0.7%로 좋은 값을 나타내었다.

WHO 분류 1 등급 EPN, Phosphamidone, Terbufos 유기인계 중독환자의 임상 양상 (Different Clinical Courses for Poisoning with WHO Hazard Class Ia Organophosphates EPN, Phosphamidon, and Terbufos in Humans)

  • 문종구;문정미;이미진;전병조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
    • /
    • 2018
  • Purpose: Extremely hazardous pesticides are classified as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zard class Ia. However, data describing the clinical course of WHO class Ia OP (organophosphate) poisonings in humans are very scarce. Here, we compare the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ho ingested hazard class Ia OPs. Methods: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case study included 75 patients with a history of ingesting ethyl p-nitrophenol thio-benzene phosphonate (EPN), phosphamidon, or terbufos. The patie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chemical formulation of the ingested OP. Data regarding mortality and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were collected and compared among groups.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severity scores at presentation between the three groups. No fatalities were observed in the terbufos group. The fatality rates in the EPN and phosphamidon groups were 11.8% and 28.6%, respectively. Patients poisoned with EPN developed respiratory failure later than those poisoned with phosphamidon and also tended to require longer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than phosphamidon patients. The main cause of death was pneumonia in the EPN group and hypotensive shock in the phosphamidon group. Death occurred later in the EPN group than in the phosphamidon group. Conclusion: Even though all three drugs are classified as WHO class Ia OPs (extremely hazardous pesticides), their clinical courses and the related causes of death in humans varied. Their treatment protocols and predicted outcomes should therefore also be different based on the chemical formulation of the OP.

돼지 간중의 Monooxygenase 가 Diazinon 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 (The degradation o Diazinon by hepatic monooxygenase of Pig)

  • 류종국;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3-159
    • /
    • 1990
  • 돼지간을 두 fraction($105,000{\time}g$ pellet, superatant)으로 나누어 Diazinon의 분해에 관여하는 두 효소(Monooxygenase와 esterase)의 활성 및 저해제(EPN, Beam, PBO)첨가에 따른 Diazinon의 분해억제 능력을 비교 검토하였다. 1. 돼지간의 microsomal fraction과 soluble fraction에서 M. O.와 β-esterase 활성은 20분과 60분에 최고활성을 나타내었다. 2. Microsomal fraction에서의 M. O.활성은 NADPH generating system의 첨가로 1.6배의 활성증가와 지속성이 확인되었다. 3. Microsomal fraction에서의 Diazinon분해량은 30분에 최고량(0.060nM/ mg/ min)을 보였으나, soluble fraction에서는 60분에 최고량(0.018nM/ mg/ min)을 보여 1/3수준이었다. 4. M. O.활성에 미치는 Diazinon에 대한 EPN, Beam, PBO의 첨가효과는 Beam(14%)< EPN(15%)

  • PDF

EPN을 이용한 통신프로토콜 변환방식 설계 (Design of Communication Protocol Conversion using EPN)

  • 이상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09-518
    • /
    • 1993
  •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서 운영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프로토콜 변환이라는 방법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모형화 능력의 확장 및 변환 프로토콜의 성능 분석이 가능한 모형화도구 EPN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프로토콜 변환 방식을 설계한다. 제안한 변환 방식은 프로토콜 변환기의 동기화를 보장하고 오류복구 기능을 자동으로 추가시킨다. 따라서 이 변환 방식은 프로토콜 변환기 설계자의 설계 부담을 경감시키고 프로토콜 변환기 설계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며, 게이트 웨이 설계가 용이해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