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

검색결과 477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외산 녹차 추출액의 항균 작용 (Antibacterial Activities of Korean and Foreign Green Tea Extract)

  • 김용관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9-46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green tea extract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as death velocity constant.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seven green teas (2 Korean, 2 Japanese, 2 Chinease and 1 Vietnamese) and experimental strains were used E. coli No. 11234, Ent. aerogenes No. 11783, Ps. fiu. orescens No. 11210, S. marscens No. 11808, St. mutans No. 11823 and V. parahaernolyticus No. 11965.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green tea extracts according to the strains were strikingly difference. That is, those of the samples appeared to be conspicuous on [St. mutans No. 11823 (Range of death velocity constant a day after, at 20$\circ$C 4.85~5.22) and V. parahaemolyticus No. 11965 (4.70~6.00) while E. coli No. 11234 (0.59~-0.30) and Ent. aerogenes No. 11783 (0.24~-0.11)] were not so. 2. To storage temperature at 5$\circ$C than that at 20$\circ$C,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green tea extract on Ps. fluorescens No. 11210, S. marscens No. 11808, E. coli No. 11234, and Ent. aerogenes No. 11783 were sensitived but St. mutans No. 11823 and V. parahaemolyticus No. 11965 were not related to those. 3. Antibacterial activities to the strains were increased within two days.

  • PDF

Characterization of antihypertensive effect of I. sinclairii and its Genotoxic evaluation in 3 sets of mutagenicity tests

  • Ahn, Mi-Young;Jung, Yi-Sook;Lee, Bo-Kyung;Kim, Chan-Sik;Moon, Chang-Hyun;Kim, In-Sun;Lee, Byung-Mu;Gyu, Kang-Sun;Kim, Ik-Soo;Kim, Jin-Won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46
    • /
    • 2003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lcohol extract of Isaria sinclairii on blood pressure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The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measured after treatment of alcohol extract of Isaria sinclairii by indirect tail cuff method and direct in vivo model. Male SHR were treated with extracts for 2 or 4 weeks starting at 12 weeks of age. (omitted)

  • PDF

성대주입술을 결합한 음성치료의 효과 연구 (The Study of Combined Voice Therapy with Intralaryngeal Injection)

  • 안철민;정화원;신정은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5-31
    • /
    • 2017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ough voice therapy is proven to be effective in academia, treatment results and satisfaction level are inconsistent in clinics. The inconsistency may rise from diverse vocal cords misuse patterns in patient population as they suffer from different diseases or have bad phonation habit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we uniformized patients' vocal cords with injection laryngoplasty prior to voice therapy. The efficacy of voice therapy and consistency in treatment results after injection laryngoplasty were assessed. Materials and Methods : Patients diagnosed with vocal nodules were either treated with injection laryngoplasty followed by voice therapy (combined treatment group) or voice therapy only (voice therapy group). Each group consisted of 15 patients. Acoustic measures (jitter, shimmer, NHR), aerodynamic measures (MPT, Psub, MAFR), and subjective auditory conscious measures (K-VHI, K-VRQOL)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Results : After treatments, both groups improved in terms of acoustic, aerodynamic, and subjective auditory conscious measures compared to pre-treatment. Combined treatment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shimmer, P in K-VHI, and PF in K-VRQOL compared to voice therapy group. Conclusion : Injection laryngoplasty treatment prior to voice therapy synergizes in treating patients compared to voice therapy only.

  • PDF

국소성 두경부 악성 임파종의 임상적 특징 및 치료 성적 분석 (The Evaluation of the Clinical Features and the Results of Treatment of Localized Head and Neck Malignant Lymphoma)

  • 한지연;최병길;김민식;장홍석;김훈교;홍영선;이경식;김동집;박영학;조승호;서병도;윤세철;최규호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0-35
    • /
    • 1995
  • Localized non-Hodgkin's lymphomas of head and neck are generally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with or without chemotherapy and the results of treatments are favorable, but the recurrences in the primary site or distant sites are a major contributor to failure, We experiened 19 cases of localized non-Hodgkin's lymphomas for 4-year period and retrogradely analized them. We treated patients with Ann Arbor stage I and low grade histology in Working formulation with radiation therapy and patients with Ann Arbor stage II, moderate to high grade histology or extensive tumor size with combination chemotherapy, The complete responses were occurred in 15 of 19 patients (radiation therapy, 5/6 (83.3%); chemotherapy 10/13(76.9%)). 3 relapses were occurred; 2 were in local relapses and 1 was in distant leptomeningeal relapse and the counter-therapeutic modalities were successful in 2 cases. Our results suggest that Ann Arbor stage is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and appropriate staging with extensive methods is important to improve the results of treatment.

  • PDF

MaxEnt를 활용한 청비름(Amaranthus viridis)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서식지 분포 변화 예측 (Predicting the Suitable Habitat of Amaranthus viridis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by MaxEnt)

  • 이용호;홍선희;나채선;손수인;김명현;김창석;오영주
    • 환경생물
    • /
    • 제34권4호
    • /
    • pp.240-245
    • /
    • 2016
  • 본 연구에서 외래식물인 청비름(Amaranthus viridis L.)의 현재의 잠재 서식지와 RCP 4.5와 RCP 8.5에 의한 미래의 분포 확산을 MaxEnt 모델을 활용하여 예측하였다. 청비름의 잠재 서식지는 연평균기온, 고도, 12월의 강수량의 환경변수가 85% 이상의 기여도를 보여 가장 중요한 변수로 분석되었고 AUC도 0.95로 모형의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다. 제주도와 남해안 및 중남부 서해안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청비름은 RCP 4.5에서는 확산이 크게 나타나지 않으나, RCP 8.5 시나리오는 잠재 서식지가 전국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현재에 비하여 2090년대 잠재 서식지 비율이 약 4.8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시나리오 별 차이는 향후 청비름의 확산이 기후변화 양상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청비름은 많은 종자 생산과 차량의 이동이나 사람의 이동 중에 쉽게 확산되는 특성이 있어 잠재서식지 비율의 증가는 실제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빠르게 확산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비름속의 개비름과 가는털비름은 이미 전국에 분포하고 있어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고 기후변화에 의한 온도 상승은 청비름 또한 전국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장기적인 관심과 관리기술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지역별 예측은 향후 관리 계획 설정 등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기후변화에 따른 금강 유역의 어류 종분포 변화 예측 (Prediction of Shift in Fish Distributions in the Geum River Watershed under Climate Change)

  • 배은혜;정진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3호
    • /
    • pp.198-205
    • /
    • 2015
  • 기후변화에 의한 수생태계의 영향은 수생생물의 생리작용의 변화에서부터 종분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금강유역의 어류 종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비출현 정보를 요구하지 않고도 좋은 예측력을 가지고 있는 MaxEnt 모형을 활용하였다. 금강유역 134개 지점의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어류 출현 자료 (고유종 17종 포함 총 47종)와 9개의 환경인자 (월별 최저기온, 최고기온, 평균기온, 강수량, 최저수온, 최고수온, 평균수온, 고도, 경사)를 사용하여,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2050년과 2100년의 어류 종분포를 예측하였다. MaxEnt 모형은 평균 0.798의 적절한 모형적합도를 보여 주었으며, 종분포 예측에 기여도가 높은 환경인자는 고도, 강수량, 최저수온 순이었다. 기후변화가 진행됨에 따라 얼룩동사리와 줄납자루와 같은 고유종의 출현확률은 감소한 반면, 배스와 블루길과 같은 외래종의 출현확률은 증가하였다. 특히 2100년에는 5종 (줄몰개, 미꾸라지, 강준치, 줄납자루, 칼납자루)의 어류가 금강유역에서 더 이상 서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리고 기후변화에 따라 종풍부도가 높은 지역이 금강유역 내에서 북상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이 금강유역 수생태계의 교란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HSI와 MaxEnt를 통한 삵의 서식지 예측 모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HSI and MaxEnt Habitat Prediction Models: About Prionailurus bengalensis)

  • 유다영;임태양;김휘문;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1-14
    • /
    • 2021
  • Excessive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have destroyed animal, plant, habitats and reduced biodiversity. In order to preserve species diversity, habitat prediction studies are have been conducted at home and overseas using various modeling techniqu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optimal habitat modeling research by comparing HSI and MaxEnt, which are widely used among habitat modeling techniques. The study was targeted on the endangered species of Prionailurus bengalensis in nearby areas (5460.35km2) including Cheonan City, and the same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o compare those models. According to the HSI analysis, Prionailurus bengalensis's habitat probability was 74.65% for less than 0.5 and 25.34% for more than 0.5 and the top 30% were forest (99.07%). MaxEnt's analysis showed that 56.22% of those below 0.5 and 43.79% of those above 0.5 were found to have a high explanatory power of 78.3% of AUC. The Paired Wilcoxn test, which evaluated the significance of thoes models, confirmed that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de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ose models using the matrix table shows that score 24.43% HSI and MaxEnt was accordance,12.44% of the 0.0 to 0.2 section, 7.22% of the 0.2 to 0.4 section, 2.73% of the 0.4 to 0.6 section, 1.96% of the 0.6 to 0.8, and 0.08% of the 0.9 to 1.0. To verify where the score difference appears, the result values of those models were reset to values from 1 to 5 and overlaid. Overlapping analysis resulted in 30.26% of the Strongly agree values, 56.77% of the agree values, and 11.92% of the Disagree values. The places where the difference in scores occurs were analyzed in the order of forest (45.23%), agricultural land (34.57%), and urbanization area (7.65%). This confirmed that the analysis of the same target species within the same target site also has differences in forecasts depending on the modelling method. Therefore, a novel analysis method combining the advantages of each modeling in habitat prediction studies should be developed, and future study may be used to select Prionailurus bengalensis and species-protected areas and species protection areas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is judged to require higher accuracy studies through the use of various modeling techniques and on-site verification.

남한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난아열대 목본식물, Myrica rubra와 Syzygium buxifolium의 잠재분포 변화 예측 (Prediction of Changes in Potential Distribution of Warm-Temperate and Subtropical Trees, Myrica rubra and Syzygium buxifolium in South Korea)

  • 임은영;원현규;원종서;김다나;조형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4호
    • /
    • pp.282-289
    • /
    • 2022
  • 한반도의 기후변화가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난아열대 산림생명자원 관리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난아열대 목본식물인 소귀나무와 Syzygium buxifolium의 위치자료와 생물기후변수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MaxEnt 모형에 적용하여 잠재분포 영역을 추정하였다. 소귀나무의 분포를 결정하는 주요 환경인자는 가장 따뜻한 분기의 강수와 온도 계절성이고, Syzygium buxifolium의 주요 환경인자는 가장 따듯한 분기의 강수와 가장 습한 분기의 강수로 나타났다. MaxEnt 모형의 행정구역별 결과, 소귀나무는 SSP2-4.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4.6 - 17.7%의 면적 증가율을 보였고, SSP5-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13.8 - 30.5%의 면적 증가율을 보였다. Syzygium buxifolium는 SSP2-4.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4.8 - 32.2%, SSP5-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12.9 - 48.6%의 면적 증가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난대아열대 식물의 미래 잠재분포 영역을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의의가 있다.

MaxEnt 모형을 활용한 백두대간에 자생하는 주요 밀원수종인 음나무, 피나무, 쪽동백나무의 서식지 적합성 평가 (Evaluation of Habitat Suitability of Honey Tree Species, Kalopanax septemlobus Koidz., Tilia amurensis Rupr. and Styrax obassis Siebold & Z ucc. in the Baekdudaegan Mountains using MaxEnt Model)

  • 심형석;이민기;이창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50-60
    • /
    • 2022
  • 본 연구는 백두대간에 자생하는 주요 밀원수종 3종(음나무, 피나무, 쪽동백나무)을 대상으로 서식지 적합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백두대간 내 밀원수종 서식지 적합도 분석을 MaxEnt를 이용하여 수행한 결과, 모형의 예측정확도 AUC값은 음나무 0.747, 피나무 0.790, 쪽동백나무 0.755로 나타났다. 밀원수종의 서식지 적합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변수로 음나무와 피나무는 고도, 연평균 기온, 경사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쪽동백나무는 연평균 기온, 고도, 연평균 강수량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대상수종 모두 지형인자인 고도와 기후인자인 연평균 기온이 가장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으며, 이는 고도와 기온이 대상 수종의 분포 패턴을 설명하는데 매우 핵심적인 인자임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임업소득 향상을 위한 고부가가치 아이템인 산림양봉의 필수자원인 주요 밀원수종들의 서식지 적합성 분석을 통해, 백두대간 내 주요 밀원수종의 관리와 밀원림을 조성할 수 있는 잠재력이 높은 중요 적합지들에 대한 자료를 제공한다. 향후 밀원수종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 건조도 등의 무생물적 인자와 종간경쟁 등의 생물적 인자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가 추가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곰팡이 Fusarium 속을 이용한 독활 뿌리 추출물로부터 디테르페노이드의 생물전환 (Biotransformation of Diterpenoids From Aralia continentalis Roots by the Genus Fusarium)

  • 문금옥;이설아;조은혜;이아름;차재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15-226
    • /
    • 2024
  • 독활 뿌리 추출물은 한국을 포함한 극동아시아 국가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이 추출물은 한국에서 두통, 염증, 허리통증 및 치과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 오랫동안 사용되어져 왔다. 활성물질은 에피-콘티넨탈산, 콘티넨탈산 그리고 카우레노산으로 동정되었다. 생체이용능을 향상시킨 디테르페노이드 유도체의 합성을 위해, Fusarium fujikuroi가 생물전환용 균주로 선발되었다. 생물전환을 통하여 16α-hydroxy-ent-kauran-2-on-19-oic acid 와 2β, 16α-dihydroxy-ent-kauran-19-oic acid의 두 가지 유도체가 얻어졌으며, 이들의 화학구조는 HPLC, MS 및 NMR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러한 유도체들은 HPLC에서의 산물 유출시간과 구조적 특성을 통해 카우레노산에 비해 증가된 극성을 나타내었다. 인슐린 신호전달경로의 음성조절자인 PTP1B를 대상으로 한 항당뇨 활성을 평가한 결과, 4 ㎍/ml 농도에서 각각 30.8% 및 27.6%의 억제율을 나타냈으며, 두 유도체는 기존의 카우레노산 보다 18배 높은 IC50 값을 갖는 낮은 세포독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F. fujikuroi에 의한 생물전환으로 인해 증가된 수용성과 감소된 독성을 갖는 두 카우레노산 유도체는 산업적 응용을 위한 유망한 후보물질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