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G activity

검색결과 800건 처리시간 0.032초

뇌졸중 환자의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훈련 효과: 예비연구 (Effects of Occupation-Base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for Chronic Stroke: Pilot Study)

  • 김선호;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2호
    • /
    • pp.47-58
    • /
    • 2017
  • 목적: 뇌졸중 환자에게 의미 있는 작업을 기반으로 한 양측성 상지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연구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를 가진 환자 4명을 대상으로 실험군(2명)과 대조군(2명)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2016년 5월부터 8월까지 진행하였으며, 대상자 당 총 5주간, 주 3회, 회기 당 60분의 작업기반 양측성상지훈련 중재와 전통적 양측성 상지 훈련을 각 각 실시하였다. 중재 전 후로 EMG, 가속도계, ARAT, Y-BAT, SIS, COPM를 실시하여 각 군간 비교 하였다.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노쪽 손목폄근과 앞 어깨 세모근의 근 활성도, SIS에서 손 기능(Hand function), 기억력(Memory)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중재 전 후 큰 변화량을 나타냈으며, 양손의 사용량을 측정한 가속도계와 COPM, Y-BIT, ARAT평가의 잡기(grasp), 집기(pinch), 대동작 (gross movement)항목에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중재 전 후 큰 변화량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이 신경학적 변화를 통한 상지기능 회복 및 사회참여 등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 프로토콜의 내용에 대해 높은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개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이를 토대로 많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대조군 실험 연구를 통한 효과 검증과 효과지속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맨발 구조를 모사한 3D Bootie 공법을 적용시킨 트레킹화의 생체역학적 특성 평가 (Biomechanical Evaluation of Trekking Shoes using 3D Bootie Method as Mimics Barefoot Form)

  • 유찬일;전근환;원용관;김정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689-469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F사가 맨발 보행 효과에서 착안하여 최적의 착화감과 압력 분산의 효과를 트레킹화에 접목시키기 위해 고안한 3D Bootie 공법을 적용시킨 트레킹화에 대한 생체역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비교군으로써 M사, K사의 일반 트레킹화에 대하여, 신체 건강한 20대 남성 13명을 대상으로 보행 시 족저압력분포, 하지 근 활성도, 지면반발력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F사의 트레킹화는 족저압력 분포에서 넓은 접촉 면적으로 인하여 최대 힘과 최대 압력의 감소를 야기했으며, 보행 시 발의 부하를 경감시켰다. 근 활성도 측면에서는 맨발 보행의 효과와 동일하게 작용했다. 지면반발력에서는 효과적으로 충격력을 흡수하여, 말기입각기 때 더욱 효율적인 보행이 가능하였다. 결과적으로 F사의 트레킹화는 맨발 보행의 장점을 이용한 3D Bootie 공법을 적용함으로써 넓은 접촉 면적으로 인해 보행 시 발생하는 발의 부하를 감소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스쿼트 동작 시 발뒤꿈치 보조물 경사각에 따른 하지근과 척추기립근의 근육활동 비교 (Effect of Different Heel Plates on Muscle Activities During the Squat)

  • 채원식;정현경;장재익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3-12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plates($0^{\circ}$, $10^{\circ$}, $20^{\circ}$)under heels on the lower limb muscles and erector spinae during squat exercise. Ten high school korean traditional wrestling players(age: $18.5{\pm}0.7$, weight: $1972.2{\pm}128.5N$, height: $177.8{\pm}6.0cm$, weight of barbell: $1004.5{\pm}132.4N$) performed squat exercise using three different tilting plates under heels at a cadence of 40beats/sec with 80% one repetition maximum load. Surface electrodes were placed on the participants' left and right erector spinae, and rectus femoris, vastus medialis, vastus lateralis, tibialis anterior, biceps femoris, medial gastrocnemius, and lateral gastrocnemius in the right lower extremity. One S-VHS camcorder(Panasonic AG456, 60fields/s) was placed 10m to the side of the participant. To synchronize the video and EMG data, a synchronization unit was used for this study. Average and Peak IEMG values were determined for each participant. For each variable,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different tilting plates under heels. Whe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lates type, post hoc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Tukey procedure. A confidence level of p<.05 was used to deter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maximum nEMG values of the tibialis anterior in $0^{\circ}$ plat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values for the other plates during the knee extension. This increased activation in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indicates an increase in displacement of center of gravity of body. It is very likely that additional muscle activation are needed to stop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muscular activities of quadriceps femoris and erector spinae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angle of plates. This suggests that increasing angle of plate may help to sustain the balance and posture of squat exercise. It is considered that very few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ree different plates($0^{\circ}$, $10^{\circ}$, $20^{\circ}$) since elite players with much experience in squat exercise, were chosen as a participant of this study. In order to obtain meaningful results regarding the tilting angle of heel plates in squat exercise, kinetic and 3D kinematic analysis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study.

좌우 양팔의 근육 활성도 변화에 따른 EEG 출력 구분을 위한 CSP 필터의 적용 (Application of CSP Filter to Differentiate EEG Output with Variation of Muscle Activity in the Left and Right Arms)

  • 강병준;전부일;조현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654-660
    • /
    • 2020
  • 본 논문은 근육 동작시의 뇌파의 출력을 통해 불확실성이 상당히 존재하는 EEG 신호 안에서 좌우완 근육의 동작이나 사용자의 의지가 포함된 근육 신호 출력 시의 특정 부위 뇌파를 추출하여 좌우 동작 구분이 가능한 뇌파의 특징 벡터를 찾아낼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일반적인 표면 근전도와 비침습적인 방식의 뇌파 추출 방법으로는 내부 신경 전달에 의한 이온화 정도와 전기 전도도의 크기를 통해서 그 동작 신호인지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일반 로봇 제어 시스템이나 전기 신호를 통한 관절 및 모터 제어의 경우는 특정 신호의 전달 및 피드백 제어를 통해 관절 및 로봇 제어기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확인할 수 있지만, 인간의 인체는 정확한 뇌와 근육간의 프로토콜을 찾을 근거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피험자의 동작이 이루어질 경우의 뇌파 분석을 통해 좌완의 신호와 우완의 신호를 특정할 만한 근거 신호 또는 특징 벡터를 추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CSP(Common Spatial Pattern) 필터의 적용 결과 활용하여 효율성을 검증한다. 더불어 검증을 위한 실험 설계를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고, 필터 적용 유무에 따른 결과의 변화가 어떠한지 검증하며 구분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정상 성인에서 앉은 자세에 적용한 복부 드로우인 기법이 파악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bdominal Drawing-in Maneuver Aapplied to Sitting Position in Healthy Adult on Grip Power)

  • 김창숙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75-482
    • /
    • 2020
  • 허리 안정화 근육들을 강화하기 위해 실시하는 복부 드로우인 기법(ADIM)은 복부내압을 상승시켜 배가로근(TrA)과 배속빗근(IO)을 선택적으로 수축시키는 운동법이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자세인 앉은 자세에서 ADIM을 실시했을 때 파악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정상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앉은 자세에서 ADIM을 실시하도록 한 후 실시하지 않은 상태와 실시한 상태에서 각각 파악력을 측정하여 앉은 자세에서 실시한 ADIM이 파악력에 미친 영향과 가장 많은 영향을 발휘하는 근육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측정에 동원된 근육은 RA, EO, IO/TrA, 그리고 ES로 ADIM 적용 시 가장 활성화된다고 알려진 허리 안정화 근육들이다. 연구 결과 앉은 자세에서 실시한 ADIM이 실시하지 않은 자세 보다 모든 근육들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파악력 또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측정된 각 근육의 차이값을 비교해 어떤 근육이 파악력에 더 큰 영향을 알아보았으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근육은 보이지 않았다. 이는 특정 근육이 파악력에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라 복부내압의 증가가 파악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앉아서 오랜 시간 생활하는 일반인들의 일상생활에 파악력 증가와 허리 안정성 향상을 위한 치료적 중재방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할 수 있겠다.

베개 높이에 따른 SCM과 Upper trapezius의 근 두께, 근 긴장도, 근 활성화 측정비교 (Comparison of Thickness, Tension, and Activation of the Scm and Upper Trapezius Muscles According To The Pillow Height)

  • 김은미;박민지;유은정;이동엽;홍지헌;유재호;김진섭;남연교;김성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3-60
    • /
    • 2024
  • PURPOSE: The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pillow height on upper trapezius and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activity and overall human body comfort to determine the optimal pillow height. METHODS: The study included 32 healthy college students, of both genders, who provided prior consent. It examined three pillow heights (flat, 6cm, 12cm) and measured the upper trapezius and SCM muscles using ultrasonography, myotone, and electromyography(EMG). Muscle activation, thickness, and fatigue were assessed. RESULTS: The stud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thickness and muscle tone based on the pillow heights (flat, 6cm, and 12cm) with a p < .05. The SCM and upper trapezius muscles were thinnest at a pillow height of 6cm. Muscle tone in the SCM was lower at both 6cm and 12cm pillow heights. Post-hoc measurem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SCM and upper trapezius muscles thickness at the 6cm pillow height (p < .05).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tone were observed only in the SCM, particularly between the 6cm and 12cm pillow heights. CONCLUSION: The ultrasonography and myotone measurem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thickness and muscle tension, both of which were above 6cm,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muscle activation. Based on the strong correlation between muscle tension and muscle thickness with pillow height,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human body feels comfortable with a 6cm pillow height.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use a pillow height of 6cm when lying in a supine position.

네발기기 자세에서 푸시업 동작 시 다리 들기에 따른 앞톱니근, 어깨세모근, 위팔세갈래근의 근 활성도 비교 (Compare the Muscle Activity of Serratus Anterior, Deltoid and Triceps Brachii when Push Up with Leg Lifting in the Crawling Position)

  • 배세운;구소연;김희정;나원규;박미정;박정훈;박현민;신애경;신선미;이연욱;이정은;이재훈;정지민;최유완;장상훈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8-14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fluence the muscle strength of an serratus anterior, deltoid and triceps brachii depending on the left or right leg lifting during push up in the crawling position.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20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Subjects perform 10 Push-up holding the right-left leg lifting in the crawl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EMG sound that comes out every 3 seconds. Six muscles were measured in the right and left deltoid, triceps brachii and serratus anterior.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deltoid and triceps brachii activity in the lifted position compared to the unlifted position, but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serratus anterior. Conclusion: In the crawling position, push up with the leg lifting increas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serratus anterior Serratus anterior was higher than other muscle activity.

아급성 편마비환자의 어깨관절 Scapular Taping적용이 근 활성도와 통증, 관절가동범위 및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apular Taping on Muscle Activity, Pain, Range of Motion and Propriocep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이재남;임재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689-5697
    • /
    • 2013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아급성 편마비 환자의 견관절 거상 시 scapular taping 적용이 견갑골 상방 회전근과 전 삼각근의 근 활성도와 통증,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8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눠 테이핑 전과 후의 상승모근, 하승모근, 전거근 그리고 전 삼각근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견관절 관절가동범위와 통증, 고유수용성 감각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근 활성도는 하승모근과 전거근에서 scapular taping 적용 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관절가동범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그러나 통증과 고유수용성 감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 결과 견관절을 거상하는 동안 아급성편마비 환자들에게 적용한 scapular taping은 견갑골 상방회전근의 근 활성도를 증가시키고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키는데 부가적인 치료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상교합자와 3급 부정교합자에서 구륜근과 턱끝근의 활성과 안면골격 사이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CORRELATIONS BETWEEN ORBICULARIS ORIS AND MENTALIS MUSCLE ACTIVITY AND CRANIOFACIAL MORPHOLOGY IN NORMAL OCCLUSION AND CLASS III MALOCCLUSION)

  • 장춘실;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53-271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EMG activity of the Orbicularis oris and Mentalis muscle between normal occlusion and class III malocclusion group during various lip position and to find out whether any correlations exist between the muscular activity and craniofacial morphology. In this study, 50 subjects with a mean age of 22.9 Years (range 20.0-26.0) were investigated (25 subjects were normal occlusion, and 25 subjects were class III malocclusion). EMG data were recorded from the Orbicularis oris and Mentalis muscle during rest lip posture, lip position at maximum biting, lip position at maximum sealing effort, lip position at chewing, swallowing and phonation with the Medelec MS-25 electromyographic machine.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as taken with the mandible in intercuspal position on all subjects. All data were record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1. In normal occlusion, the maximal mean amplitude of upper lip during the lip position at chewing was lower than that of lower lip and mentalis muscle. But the maximal mean amplitude of orbicularis oris and mentalis muscle during the other lip position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2. In Class III malocclusion, the maximal mean amplitude of upper lip during the lip position at chewing, swallowing and phonation was lower than that of lower lip and mentalis muscle. But the maximal mean amplitude of orbicularis oris and mentalis muscle during the other lip position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3. Compare to normal occlusion, the Class III malocclusion was showed low maximal mean amplitude of upper lip during rest lip posture and the lip position at swallowing of saliva, and showed great maximal mean amplitude of lower lip and meantalis muscle during the lip position at chewing and phonation. 4. In normal occlusion, the maximal mean amplitude of upper lip during various lip position was not correlated with the length and thickness of upper lip, but the maximal mean amplitude of lower lip during the lip position at chewing and swallow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hickness of lower lip. 5. In Class III malocclusion, the maximal mean amplitude of upper lip during rest lip postu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hickness of upper lip, and the maximal mean amplitude of lower lip and mentalis muscle during the lip position at chewing and swallow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hickness of lower lip and mentalis muscle. But the maximal mean amplitude of orbicularis oris and mentalis muscle during the other lip position was not correlated with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of soft tissue. 6.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ximal mean amplitude of orbicularis oris and mentalis muscle and cephalometric measurements of incisors was not nearly present. 7. In normal occlusion, the maximal mean amplitude of lower lip and mentalis muscle during the lip position at maximum bit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ngle between palatal plane and mandibular plane. In Class III malocclusion, the maximal mean amplitude of upper lip, lower lip and mentalis muscle during fun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ength of maxilla, the maximal mean amplitude of upper lip and lower lip during fun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NA and SNPo, and the maximal mean amplitude of lower lip during the lip position at chew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NB.

  • PDF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에 있어서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과 체위에 따른 상기도 구조와 근활성도의 변화에 관한 EMG 및 두부방사선학적 연구 (EMG AND CEPHALOMETRIC STUDY ON CHANCES IN UPPER AIRWAY STRUCTURES AND MUSCL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USE OF MANDIBULAR REPOSITIONING APPLIANCE AND BODY POSTURE IN OSA PATIENTS)

  • 박영철;배응권;이정권;이종석;김태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47-561
    • /
    • 1998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이하 OSA로 표시)은 수면 도중 계속 반복 되어 일어나는 상기도 폐쇄로 인하여 무호흡증을 나타내는 장애(disorder)이다. 근래의 연구에 의하면 상기도 구조의 해부학적 요인뿐 아니라 생리적 요인도 무호흡 발생에 기여한다고 하였으며 또한 이설근이 상기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OSA의 치료를 위해 다양한 술식이 시행되었으며 하악 재위치 장치를 통한 치료 역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그러나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에 따른 구조적 생리적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저자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OSA 환자 26명 (남 17명 여 9명)과 일반 정상 성인 20명 (남 10명 여 10명)을 대상으로 앙와위에서 장치 장착 전후의 두부방사선사진을 채득하여 장치에 따른 상기도의 구조 변화를 연구하고 두군 사이의 장치 장착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또한OSA환자 14명(남 10명 여 4명)을 대상으로 체위 변화와 장치장착에 따른 이설근 근전도 변화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기도 구조에 대한 두부계측학적 측정치 중 연구개의 길이, 연구개 최대 두께와 SPAS, MAS, VAL, H-H1, MP-H 에서 정상군과 OSA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으며, IAS와 EAS는 두 군간에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2. 정상군과 OSA군 모두에서 장치 장착에 따라 후두개가 전방 이동하면서 후두개 수준(epiglottis level)의 기도 폭경은 증가하였고 연구개의 최대 두께가 변하였으며 설골은 전방 이동하였으나 두 군 모두 IAS에서는 다양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장치 장착에 따른 상기도 구조에 대한 효과는 두 군 사이에 서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3. 체위 변화에 따라 앙와위에서 이설근 근전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며, 직립위와 앙와위 모두에서 하악 재위치 장치 장착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이설근 근전도가 증가하였다. 하악 재위치 장치는 상기도의 해부학적 구조뿐 아니라 상기도 생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장치에 대한 반응은 정상군과 OSA군 사이에 차이를 나타내었고, 두 군은 상기도 생리에 있어서도 서로 다르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