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G, %body fa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근전도, 초음파와 DITI를 이용한 전기자극의 성인여성 복부비만 개선 효과 관찰 (The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Abdominal Obesity Improvement of Adult Women by EMG, Ultrasound and DITI)

  • 이현주;태기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1051-1058
    • /
    • 201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effect of obesity by treatment with a developed low frequency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Thirty female in their 20's as an experiment subjects divided 3 groups(control, commercialized device, developed device) were treated with electrical stimulation on abdomen for 4 weeks. The body weight, body mass index(BMI), waist-hip ratio(WHR), muscle strength, muscle(transverse abdominis(TrA), internal obliquus abdominis(IO), external obliquus abdominis(EO)), fat thickness and abdominal surface temperature were measured by electromyogram(EMG), ultrasound and digital infrared thermal image(DITI). In the result, the body weight and BMI were decreased. Subcutaneous abdominal fat were significantly reduced after 4 weeks. The muscle strength and TrA muscle thickness was increased 13.2%(p<0.05), and 35.5%, respectively. The fat thickness showed decrease in abdomen (p<0.05). Infrared measurement on abdominal surface temperature as a parameter of improvement in blood circul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5). Therefore, the low frequency stimulation showed positive effects on parameters of the obesity improvement.

불균형 신체발달 스쿼시 선수들의 교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A Developmental Study of an Alignment Program for the Asymmetrically Developed Squash Players)

  • 김승권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23-429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body alignment correction program on asymmetrically developed squash players. Method : 30 experienced squash players who showed asymmetric body development, after evaluation of moire topography contour line shape, were involved in the experiment. All of them were right-handed and had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playing squash. Variables of body composition, moire topography and EMG were statistically compared between pre- and post- application of the 12-week body alignment correction program. The program consisted of 10-minute, left-handed forehand and backhand drive movements and 36 minutes performing 12 different yoga postures. Results : First, the body alignment correction program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otal weight, body fat percentage, and body mass index of the participants. Second, a decrease of right side inclined angles and an increase of left side inclined angles might result in a higher left-right symmetry rate and a better left-right balance; however the data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EMG left-right deviation of erector spinae and latissimus decreased and the erector spinae muscle was thought to be more essential for vertebral movement and left-right asymmetry correction. Conclusion : A body alignment correction program, including yoga and opposite side exercises, could reduce left-right asymmetry.

전기근육자극 훈련이 복부비만 중년 여성의 복부지방, 체간 근 두께와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Training on Abdominal Fat, Trunk Muscle Thickness and Activity in Middle-Aged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 유승아;유기웅;임창하;김창용;김형동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5-135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ow frequency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training on abdominal obesity in middle-aged women through electromyography and ultrasound. METHODS: Twenty-two middle aged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A low-frequency NMES device was used on the abdomen and waist of each subject for 20 minutes each (a total of 40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The waist-hip ratio (WHR), weight and BMI (Body Mass Index) were measured. Electromyography (EMG) and ultrasoun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hree times in total (pre-intervention, four weeks into the intervention, and eight weeks post-intervention) to examine the effects of low-frequency NMES on the abdominal muscle activity, muscle thickness, and subcutaneous fat.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a difference in the WHR and waist circumferenc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p<.05). The external oblique muscle (EO)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muscle activity during all measurements taken post-intervention (p<.05). The abdominal subcutaneous fat thickness also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between each measurement (p<.05).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abdominal subcutaneous fat thickness values taken eight weeks post-interven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taken pre-intervention and four weeks into the intervention (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 that low-frequency NMES device training can be applied to middle-aged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to improve their body shape and exercise performance.

무릎인공관절 단축범위(Single-Radius) 수술자와 다축범위(Multi-Radius) 수술자의 운동역 학적 및 운동생리학적 비교분석 (Biomechanical and Physiologic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ingle-Radius Knee Arthroplasty Systems and Multi-Radius Knee Arthroplasty Systems)

  • 진영완;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532-1537
    • /
    • 2008
  • 무릎인공관절 단축범위 수술자와 다축범위 수술자를 대상으로 영상분석과 근전도 분석 그리고 운동생리학적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 계단 오르기와 내리기 동안 소요시간은 대상자들 간에 통계적으로 큰 차이(p=0.380, p=0.171)는 없었지만 평균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단 축범위 수술자가 다축범위 수술자보다 오르기와 내리기에서 평균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 계단 오르기 동안 고관절의 각속도, 무릎의 각속도, 발목의 각속도는 세 관절 모두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p=0.078, p=0.095, p=0.069)는 없었지만 평균의 비교에서는 단축관절 수술자가 다축관절 수술자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한 계단 오르기 동안 관절의 최대 토크는 통계적으로 차이(p=0.052, p=0.096, p=0.134)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평균의 비교에서는 단축관절 수술자가 다축관절의 수술자보다 각관절의 토큐가 모두 크게 나타났다. 굴곡과 신전으로만 움직이게 단축으로 제작된 인공관절에서는 볼 수 없는 변인으로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계단 오르기와 내리기 동안 외전과 내전이 일어나는 각도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p=0.103) 계단 오르기 동작 ($6.2^{\circ},\;7.8^{\circ}$)이 내리기 동작($5.8^{\circ},6.4^{\circ}$)보다 약간 크게 나타났다. 다축범위 수술자와 단축범위 수술자의 등장성 수축 시 하지의 근육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15^{\circ}-75^{\circ}$ 사이의 무릎을 펴는 동안 VM, VL, RF, BF, ST의 근육들의 EMG값을 비교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가 나타났다. Table 5에서 보면 다축범위 수술자와 단축범위 수술자간에 대퇴사두근과 무릎오금근에서 유의한 차이(p<0.05, p<0.01)를 나타내고 있다. 무릎을 펴는 등장성 수축 동작에서 VM EMG값은 단축범위 수술자가 다축범위 수술자보다 $31^{\circ}-45^{\circ}$ 그리고 $61^{\circ}-75^{\circ}$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BF EMG값은 모든 구간에서 단축범위 수술자가 다축범위 수술자보다 크게 나타났다. 서로 다른 4그룹에서 운동 강도별 피험자의 체지방율의 변화는 젊은 일반군(C), 노인군(E), 단축범위 수술자(S), 다축범위 수술자(M) 에서 운동시기별 측정값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C 그룹에서 시기별 체지방률이 감소하였고, 고강도 운동인 HI 시기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E, S 및 M 그룹에서는 시기별 감소하는 경향은 있었으나, 증가된 곳도 있고 HI 시기에서는 모든 그룹에서 감소하였다. 하지만 모든 시기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서로 다른 4그룹에서 운동강도별 피험자의 안정시대사량의 변화는 그룹별 용이한 비교를 위하여 체표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표기하였다. C 그룹에서 시기별 안정 시 대사량 값이 증가하여 저강도 운동 후 가장높은 값을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p<0.05). 서로 다른 4그룹에서 운동 강도별 피험자의 평균에너지 지출량의 변화는 운동 중과 운동 후 30분간의 에너지 지출량의 평균값을 나타낸 것으로 시기별 C 그룹에 대하여 다른 그룹을 비교 하였다. 우선 고강도 운동 시 C 그룹에 비해 E, S, M 그룹에서 낮은 에너지 소비량 값을 보였고, 모든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p<0.05).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저 강도 운동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이며 나타났는데, 저강도 운동 시 평균 에너지 지출량은 C그룹에 비하여 E, S, M 그룹에서 낮은 에너지 소비량 값을 보였다. 무릎인공관절 단축범위 수술자와 다축범위 수술자를 대상으로 운동역학적인 변인과 운동생리학적 변인을 동시에 병행하여 연구를 시도한 결과 우선 실험상의 어려움들이 많이 나타났다. 현재는 인공관절 수술이 두 종류의 형태뿐만 아니라 재료가 다른 여러 종류의 인공관절도 제작되고 있다. 계속적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