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iomechanical and Physiologic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ingle-Radius Knee Arthroplasty Systems and Multi-Radius Knee Arthroplasty Systems

무릎인공관절 단축범위(Single-Radius) 수술자와 다축범위(Multi-Radius) 수술자의 운동역 학적 및 운동생리학적 비교분석

  • Jin, Young-Wan (Department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Dong-Eui University) ;
  • Kwak, Yi-Sub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Dong-Eui University)
  • 진영완 (동의대학교 특수체육학과) ;
  • 곽이섭 (동의대학교 체육학과)
  • Published : 2008.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arthroplasty designs on knee kinematic and lower limb muscular activation for up-stair and down-stair movement. 3-D video analysis of whole body and joint kinematics and EMG analysis of quadriceps and hamstrings were conducted. One-way ANOVA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p=0.05). The single-radius group exhibited more arthroplasty limb quadriceps EMG and hamstring coactivation EMG than the multi-radius group. Single-radius demonstrated more abduction angular displacement and reached peak abduction earlier than the multi-radius arthroplasty limb. The single- radius the percent body fat showed similar values in the Elderly, Single and Multi-radius group among the periods, however Control group was Lowered among the periods. Single-radius group limb also increased the quadriceps muscle activation level to produce more knee extension moment to compensate for the short quadriceps moment arm. Resting metabolic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trol group in the period of LI. Energy expenditure was extremely increased in all groups except control group among the periods. We can say this is the exercise effects.

무릎인공관절 단축범위 수술자와 다축범위 수술자를 대상으로 영상분석과 근전도 분석 그리고 운동생리학적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 계단 오르기와 내리기 동안 소요시간은 대상자들 간에 통계적으로 큰 차이(p=0.380, p=0.171)는 없었지만 평균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단 축범위 수술자가 다축범위 수술자보다 오르기와 내리기에서 평균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 계단 오르기 동안 고관절의 각속도, 무릎의 각속도, 발목의 각속도는 세 관절 모두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p=0.078, p=0.095, p=0.069)는 없었지만 평균의 비교에서는 단축관절 수술자가 다축관절 수술자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한 계단 오르기 동안 관절의 최대 토크는 통계적으로 차이(p=0.052, p=0.096, p=0.134)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평균의 비교에서는 단축관절 수술자가 다축관절의 수술자보다 각관절의 토큐가 모두 크게 나타났다. 굴곡과 신전으로만 움직이게 단축으로 제작된 인공관절에서는 볼 수 없는 변인으로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계단 오르기와 내리기 동안 외전과 내전이 일어나는 각도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p=0.103) 계단 오르기 동작 ($6.2^{\circ},\;7.8^{\circ}$)이 내리기 동작($5.8^{\circ},6.4^{\circ}$)보다 약간 크게 나타났다. 다축범위 수술자와 단축범위 수술자의 등장성 수축 시 하지의 근육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15^{\circ}-75^{\circ}$ 사이의 무릎을 펴는 동안 VM, VL, RF, BF, ST의 근육들의 EMG값을 비교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가 나타났다. Table 5에서 보면 다축범위 수술자와 단축범위 수술자간에 대퇴사두근과 무릎오금근에서 유의한 차이(p<0.05, p<0.01)를 나타내고 있다. 무릎을 펴는 등장성 수축 동작에서 VM EMG값은 단축범위 수술자가 다축범위 수술자보다 $31^{\circ}-45^{\circ}$ 그리고 $61^{\circ}-75^{\circ}$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BF EMG값은 모든 구간에서 단축범위 수술자가 다축범위 수술자보다 크게 나타났다. 서로 다른 4그룹에서 운동 강도별 피험자의 체지방율의 변화는 젊은 일반군(C), 노인군(E), 단축범위 수술자(S), 다축범위 수술자(M) 에서 운동시기별 측정값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C 그룹에서 시기별 체지방률이 감소하였고, 고강도 운동인 HI 시기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E, S 및 M 그룹에서는 시기별 감소하는 경향은 있었으나, 증가된 곳도 있고 HI 시기에서는 모든 그룹에서 감소하였다. 하지만 모든 시기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서로 다른 4그룹에서 운동강도별 피험자의 안정시대사량의 변화는 그룹별 용이한 비교를 위하여 체표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표기하였다. C 그룹에서 시기별 안정 시 대사량 값이 증가하여 저강도 운동 후 가장높은 값을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p<0.05). 서로 다른 4그룹에서 운동 강도별 피험자의 평균에너지 지출량의 변화는 운동 중과 운동 후 30분간의 에너지 지출량의 평균값을 나타낸 것으로 시기별 C 그룹에 대하여 다른 그룹을 비교 하였다. 우선 고강도 운동 시 C 그룹에 비해 E, S, M 그룹에서 낮은 에너지 소비량 값을 보였고, 모든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p<0.05).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저 강도 운동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이며 나타났는데, 저강도 운동 시 평균 에너지 지출량은 C그룹에 비하여 E, S, M 그룹에서 낮은 에너지 소비량 값을 보였다. 무릎인공관절 단축범위 수술자와 다축범위 수술자를 대상으로 운동역학적인 변인과 운동생리학적 변인을 동시에 병행하여 연구를 시도한 결과 우선 실험상의 어려움들이 많이 나타났다. 현재는 인공관절 수술이 두 종류의 형태뿐만 아니라 재료가 다른 여러 종류의 인공관절도 제작되고 있다. 계속적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Felter, M. E. and J. Dapena. 1989. Three-Dimensional interactions in a two-segment kinetic chain. Part II: Application to the throwing arm in baseball pit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5, 403-419. https://doi.org/10.1123/ijsb.5.4.403
  2. Gunston, F. H. 1971. Polycentric knee arthroplasty. Prosthetic simulation of normal knee movement. J. Bone Joint Surg. Br. 53, 272-277.
  3. Hoshino, A. 1997. A influence of design on the range of motio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In Niwa, S., S. Yoshino, M. Kurosaka, K. Shina and S. Yamamoto (eds.), pp. 324-329, Reconstruction of the Knee Joint. Spring-Verlag, Tokyo, Hong Kong.
  4. Jin, Y. W. and Y. S. Kwak. 2004. Strength Evalution of Single-Radius Total Knee Replacement (TKR). Journal of life science 14, 484-489. https://doi.org/10.5352/JLS.2004.14.3.484
  5. Mahoney, O. M. 1999. Posterior cruciate function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ry. Journal of Arthroplasty 9, 569-578. https://doi.org/10.1016/0883-5403(94)90110-4
  6. Mahoney, O. M. 2002. Laboratory demonstration of mechanical and functional advantages of single-radius TKA Design. Proceeding of 69th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meeting. 3, 442.
  7. Riley, L. H. 1983. History and Evaluation of total Knee Replacement. Baltimore, MD,Williams & Wilkins. 1-4.
  8. Sharkey, F. P., J. R. Danoff, G. R. Klein and J. Parvizi. 2007. Surgeon energy expenditure during total joint arthroplasty. J. Arthroplasty 22, 210-212. https://doi.org/10.1016/j.arth.2006.08.002
  9. Wang, H., K. J. Simpson, M. Ferrara, S. Chamnongkich, S. Casto, T. L. Kinsey and O. M. Mahoney. 2001. Biomechanical differences exhibited during sit-to-stand between total knee arthroplasty designs of varying radii. XVIIIth Congress of International Society of Biomechanics 309-310.
  10. Wang, H., K. J. Simpson, S. Chamnongkich, T. L. Kinsey and O. M. Mahoney. 2005. A biomechanical comparison between the single-axis and multi-axis total knee arthroplasty systems for the stand-to-sit movement. J. Clinical Biomechanics 20, 428-433. https://doi.org/10.1016/j.clinbiomech.2004.12.003
  11. Westman, B., L. Weidenhielm, O. Rooyackers, K, Fredricsson, J. Wernerman and F. Hammarqvist. 2007. Knee replacement surgery as a human clinical model of the effects of ischaemia/reperfusion upon skeletal muscle. Clin. Sci. 113, 313-318. https://doi.org/10.1042/CS2007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