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ERE of DOE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f Impact evaluation method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program evaluation (국내 신재생에너지 정책평가를 위한 Impact evaluation 방법론 연구)

  • Lee, Dong-Geon;Kim, Yeon-Ba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297-297
    • /
    • 2009
  • EERE(Energy Efficiency and Renewable Energy)는 미국 DOE(Department of Energy)의 산하기관으로 에너지 효율화와 신재생에너지 정책 전반의 기획 및 프로그램 평가를 담당하고 있다. EERE에서 수행하는 평가 Tool중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은 General program evaluation(프로그램 일반 평가)인데 여기서는 크게 다섯 가지의 세부 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중 Impact evaluation은 기술 확산이론(diffusion of innovations)를 이론적 토대로 하고 있는 보급 및 R&D프로그램의 평가 방법론이다. 이는 프로그램 성과를 높은 수준으로 정량화 시킬 수 있으며 특히 외부효과들을 제외한 순수한 프로그램의 결과만을 도출하는 것을 평가의 목표로 하고 있어 실제 성과분석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 다. Impact evaluation의 시행은 Impact evaluation framework라 불리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실시되는데 이것은 체계적인 평가를 돕고 평가 전반의 신뢰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Impact evaluation 방법론을 심도 있게 고찰하고 이를 통해 국내 신재생에너지 정책평가로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PDF

Adaptability of Process Evaluation in New and Renewable Energy Dissemination Program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평가에 있어 Process evaluation 적용 가능성 고찰)

  • Kim, Ji-Hyo;Park, Joo-Young;Heo, Eun-Ny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302-302
    • /
    • 2009
  • 미국 DOE(Department of energy) 산하 EERE(the office of energy efficiency and renewable energy)에서는 시행되고 있는 일반 프로그램 평가(General Program Evaluation) 중 하나인 과정 평가(Process Evaluation)는 프로그램의 수행의 효율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다. EERE에서는 프로그램 별로 매 2~3년에 한번, 프로그램의 진행에 장애요인을 시행하기 위해 부정기적으로 과정평가를 수행하여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을 개선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과정평가의 방법론으로는 사례연구(case study),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메타평가(meta evaluation), 델파이분석(delphi-analysis), 외부 동료평가(peer review) 등의 방법론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EERE는 "Peer Review Guide(2004)"을 발간하여 과정평가에서 있어 외부 동료평가의 방법론을 정리하였다. 과정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수행결과의 중간점검과 동시에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하 전문가의 제언을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과정평가의 결과는 프로그램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장기 과제인 경우 프로그램 관리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사업 수행 시 '진도보고'나 '중간결과 발표' 등을 통하여 동일한 내용의 평가를 시행하고 있으나, 평가의 항목.시기.예산 등에 대한 지침(guideline)이 구축되었다고 볼 수 없는 상황이다.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은 국가적인 중요도, 투입예산의 규모 및 수행기간 등을 고려할 때 과정평가를 통해 정기적으로 사업의 진행과정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사업의 관리에 적용될 수 있는 EERE의 과정평가를 한국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고 이를 정규적으로 시행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하겠다.

  • PDF

A study on new and renewable energy program evaluation framework through the analysis of U.S. EERE (미국 EERE(Energy Efficiency & Renewable Energy)평가 시스템 분석을 통한 국내 신.재생에너지 프로그램 평가방안 연구)

  • Lee, Dong-Geon;Kim, Yeon-Ba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285-288
    • /
    • 2009
  • 정부는 최근 그린홈 100만호 사업을 중심으로 각종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향상을 도모하는 많은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현재 약 12개의 신재생 에너지 보급지원 프로그램과 R&D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신재생에너지 정책 및 프로그램은 차후 개선 및 체계적인 운영을 위한 조직적인 프로그램 평가 체계를 갖추고 있지 않으며 평가 기관이나 평가 주기 등 평가에 필요한 기본적인 합의와 법제적 배경 역시 미비한 상황으로 신재생에너지 프로그램의 평가 제반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DOE(Department of Energy)산하 EERE(Energy Efficiency & Renewable Energy)의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평가체계를 분석하여 EERE 프로그램 평가 방법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EERE는 미국의 에너지 효율화 및 신재생에너지 전담 사무국으로 10개의 에너지효율화 및 신재생에너지 연방정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Strategic Management system을 통해 효율적인 프로그램 관리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General program evaluation Guideline에서는 표준화된 세부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여 정례적 혹은 일회적 평가를 시행하고 있는데 이 세부 평가 방법들은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프로그램의 존속 및 개선여부를 결정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고 있어 차후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프로그램의 정성적/정량적인 평가를 시행하는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eer Review of Renewable Energy Dissemination Program (외부 동료평가를 적용한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의 성과분석 연구)

  • Park, Joo-Young;Kim, Ji-Hyo;Heo, Eun-Ny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281-284
    • /
    • 2009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의 현재까지의 성과를 분석하고, 장애요인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보급정책의 하위 프로그램들의 정성적 평가를 위하여 미국 DOE(Department of Energy) 산하 EERE(Energy Efficiency and Renewable Energy)에서 제시하고 있는 Peer Review Guide(2004)를 따라 외부동료평가(Peer Review)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미국 EERE에서 제시하고 있는 가이드를 한국에 곧바로 적용함에는 무리가 있기에, 하위프로그램들의 외부동료평가를 실시하기에 앞서서 외부동료평가 설문 평가속성 결정을 위해 전문가 설문을 한 차례 더 진행하였다. 첫 번째 전문가 설문에서는 투입요소의 적정성 (Quality), 생산성 (Productivity), 성취도 (Accomplishments), 연계성(Relevance), 관리 (Management), 전체적 평가 (Overall Assesment) 항목 중 어떠한 항목을 선택해야 하는지, 국문 번역이 적절한지 등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설문에서는 이렇게 해서 선정된 항목을 바탕으로 각 프로그램 별로 Peer Review Guide에서 제시한 외부동료평가를 시행할 예정이다.

  • PDF

Peer Review of Renewable Energy Dissemination Program (외부 동료평가를 적용한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의 성과분석 연구)

  • Park, Joo-Young;Kim, Ji-Hyo;Heo, Eun-Yeong
    • New & Renewable Energy
    • /
    • v.6 no.2
    • /
    • pp.40-48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renewable energy dissemination programs in Korea, using peer-review. Especially, we used the peer review method which was suggested to evaluate the renewable energy program in U.S. by EERE, DOE. Before we implemented the peer review, we modified this method suitable for evaluating the renewable energy dissemination programs in Korea by getting advice from expertise in renewable energy policy. From this procedure, we have verified six evaluation criteria as Quality, Productivity, Accomplishments, Relevance and Management. We interviewed renewable energy policy expertise and corporation to evaluate the programs against these criteria. The result shows that overall programs were performed more than average. In addition, both the policy expertise and corporation perceived that "oan Guarantee Program" and "ompulsory Installation of Renewable Energy Facility in Public building" fulfilled its role to a great extent. However, the respondents pointed out that all of the programs need to be improved on its management.

Case study on Economic development impacts of Community wind projects usin Impact evaluation (Impact evaluation을 이용한 미국 주택용 풍력보급 정책 평가 사례분석 및 시사점)

  • Moon, Chang-Kwon;Kim, Yeon-Ba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299-299
    • /
    • 2009
  • Impact evaluation은 현재 시행중이거나 과거에 시행된 프로그램이 국가나 평가대상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평가 방법으로 경제적 상황이나 시장 트렌드와 같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효과를 제거하고 순수하게 프로그램만의 영향력을 산출한다. 이 방법은 원래 미국의 DOE(Department Of Energy)산하 EERE(Energy Efficiency and Renewable Energy)에서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 사용하는 General Program Evaluation Guide에서 언급된 5가지 평가방법 중 하나로 미국의 신재생에너지 프로그램 평가에 주로 사용된다. 이를 한국에 적용하기 위해 미국의 주택용 풍력보급 사업을 평가한 보고서인 Economic Development Impacts of Community wind Projects: A Review and Empirical Evaluation 을 분석 했다. 이 보고서에서는 I/O model을 이용해 직접적 영향력, 간접적 영향력, 유도된 영향력을 구했으며 이를 기존의 평가 보고서와 비교해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Evaluation of renewable energy deployment program using outcome evaluation method and its implication (Outcome evaluation method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보급보조사업의 평가결과 및 시사점)

  • Moon, Chang-Kwon;Heo, Eun-Ny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300-300
    • /
    • 2009
  • Outcome Evaluation은 미국의 DOE(Department Of Energy)산하 EERE(Energy Efficiency and Renewable Energy)에서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 사용하는 General Program Evaluation Guide에서 언급된 5가지 평가방법 중 하나로 프로그램의 결과를 측정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는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일정한 기간이 지난 뒤 프로그램의 목적을 달성함으로써 얻어지는 결과를 추산하여 그 기간 동안 프로그램이 의도했던 목적을 위해 얼마나 잘 수행되었는지를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Outcome Evaluation을 이용하여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현재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은 크게 보급지원제도와 기반조성사업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보급지원제도에 중점을 두어 평가를 진행하였다. General Program Evaluation Guide에 따르면 Outcome Evaluation의 방법론은 engineering estimation에서 survival analysis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론을 제시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Tabulation과 Correlation을 주로 활용하였다. 먼저 평가의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과 시기를 정하고 평가지표를 산정한 뒤 위와 같은 방법론을 활용해 평가를 진행했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Outcome Analysis on Renewable Energy Dissemination Program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Effectiveness Indicator (상관관계분석, 설비투입액 비교 및 효율성 지표를 통한 신재생에너지보급사업의 정량적 성과분석 고찰)

  • Lee, Dong-Geon;Moon, Chang-Kwon;Heo, Eunn-Yeong
    • New & Renewable Energy
    • /
    • v.6 no.2
    • /
    • pp.33-39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basis for the evaluation on the renewable energy dissemination program in Korea applying the outcome evaluation, one of the five types of evaluation methods of EERE, DOE, and the effectiveness indicator, which is suggested by IEA, OECD. The outcome evaluation quantifies achievements of program outputs and outcomes against planned time frame. We analyz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umulative expenditure on the renewable energy dissemination program and each renewable energy deployment and the unit installation cost of several dissemination programs for the outcome evaluation. Meanwhile, the effectiveness indicator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additional renewable energy deployment achieved in a given year by the remaining mid-term realizable potential to 2020 in each source of renewable energy. The results show that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umulative expenditure and each renewable energy deployment are significantly positive during the implementation period of each deployment program. And photovoltaic energy, bio energy, and wind power energy show high effectiveness indic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