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G performance status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6초

말기암 환자의 악성 장 폐색 (Malignant Bowel Obstruct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 문도호;최화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7권2호
    • /
    • pp.214-220
    • /
    • 2004
  • 목적: 말기암 환자의 장 폐색은 예후가 비교적 나쁘다. 의사들도 삶의 질 측면에서 완화적인 시술이나 수술을 고려하고 있으나 결정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말기암 환자의 장 폐색 진단 후 임상적 특징, 완화적 시술이나 수술을 받았던 환자에서 생존 기간과 예후 인자를 조사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4년 5월까지 본원을 방문한 말기암 환자로 장 폐색 진단을 받았던 40명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남자가 21명(53%), 여자가 19명(47%)였고 나이의 중간값은 $64.1{\pm}1.58$세였다. 장 폐색의 가장 많은 원인은 대장직장암이 18명(45%)이였으며 위암 11명(28%), 췌장암 4명(10%), 기타 7명(19%) 순이였다. 장 폐색 진단 시 가장 많은 전이는 복막전이가 14명(35%) 가장 많았고 다음이 간 전이가 13명(33%)였다. 폐색 시 증상은 구토가 15명(38%)로 가장 많았고 복부통증 10명(25%), 변비 6명(15%), 복부 팽만 5명(13%) 이였다. 일상수행능력(ECOG)은 3점이 20명(50%0, 2점 16명(40%), 4점(10%)였다. 완화적 시술이나 수술을 받았던 군이 30명이였고 받지 않았던 군이 10명이였다. 완화적 시술이나 수술을 받았던 군에서 치료를 받았던 시점에서 중간생존기간은 142일로 받지 않았던 군의 장 폐색 진단시부터 중간생존기간 30일에 비하여 유의하게 중간 생존기간이 길었다. 예후 인자로는 생활수행능력상태 2점과 하부 장 폐색과 대장암에 의해서 폐색이 있는 경우에 유의하게 생존기간이 길었다. 결론: 말기암 환자의 장 폐색은 적응증이 될 경우에 적극적인 완화적 시술이나 수술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II 기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Cisplatin-방사선동시병합요법의 효과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in Stage III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인아;최일봉;강기문;장지영;송정섭;이선희;곽문섭;신경섭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27-36
    • /
    • 1997
  • 목적 : 국소진행된 III기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방사선감작제로서의 저용량 Cisplatin과 방사선 동시병합요법의 효과를 알아보고자하여, 관해율, 전체생존율, 무병생존율 및 치료에 따른 부작용을 방사선 단독치료군과 후향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4월부터 1994년 3월까지 32명의 III기 비세포성 폐암환자(IIIa 12명, IIIb 19명)가 항암제 및 방사선동시병합요법을 받았다. 방사선치료는 3000cZGy/10회를 2주간에 걸쳐 시행한 뒤 3주후에 2500cGy/10회를 추가하였으며, 방사선감작제로 ciplatin $6mg/m^2$를 매일 방사선치료 전에 정맥주사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13개월에서 48개월로 중간값은 24개월이었다. 방사선치료 전에 정맥주사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은 13개월에서 48개워로 중간값은 24개월이었다. 방사선단독치료군 32명(IIIa 13명, IIIb 19명)은 매일 170-200cGy씩 총 5580-7000cGy (중간값 5960cGy) 치료받았으며, 추적관찰기간은 36개월에서 105개월로 중간값은 62개월이었다. 결과 : cisplatin-방사선동시요법군이 방사선 단독치료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완전반응률 (18.8% vs. 5.6% 및 낮은 조사야내 재발율(25% vs. 47%을 나타내었다. 2년 전체생존율은 Cisplatin-방사선동시요법군이 17%, 방사선단독치료군이 9.4%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국소재발 없는 2년 무병생존율(16.5% vs. 5.3% 및 원격전이 없는 2년 무병생존율(17% vs. 4.6%도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Karnofsky performance scale 80 이상인 환자군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cispltin-방사선동시요법군이 방사선단독치료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2년 전체생존율을 보였다(62.5% vs. 15.6%. 전체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로 cisplatin-방사선동시요법군에 있어서 performance status 및 조직학적 진단유형(상피세포암 cs. 비상피세포암)으로 나타났고, 방사선단독치료군 (22% vs. 6%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Grade 2 이상의 혈액학적 독성은 Cisplatin-방사선동시요법군에 방사선단독치료군에 비해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25% vs. 15.6%. 방사선단독치료군에 비해 cisplatin-방사선동시요법군에서, RTOG/ECOG Grade 2 이상의 폐독성의 빈도(31% vs. 19%나 WHO Grade 3 이상의 폐섬유화의 빈도(38% vs. 25%의 유의한 증가는 관찰되지않았다. 방사선치료부위의 면적이 $200m^2$ 이상이었던 경우, 두군 모두에서 폐독성 빈도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결론 : cisplatin-방사선동시병합요법이 방사선단독치려ㅛ군에 비해 높은 국소제어율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생존율이나 무병생존율의 유의한 증가는 보이지 않았다. KPS 80이상인 환자군에 있어서는 cisplatin-방사선동시요법군이 방사선단독군에 비해 높은 전체생존율을 보였다.cisplatin-방사선동시병합요법군에서 급성부작용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방사선에 의한 폐독성의 유의한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cisplatin-방사선동시병합요법군이 방사선단독치료군에 비해 1년 이내에 조기사망율이 높은 반면, 2년이상 장기생존율이 높은 경향을 보여, 이러한 환자군에 대한 장기적인 추적조사를 통해 생존율에 대한 본 치료의 영향을 좀더 명확하게 평가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치료효과를 증가시키기위해 large fraction size의 split course RT 대신 continuous course의 conventional RT 혹은 hyperfractionated RT와 Cisplatin의 동시병합요법 등이 고려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말기 암 환자에서 호중구-림프구 비가 예후인자로서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Neutrophil-Lymphocyte Ratio as a Prognostic Factor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 조완제;황희진;이용제;손가현;오승민;이혜리;심재용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1권4호
    • /
    • pp.181-187
    • /
    • 2008
  • 목적: 말기 암 환자에게 있어서 정확한 여명 예측은 환자의 효율적인 치료 계획을 세우고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말기 암 환자에서 호중구-림프구 비가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예후 인자로서 유용한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6월까지 말기 암 환자로 완화 치료를 목적으로 영동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에 입원 혹은 전입되어 치료를 받는 중 사망한 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호중구-림프구 비에 따라서 3개의 군으로 나누어 과거 병력, 신체 계측, 임상 증상, 혈액검사 소견, 생존기간을 분석하였다. 결과: 호중구-림프구 비가 가장 높은 군(${\geq}12.5$)에서 환자의 생존기간이 단변량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으며(hazard ratio (HR)=3.270, P=0.001)), 저하된 활동도, 호흡 곤란 증상을 보정한 다변량 분석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HR=2.907, P=0.007). 완화 치료를 위해 입원 혹은 전입된 시점에 비하여 사망이 임박한 시점에서 호중구-림프구 비는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P=0.001). 결론: 호중구-림프구 비는 말기 암환자에서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독립적인 예후 인자로 확인 되었다.

  • PDF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ncologic Patients with DNR Decision at a Tertiary Hospital)

  • 강나영;박정윤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1호
    • /
    • pp.26-33
    • /
    • 2016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심폐소생술금지 지시에 동의한 시점에서 말기암환자의 임상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후향적 서술조사 연구이다. 방법: A 종합병원 종양내과에서 2013년 1월부터 12월까지 사망한 환자 중에서 DNR 지시에 동의한 197명을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조사 내용은 입원 당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임상적 특성, DNR 지시에 동의한 시점에서의 대상자의 상태를 활력징후, 의식상태, 시행 중인 치료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58.7세였고, 남자가 121명(61.4%)이었고, 소화기계 암환자가 94명(47.7%)으로 가장 많이 포함되었다. 대상자의 평균 재원기간은 19.61일이었고, DNR 지시에 동의서를 작성한 시점은 입원일로부터 평균 12.95일이었으며, 사망까지 이른 시간은 평균 6.66일이었다. DNR 동의시점에서 대상자의 66.0%가 호흡기계부전을 가지고 있었으며, 불안정한 활력징후를 147명(74.6%)에서 보였으며, 의식수준의 변화가 있는 91명(46.2%)에서 있었다. DNR 동의서 작성 당시 대상자의 의식 상태는 명료 53.8% (106명), 기면 20.8% (41명), 혼돈 16.8% (33명), 혼수 8.6% (17명)이었다. 결론: 대부분 DNR 결정과 관련된 설명이나 의사 결정 시기에서 환자의 의식수준, 활력증후, 산소포화도가 불안정한 상태였으며, 대부분 위중한 상태 또는 환자의 판단능력이 상실된 시점에서 이루어지면서 환자의 참여가 제한되었다. 말기암환자의 자율성 향상 및 적절한 치료 중단 시점을 규정하기 위한 제도적인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말기암환자에서 예후인자로서 혈청 Ferritin의 유용성 (Prognostic Value of Serum Ferritin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 이수희;최윤선;황인철;염창환;이준영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1호
    • /
    • pp.51-59
    • /
    • 2015
  • 목적: 말기암환자의 진료에 있어 여명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여러 악성 종양에서 혈청 ferritin이 증가되어 있고 높은 수치의 혈청 ferritin은 질병의 진행 및 나쁜 예후와 관련이 있다고 밝혀져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말기암환자에서 ferritin과 생존기간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혈청 ferritin이 여명 예측 인자로 유용한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2년 3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완화병동에 입원한 말기암환자 65명을 대상으로 혈청 ferritin을 포함한 기본적인 혈액검사를 시행하였고, 인구 통계학적 특성 및 임상증상 등을 조사하였다. 혈청 ferritin과 각 변수들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Wilcoxon Rank Sum test 또는Kruskal-Wallis test등을 실시하였고 혈청 ferritin의 예후인자로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변수 콕스 비례위험 회귀분석(multivariable 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결과: 상관 관계 분석 결과 ferritin은 생존기간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생존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성별, ECOG 기능상태 지수, 크레아티닌, 백혈구 수치와 나이의 효과를 보정한 상태에서 혈청 ferritin은 말기암환자들의 생존기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짧은 생존기간의 말기암환자에서도 혈청 ferritin은 독립적인 예후인자로 증명되었다. 기존의 여명 예측인자들과 더불어, 혈청 ferritin은 말기암환자들의 생존기간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Comparison of Efficacy and Toxicity of First Line Chemotherapy with or without Epirubicin for Patients with Advanced Stage Soft Tissue Sarcoma

  • Cao, Jie;Huang, Xin-En;Liu, Jin;Wu, Xue-Yan;Lu, Yan-Y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171-7177
    • /
    • 2013
  • Purpose: To compare the safety and efficacy of first-line chemotherapy regimen with or without doxorubicin in treating patients with advanced soft tissue sarcoma (STS). Patient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a cohort of 56 patients histologically confirmed with STS who were treated at Jiangsu Cancer Hospital and Research Institute from July 2011 to June 2012.The basic element of first line chemotherapy contained epirubicin in group B and lacked epirubicin in group A. Response was assessed using RECIST criteria. The Kaplan-Meier method was used to estimate progress free survival (PFS). Results: According to RECIST criteria, patients in group treated by chemotherapy without epirubicin, the objective response (OR) ratio was 6.5 % (CR0%+PR6.5%). Disease control rate (DCR=CR+PR+SD) was 25.8% with a median follow-up of 14.6 months, including 2 patients achieving a partial response (PR 6.5%) and a stable response (SD 19.4%) in 6. In group B with epirubicin based regimens, no patient had complete response, PR (28 %) was observed in 7 and SD (24 %) in 6. DCR was observed in 13 patients (52%). By Fisher's exact test, the DCR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46). In group A, median PFS was 3.0 months (95%CI:2.1-3.8), compared with 4.0 months (95% CI:3.03-4.97) in group B (p=0.0397 by log-rank test). Epirubicin based chemotherapy and ECOG performance status 0-1 were identified as favorable factors for progression in our cohort of patients. Differences of nonhematologic and hematologic toxiciti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addition of epirobicin was not associated with cardiac toxicity (p=0.446). Conclusion: Our study demonstrates that epirubicin-based chemotherapy is effective and well tolerated, and is superior to chemotherapy without epirubicin regarding efficac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epirubicin-based chemotherapy should be considered as first line for patients with advanced STS.

Second-Line Capecitabine and Oxaliplatin Combination for Gemcitabine-Resistant Advanced Pancreatic Cancer

  • Bayoglu, Ibrahim Vedat;Varol, Umut;Yildiz, Ibrahim;Muslu, Ugur;Alacacioglu, Ahmet;Kucukzeybek, Yuksel;Akyol, Murat;Demir, Lutfiye;Dirican, Ahmet;Cokmert, Suna;Yildiz, Yasar;Karabulut, Bulent;Uslu, Ruchan;Tarhan, Mustafa Oktay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7호
    • /
    • pp.7119-7123
    • /
    • 2014
  • Background: The role of second-line therapy in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is not clear.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second-line efficiency of capecitabine and oxaliplatin (XELOX) in patients with advanced pancreatic cancer who have received gemcitabine-based first-line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47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or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previously treated with gemcitabine-based first-line regimens. Treatment consisted of oxaliplatin $130mg/m^2$ and capecitabine $1000mg/m^2$ twice daily with a 3 week interval, until unacceptable toxicity or disease progression. Results: Median number of cycles was 4 (range, 2-10). The overall disease control rate was 38.3%. The median overall survival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from the start of second-line therapy were 23 weeks (95%CI: 16.6-29.5 weeks) and 12 weeks (95%CI: 9.8-14.4 weeks),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grade 3-4 toxicities were nausea, vomiting and hematologic side effects. Conclusions: Our result suggests that the combination of capecitabine and oxaliplatin was tolerated with manageable toxicity and showed encouraging activity as second-line treatment of advanced or metastatic pancreatic cancer patients with ECOG performance status 0-2.

Early or Late Gefitinib, Which is Better for Survival? - Retrospective Analysis of 228 Korean Patients with Advanced or Metastatic NSCLC

  • Kim, Dong-Gun;Kim, Min-Kyoung;Bae, Sung-Hwa;Koh, Sung-Ae;Park, Sung-Woo;Kim, Hyun-Je;Kim, Myung-Jin;Jang, Hyo-Jin;Lee, Kyung-Hee;Lee, Kwan-Ho;Chung, Jin-Hong;Shin, Kyung-Chul;Ryoo, Hun-Mo;Hyun, Myung-Soo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8권1호
    • /
    • pp.31-44
    • /
    • 2011
  • Background: The optimal timing of treatment with EGFR-tyrosine kinase inhibitors (EGFR-TKI) in NSCLC patients has not yet been determined. Methods: We separated 228 patients with advanced /metastatic NSCLC treated with gefitinib into an early gefitinib group (patients who received gefitinib as first- or second-line treatment) and a delayed gefitinib group (patients who received gefitinib as third or fourth-line treatment) and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the timing of gefitinib treatment affected clinical outcomes. Results: Median overall survival (OS), progression free survival (PFS), and median OS from first-line treatment of advanced/metastatic disease (OSt) for 111 patients in the early gefitinib group were 6.2 months, 3.3 months, and 11.6 months. However, median OS, PFS, and OSt for 84 patients in the delayed gefitinib group were 7.8 months, 2.3 months, and 22.7 months. No differences in OS and PFS were observed between the 2 groups. However, OSt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delayed gefitnib group. Timing of gefitinib therapy was one of the independent predictors of OSt. Hb ${\geq}$ 10 g/dl, and having never smoked, and ECOG performance status ${\leq}1$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better PFS. Conclusion:Deferral of gefitinib therapy in patientswith advanced ormetastatic NSCLC may be preferable if they are able to tolerate chemotherapy.

  • PDF

End Stage Palliative Care of Head and Neck Cancer: a Case Study

  • Shishodia, Nitin Pratap;Divakar, Darshan Devang;Al Kheraif, Abdulaziz Abdullah;Ramakrishnaiah, Ravikumar;Pathan, Akbar Ali Khan;Parine, Narasimha Reddy;Chandroth, Santhosh Vediyera;Purushothaman, Bin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1255-1258
    • /
    • 2015
  • Background: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is generally incurable and has a short survival rat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symptom relief, disease response, and acute toxicity after palliative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and long-term survival in affected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11 to December 2011, 80 patients who were histopathologically diagnosed as having stage III or stage IV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based on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performance status 1-3, were offered palliative radiotherapy (20 Gy/5Fr/5 Days). Later these patients were evaluated on 30th day after completion of treatment for disease response based on World Health Organisation (WHO) criteria and palliation of symptoms using symptomatic response grading and acute toxicities by the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RTOG). Many patients were given post radiation therapy (RT) palliative chemotherapy for appropriate palliative care and a few patients were selected for further curative RT. The overall survival was also evaluated among this group of patients with last follow up date of 1st May, 2014. Results: The most common presenting complaint was pain followed by dysphagia. Most patients (60-70%) had appreciable relief in their presenting symptoms. A good response was observed in the majority following palliative RT; a few patients had progressive disease and some had stable and regressed disease. None of the patients experienced radiation toxicity that required hospital admission. Almost all showed grade one and two acute skin and mucosal toxicity one month after completion of treatment. The mean survival days for patients given only hypofractionated palliative RT was 307 days, those with post palliative RT and palliative chemotherapy was 390 days and patients who went on to receive further palliative RT and curative RT dose had significantly overall survival of 582 days. Conclusions: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should be identified for suitable palliative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to achieve acceptable symptom relief in a great proportion of patients and should be followed by palliative chemotherapy or curative RT in suitable cases for long-term symptom-free survival.

이전에 외부방사선치료를 받은 폐암 환자에서 기관지내 근접치료의 고식적 효과 (The Palliative Effect of Endobronchial Brachytherapy for Previously Irradiated Patients with Lung Cancer)

  • 박영제;김광택;양대식;이석;김철용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177-184
    • /
    • 2007
  • 목적 : 과거에 고선량의 외부 방사선치료를 받은 후 재발한 폐암환자에서 기관지내 근접치료의 고식적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7월부터 2003년 5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과거 외부방사선치료를 받은 후 증상을 동반한 재발에 대해 근접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모두 29명이었고, 이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남자, 여자가 각각 28, 1명이었고, 나이의 중앙값은 62세, 전신수행상태는 ECOG 1, 2, 3이 각각 13, 15, 1명이었다. 과거 외부방사선치료의 선량은 중앙값 54 Gy였고, 외부방사선치료 후 근접치료까지의 경과기간은 중앙값 7개월($1{\sim}102$개월)이었다. 병변의 위치는 원위기관 또는 주기관지가 20명, 엽기관지가 9명이었다. 근접치료선량은 1회 $5{\sim}6$ Gy를 주 1회씩 총 3회 치료하여 총선량 $15{\sim}18$ Gy를 목표로 하였다.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의 호전 또는 악화 여부에 따라 반응을 평가하였고, 증상 호전이 있은 환자들-호전 환자군-과 그렇지 않은 환자들-비호전 환자군-로 나누어 두 군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결과: 기침, 호흡곤란, 객혈, 폐쇄성 폐렴이 각각 41% (9/22), 50% (8/16), 82% (9/11), 33% (1/3) 환자에서 호전을 보였고, 증상 호전의 지속기간은 중앙값 5개월($3{\sim}31$개월)이었다. 객혈은 다른 증상에 비해 더 높은 증상 호전을 보였다(p<0.05). 호전 환자군(17명, 59%)과 비호전 환자군(12명, 41%)의 특성을 비교했을 때, 나이, 이전에 받았던 외부방사선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전신수행상태가 좋은 환자와 외부방사선치료 후 경과기간이 길었던 환자들이 호전 환자군에 많았다(p<0.05). 병변의 위치가 엽기관지보다는 원위기관이나 주기관지의 환자가 호전 환자군에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8). 근접치료 후 발생한 치명적인 부작용으로 객혈, 기관-흉막누공이 각각 1명(7%)에게 있었다(RTOG grade 5). 결 론: 이전에 고선량의 외부방사선치료 후 기관지내에 재발한 폐암 환자에서 근접치료를 이용한 증상호전이 약 60% 환자에게 있었고, 지속기간은 중앙값 5개월이었다. 비록 이전에 방사선치료를 받았더라도 전신상태가 줄고 이전 외부방사선치료 후 경과가 길었던 환자, 특히 원위 기관이나 주기관지내 종양에 의해 객혈이 있는 환자에게는 유용한 고식적 치료가 될 수 있겠다.